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사이보그 캐릭터 유형의 변이 연구 : <공각기동대>의 매체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ariation of Cyborg Characters : Focusing on the media changes of <Ghost in the Shell>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The existence of posthumans in modern society is no longer science fiction, but closer to the reality faced by mankind. Comics and animations focused on handling surreal or unrealistic materials from the beginning, as there was less restriction of expression compared to live-action films. Therefore, SF works depicting the non-existent future world were able to gain the specifics in advance through cartoons and animations.
    Cyborgs are a mixture of machines and creatures that have not yet arrived, and have been considered a product of future reality, or virtual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 humanism, which actively embraces the application of machines for human improvement, cyborgization is sometimes considered the only way for humans to live without being mired in chang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Through a wide-ranging media transition from comics to live-action films, the main body specialized cyborg characters in the "Confucian Dynamics" that have consistently raised the awareness of post-humanism, examined the variation of each character type according to the medium, and analyzed its symbolic composition. In this way, the ultimate goal of the original plan is to look at the future of mankind, which has been raised by post-humanitarian discourse since the 1980s.
    The original discussion starts with the theoretical position of compromising the discussion of Dona Harloway’s socialist feminism and Rosie Bridotti’s utilitarian identity and postmodern subject in the basic position of transhumanism, which actively pursues human improvement in accordance with optimistic predictions of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discussion in Chapter 2 focused primarily on identifying the theoretical basis, which confirmed the existence of ‘cyborg’ as an adaptive way to enable human life in a technology environment. Today, the ‘cyborg’ pattern of human life is taking a step further toward dissolving the boundary between man and machine. The distinction between cyborg as an evolved human being in a digital environment and cyborg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ure is slowly becoming neutral. Therefore, what is more important in the future of seeing cyborgs as a member of society will be the issue of realizing social values, not physical presence.
    In Chapter 3, to confirm the value of cyborg's existence as a new type to appear in future society and to grasp its visible pattern, first identified the visible features of post-human design in New Media Art and pop culture and looked at its form and symbolism. The post-human design of New Media Art was carried out in a way that foreshadowed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in human abilities, and despite warnings and fears about the dangers of cybernetics by high technology, this visual design was able to confirm that it dictated the possibilities of post-humanity in a variety of ways.
    In Chapter 4,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yborg character in <Ghost in the shell> was carried out. The cyborg character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mplex hardening, menstrual strengthening and biomimicry depending on the degree and shape of the combination of humans and machines. Also, by comparing the modelling symbolism of cyborg characters embodied in the original cartoon and the different medium of feature animation, television animation and live-action films for the theater, the effect of media changes on the cyborg character image was confirmed.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meaning of the cyborg character that will emerge in the near future of mankind facing the reality of the inevitable combination of man and machine. The cyborg type of complex hardening, menstrual hardening, and biomimicry confirms anew that the combination of man and machine is no longer a "future of fiction" but a "real reality." What matters is no longer whether humans and machines are bound together, but what political attitudes the Cyborgs will take as a complex entity of both. The political attitude is more objective and social in comparison to the ethical attitude of the general posthumanitarian discourse. The <Ghost in the Shell> content, from the cartoon of Shiro Masamune to the live-action film of Rupert Sanders, addresses the question of how humans are re-established as social humans in a highly technologically advanced world through various media changes. The original research confirms, after all, that even in a highly technologically advanced scientific civilization, mankind must solve the problem of "how humans become human."

    더보기

    오늘날 포스트휴먼(posthuman)의 실존은 더 이상 공상과학이 아니라 인류가 직면한 현실에 가깝다.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실사영화에 비해 표현의 제약이 적기 때문에, 초기부터 초현실적이거나 비현실적인 소재들을 다루는 데 치중하였다. 따라서 현존하지 않는 미래 세계의 모습을 그려내는 SF 장르의 작품들은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통해 미리 구체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사이보그는 기계와 생물체의 혼합물로서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 현실, 또는 가상현실의 산물로 간주되어 왔다. 인간 향상을 위한 기계의 적용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트랜스 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사이보그화는 인간이 변화하는 과학기술 문명에 도태되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에 본고는 만화에서 실사영화에 이르는 광범위한 매체 전환을 통해 포스트휴머니즘의 문제의식을 꾸준히 제기해 온 <공각기동대>의 사이보그 캐릭터를 유형화하고, 매체에 따른 각 캐릭터 유형의 변이 상황을 살피고, 그 상징적 조형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980년대 이래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이 제기해 온 미래 인류의 모습을 조망하는 것이 본고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본고의 논의는 과학기술 발전의 낙관주의적 예측에 따라 적극적으로 인간향상을 추구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의 기본 입장에 도나 해러웨이의 사회주의적 페미니즘과 로지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정체성과 포스트모던 주체에 대한 논의를 절충하는 이론적 입장에서 출발한다.
