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 장사 방언(長沙方言)의 음운 체계 대조 연구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9-194(26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본고는 한국어와 중국어 장사 방언의 음운 체계를 대조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리고 대조 분석을 통하여 장사 방언권의 한국어 발음 교육과 학습에 유용한 시사점을 보여줄 수 있기 바란다. 먼저 선행연구에 따라 한국어와 중국어 음절구조에서 서로 등가 요소인 한국 어의 초성과 장사 방언의 성모(声母), 중성과 복운모(複韻母), 종성과 운미(韻尾) 세 가지 대 응 관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와 장사 방언의 음운 체계를 제시하고 등가 요소를 음 운론적으로 대조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유의할 특징을 살펴보았다. 자음 체계는 초성의 경우에 한국어 연구개비음 ‘ㅇ/ŋ/’ 는 초성 자리에서 나타날 수 없는 반면 장사 방언에는 성모를 담당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한국어에 ‘ㄴ/n/’은 초성에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반면 장사 방언에는 성모 위치에 비음 ‘/n/’ 대신에 유음 [l]이나 설면 비음 [ȵ]으로 발음되는 것이 보통이다. 종성 자음의 경우 한국어 종성과 장사 방언의 운미는 모두 음절의 마지막 부분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어의 종성은 7개가 있고 장사 방언은 비음 운미 ‘/n/’과 ‘/ŋ/’ 2개밖에 없다. 그리고 장사 방언 운미 ‘/n/’과 ‘/ŋ/’은 결합된 음절수가 상당히 제 한적이고 원래 중국어 표준어에 비음 운미 /ŋ/과 결합된 음절은 장사 방언에서 늘 운미 /n/으 로 발음되므로 한국어의 ‘옹’과 ‘용’을 가진 음절을 제외한 다른 종성/ㅇ/을 가진 음절도 /ㄴ/ 으로 쉽게 발음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모음체계는 한국어 단모음은 10개가 있고 장사 방언에 는 6개밖에 없다. 이중 모음에서 반모음의 종류를 보면 한국어의 이중모음은 j계와 w계 이중 모음 두 가지가 있고 장사 방언에는 ɥ계까지 포함하여 3가지가 있다. 그리고 장사 방언에는 삼중모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한국어에 없는 특징이다.
더보기The paper targets the Phonological System of Korean and Chinese Changsha dialect to analy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also to get useful inspiration for the Korean Education among Changsha dialect district. First, the equivalent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Chinese phonetics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rst study. That is, the First Consonant in Korean is equal to Initials, the Second Consonant is equal to Abdominal Finals and the Final Consonant is Tail vowel. Then the paper will sort out a Phonological Theory of Constraints and figur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what should be focused on between the two languages. The First Consonant System says the Soft Palate Nasal /ŋ/ can’t appear in the First Consonant, but /ŋ/ could appear in Initials in Changsha dialect. /n/ Could be a Consonant in Korean but Changsha dialect only has Liquid Consonant /l/ and Velar Nasal /n/ except Nasal /ȵ/. There are 7 final Consonants in Korean, however, Changsha dialect only has /n/ and /ŋ/. And The number of syllables composed by syllable Rime and Tail Vowel/n/,/ŋ/ is limited. The Nasal Tail Vowel /ŋ/ in Chinese standard language usually pronounces as a Tail Vowel /n/. Therefore, the paper confirms that except the compatible syllables ‘옹’ and ‘용’. the Final Consonant /ㅇ/ in other syllables often pronounces /n/. In vowel system, there are 10 units in Korean and 6 in Changsha dialect. There are two types of double vowels in Korean: J and W, while Changsha dialect includes three kinds. Therefore, Changsha dialect exists the Triphthong, which are not characteristic of Korean vowel system.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1 | 0.808 | 0.05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