KCI등재
고교학점제 도입과 학교의 변화 =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hange in High School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55-79(25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change in high schools in the processing of introducing, accepting, implementing and improving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by analyzing the stories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school culture in high schools did not change much, and the reason was the college entrance exam. However, some teachers have begun to show signs of change. In other words, high schools were undergoing a period of transi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ccep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became more interested in their career, teachers began to communicate a lot, and began to have a mind as a manager of the class. Students attending a high school implemented the credit system are having a new experience. The learners were respected in the course of choosing and taking classes in person. Teachers were also aware that students were more focused on the class than before because it was their own choice. It is also true, however, that students are restricted from choosing classes because they have to think about the CSAT.
Second, the work that teachers have to take on in relation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changed in quantity and quality. Moreover, the application program recom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inconvenient, so all teachers are using private programs. There are many urgent tasks 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facilities and system to settl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addition, selfishness in the subject, solidity in the subject class, and hiring instructors were difficult points in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There were hidden efforts by the teachers to solve various difficulties in practice. Various ideas were discovered and a venue was proposed to share trial and error among teachers.
Give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urgent to nurture teachers who can take charge of multi-grades and multidisciplinary teaching, to clarify the criteria for hiring instructors, and to change the admission policy for local universities.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담당 부장교사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정책의 도입-수용-실행-개선의 과정 속 고등학교의 학교문화, 교사의 업무 변화, 학생의 변화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고등학교 내 학교문화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그 이유는 대입에 있다. 그러나 일부 교사들의 변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즉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변화의 과도기를 겪고 있다. 고교학점제를 수용하며 진로에 대해 관심이 높아진 학생, 교사들 간의 협의 증가, 그리고 수업의 경영자로서의 교사 마인드 변화가 감지되었다. 특히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은 새로운 경험을 하고 있다. 직접 수업을 선택하고 수강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학습자는 존중받고 있으며, 본인이 선택한 수업이기에 이전보다 수업 집중도도 높아짐을 교사들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은 여전히 ‘수능’을 생각할 수밖에 없는 환경에서 수업 선택에 제약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교사가 담당해야 할 업무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변화가 있었다. 더욱이 교육부에서 권고하는 수강신청 프로그램은 사용에 불편함이 많아 모든 교사들이 사설 프로그램을 쓰고 있는 등 고교학점제를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제반 환경 및 시설, 제도 개선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있다. 또한 교과이기주의, 공고히 되는 교과계급, 외부강사 채용의 어려움 등도 실행의 난점으로 등장하였다. 실행의 여러 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교사의 숨은 노력이 있었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발굴하였고, 교사들 간의 시행착오를 공유할 장 마련을 개선책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학년 다교과를 맡을 수 있는 교원 양성, 외부강사 채용 기준 명확화, 지역 대학 입시 전형의 변화 등을 제언하였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7-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CI등재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8-3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66 | 2.66 | 2.5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9 | 2.34 | 3.328 | 0.3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