    제2장의 논의는 주로 이론적 기초를 확인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통해 테크놀로지 환경에서의 인간적 삶을 가능하게 하는 적응 방식으로서의 ‘사이보그’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오늘날 인류 사회의 ‘사이보그’적 삶의 양태는 인간과 기계 사이의 경계를 해체하는 방향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 진화된 인간으로서의 사이보그와 인공지능 생명체로서의 사이보그의 구별은 서서히 무화되고 있다. 따라서 사이보그를 사회의 일원으로 간주하는 미래에 더욱 중요한 것은 물리적 존재태가 아니라 사회 가치 실현의 문제가 될 것이다.
    제3장에서는 미래 사회에 출현할 신인류로서 사이보그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고 그 가시적인 양태를 파악하기 위해, 우선 뉴 미디어 아트와 대중문화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디자인의 가시적인 특징들을 확인하고 그 조형성과 상징성을 살펴보았다. 뉴 미디어 아트의 포스트휴먼 디자인은 인간 능력 향상의 가능성을 점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며, 하이테크놀로지에 의한 사이버네틱스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와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시각적 디자인은 포스트휴먼의 가능성을 다각적으로 지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공각기동대>의 사이보그 캐릭터에 대한 유형화를 진행하였다. 사이보그 캐릭터는 인간과 기계의 결합 정도와 양상에 따라 복합강화, 생리강화, 생물체모방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또한 만화 원작과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실사영화의 서로 다른 매체로 구현된 사이보그 캐릭터의 조형적 상징성을 비교함으로써, 매체 변화가 사이보그 캐릭터 이미지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결론에서는 인간과 기계의 불가피한 결합이라는 현실에 직면한 인류의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사이보그 캐릭터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복합강화, 생리강화, 생물체 모방이라는 사이보그 유형은 인간과 기계의 결합이라는 것이 이제 더 이상 ‘공상된 미래’가 아니라 ‘실재하는 현실’이라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확인시켜 준다. 중요한 것은 더 이상 인간과 기계의 결합 여부가 아니라, 양자의 복합적 실체로서 사이보그 인류가 어떠한 정치적 태도를 취할 것이냐의 문제이다. 정치적 태도라는 것은 일반적인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윤리적 태도에 비해 한층 더 객관적이고 사회적인 의미를 지닌다. 시로 마사무네의 만화로부터 루퍼트 샌더스의 실사영화에 이르는 <공각기동대> 콘텐츠는 다양한 매체 변화를 통해 테크놀로지가 고도로 발달된 세계에서 인간은 어떻게 사회적 인간으로 재정위되는가의 문제를 다룬다. 본고의 연구는 결국 테크놀로지가 고도로 발달된 과학문명에서도 인류는 ‘인간은 어떻게 해서 인간이 되는가’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시켜준다.

    더보기
    • I. 서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선행 연구 검토 7
    • 3. 연구범위 및 방법 10
    • II. 포스트휴먼의 관점에서 본 신인류 전망 14
    • 1. 포스트휴머니즘과 탈육화 담론 14
    • 2. 「사이보그 선언」과 사이보그 이론 22
    • 3. 사이버펑크에서의 사이보그 존재론 33
    • III.  기술 발전에 따른 사이보그 개념의 예술적 전환 42
    • 1. 인간 향상을 위한 하이테크놀로지 적용 42
    • 2. 포스트휴먼과 뉴 미디어 아트 53
    • 3. 대중문화에서의 사이보그 캐릭터 59
    • IV. 매체 변화에 따른 &lt;공각기동대&gt;의 사이보그 캐릭터 분석 68
    • 1. 출판만화 69
    • 2. 애니메이션 77
    • 3. 실사영화 88
    • V. 결론 96
    더보기
    • 1 고장원, "『SF의 힘』", 추수밭, 2017
    • 2 길버트, 라일, "『마음의 개념』", 이한우 옮김. 문예출판사, 1994
    • 3 윤영수, 채승병, "『복잡계 개론』", (사성경제연구소, 2009
    • 4 이진우, "『테크노인문학』", 책세상, 2013
    • 5 임종기, "『프랑켄슈타인』", 문예출판사, 2004
    • 6 이지언, "『도나 해러웨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 7 심혜련, "『20세기 매체철학』", 그린비, 2017
    • 8 김연순, "『하이브리드컬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 9 박형욱, "「노쇠한 사이보그」", 『과학기술연구』Vol.13 No.1, 2013
    • 10 나병철, "『미래 이후의 미학』", 문예출판사, 2016
    • 11 가나시아, 이희재, 이두영, 가브리엘, "역. 『특이점의 신화』", 글항아리/사 이언스, 2017
    • 12 이종관, "『포스트휴먼이 온다』", 사월의 책, 2017
    • 13 홍성욱, "『하이브리드 세상읽기』", (안그라픽스, 2003
    • 14 박상준, "「SF 문학의 인식과 이해」", 『외국문학』49, 1996
    • 15 이진경,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12
    • 16 이재현, "『인터넷과 사이버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00
    • 17 박찬국, "『삶은 왜 짐이 되었는가』", 21세기 북스, 2017
    • 18 도나, 황희선, 해러웨이, "옮김, 『해러웨이 선언문』", 책세상, 2019
