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고양 가와지볍씨’의 고고학적 접근 - 파른 손보기교수 탄신 100주년을 기리며 - = The Archeological Research Results of “Goyang Gawaji Rice” for the Commemoration of Prof. Sohn Powkee’s 100th Anniversary of Birthday
저자
손보기(Powkee SOHN) ; 이융조(Yung-jo LEE) ; 박태식(Tae-shik PARK) ; 우종윤(Jong-yoon WOO)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2
작성언어
-주제어
KDC
9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9-359(31쪽)
제공처
우리나라 최초의 신도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시작된 일산신도시문화유적 조사를 이끈 손보기 교수(단장, 한국선사문화연구소 소장, 전 연세대교수)는 일산일대에 발달된 토탄층에서 볍씨를 찾고자 1지역(한국선사문화연구소팀), 2지역(가와지,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팀), 3지역(단국대학교 박물관팀) 으로 조직하였다. 그 가운데 충북대학교 팀은 가와지 현장 (1지구)에서 볍씨를 찾고, 그 연대가 5,020년(미국 Beta연구소)으로 밝혀내어, 학계의 중요한 논제로 등장하였다. 이어서 2지구(3,000년)에서도 볍씨를 찾아 박태식박사의 노력으로 재배벼의 진화에 관한 연구업적을 학계에 보고하였다. 또한 김정희선생의 연구로 단국대팀(3지역)의 빗살무늬 토기에서 벼의 규소체를 확인하여, 보다 확실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들 자료는 충주 조동리유적(충북대 발굴)에서도 증명되어, 우리나라 벼 재배와 농경문제에 대한 분명한 자료와 근거로 제시하게 되었다. 계속하여 충북대는 청주 소로리볍씨 (15,000 ~ 17,000BP) 발견과 연구로 가와지볍씨가 소로리에서 부터 진화한 것으로 밝혀내었다. 신용하교수(서울대)는 이러한 자료와 연구위에서 좀 더 발전하여 “한강문화권”의 설정․위상을 세우는 큰 업적을 학계에 발표하였다. 그러한 점에서 30년 전 발굴된 고양 가와지볍씨 연구와 성과를 위하여 큰 격려와 배려를 아끼지 아니하신 손보기교수의 탄신 100주년을 기리고자 이 글을 봉정하고자 한다. 마침 고양시에서는 볍씨 기념탑의 준공과 “고양 가와지쌀”을 서울 롯데백화점에 출시하여, 손교수님의 탄신을 축하하는 의미로 해석되어 더욱 경하하는 바이다.
더보기‘Goyang Gawaji Rice’ refers to rice crops found from the Gawaji site, Daehwa- dong, Ilsanseo-gu, Goyang City, Gyeonggi Province. Korea. The site was investigated by the department team of Archaeology and Art Histo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for 102 days through 2 times of excavation. The site includes 3 localities, Gawaji Loc.1, Loc.2 and Loc.3.
In this paper, the writers talk about the Gawaji Locs.1 and 2, except the Loc.3 belonging to the Paleolithic age.
From the cultural layer named Daehwa-ri at the Loc.1, there were excavated rice grains dated 5,020BP. It immediately suggested possibility of the Neolithic agriculture. In addition to the remains from Loc.1, the Gawaji Loc. 2 also yielded other rice grains dated 3,000~2,500BP.
Consequently, the rice remains have been thought a valuable information on evolution process of rice species.
In general, wild rice has bigger shattering habits. By G. B. Thompson’s theory (Thompson, 1992), it is thought that the rice contains evidence of human gathering activity with cut pedicel observed by SEM (Lee et al, 1994). Charcoal from the layer was dated 4,330±80bp (Beta-45536), that was recalibrated 5,020BP by MASCA (Lee, 1977). Heu pointed out that the Type I looks a little smaller but narrower and longer, that is longer than japonica but shorter than indic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