    • 19 신상규,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대출판부, 2013
    • 20 이수진,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인문과학원, 2013
    • 21 김은령, "『포스트휴머니즘의 미학』", 그린비, 2014
    • 22 아이디, 이희은, "역. 『테크놀로지 속의 몸』", 텍스트, 2013
    • 23 전혜숙, "「현대미술 속의 신체변형」", 『현대미술사연구』, 2012
    • 24 김선희, "『과학기술과 인간 정체성』", 아카넷, 2012
    • 25 정형철, "『영미문학과 디지털 문화』",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8
    • 26 홍성욱, "「7가지 테제로 이해하는 ANT」", 『인간 사물 동맹: 행위자네트워크 이 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서울: 이음, 2010
    • 27 송인섭, "「이세돌은 패배하지 않았다」", 『에듀프레스』, 일자. http://www.edupress.kr/news/articleView.html?idxno=4618, 2019
    • 28 백정아,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융합 weekly TIP』4, 2016
    • 29 주기화, "『지구에는 포스트휴먼이 산다』", 필로소픽, 2017
    • 30 강수진, "「SF 소설 속의 포스트휴먼 공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31 이경란,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커뮤니케이션복스, 2017
    • 32 백두환, "「한국포스트휴먼학회 콜로키움」", 『철학과 현실』, 2018
    • 33 김연순, "『기계인간에서 사이버휴먼으로』", 성균관대학교, 2009
    • 34 임석원,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기획」",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 대출판부, 2013
    • 35 김태경, "「그림책의 포스트휴먼 인물 탐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36 소아영, "「두뇌 신경회로 모방 뉴로모픽 칩」", 『융합 weekly TIP』104, 2018
    • 37 Frank Hartmann, "이상엽․강웅경 역, 미디어 철학", 북코리아, 2008
    • 38 정형철, "『영미문학비평과 포스트모던 이론』",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6
    • 39 어슐러, "k. 르귄. 최영준 옮김. 『어둠의 왼손』", 시공사, 1995
    • 40 피종호, "「사이보그 영화와 포스트 모더니즘」", 『카프카연구』 16, 2006
    • 41 김형래, "「유전기술과 의료기술 그리고 미래」", 『FUTURE MEDICINE & HUMANITIES』, 2018
    • 42 김소영, "「포스트휴먼에 관한 존재론적 해석」", 『영상문화』Vol.33, 2018
    • 43 신승철, "「사이버스페이스, 그 철학적 쟁점들」", 『철학사상문화』제5호, 2007
    • 44 임옥회, "「몸의 물질성과 싸이버공간의 정치성」", 『여성의 몸』. 창비, 2005
    • 45 안승구, 정유진, "「미국의 융합기술 개발정책 추진동향」", 『과학기술정책』172 호, 2008
    • 46 박진, "「장르들과 접속하는 문학의 스펙트럼」", 『창작과 비평』140, 2008
    • 47 최한진, "「사이보그 인간상의 조형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9
    • 48 정태명, "「지름길을 택하지 않으면 성공은 없다」", 『전자신문』, 일 자. http://m.etnews.com/20190513000454?obj=Tzo4OiJzdGRDbGFzcyI6Mjp7czo3OiJ yZWZlcmVyIjtOO3M6NzoiZm9yd2FyZCI7czoxMzoid2ViIHRvIG1vYmlsZSI7fQ%3 D%3D, 2019
    • 49 박선희, "「탈육화 담론의 비판으로서 육화 이론」", 『언론정보연구』, 2010
    • 50 김성수, "「트랜스휴머니즘으로서의 사이버자아」", 『동서철학연구』제90호, null
    • 51 김건우, "「포스트휴먼의 개념적. 규범학적 의의」",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먼』. 아카넷, 2016
    • 52 김태경, "「<공각기동대> 애니메이션과 영화 읽기」", 『일본학보』Vol.113, 2017
    • 53 정영훈, "「장르문학과 본격문학이라는 시빗거리」", 『창작과비평』140, 2008
    • 54 고광명, "「일본의 고무공업과 재일제주인 기업가」", 『재일제주인과 마이너리 티』. 제주대학교 재일주인센터, 2014
    • 55 이헌후, "「로봇의 조형에서 나타나는 은유적 표현」",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56 김민수, "「포스트휴먼 시대의 기독교 교육의 방향」",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9
    • 57 김재희, 시몽동, "역.『기술적 대상들의 존재양식에 대하여』", 그린비, 2011
    • 58 문현선, "「PC게임, 동아시아적 서사의 또 다른 변용」", 『영상문화』제4호, 2001
    • 59 강우성, "「인공지능시대의 인간중심주의와 타자화」", 『비교문화』72, 2017
    • 60 강유정, "「한국소설의 새로운 문체. SF(Sympton Fiction)」", 『작가세계』76, 2008
    • 61 박성원, "「인간 2.0 시각에서 본 4차산업혁명의 의미」", 『동향과 전망』100호, 2017
    • 62 마정미,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에 관한 연구」", 『인문콘텐츠』 13, 2008
    • 63 최진석,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의 (탈)인간학」", 『문학동네』. 87호, 2016
    • 64 도미니크, "바뱅 저. 양영란 역. 『포스트휴먼과의 만남』", 궁리, 2007
    • 65 김남옥, "「고도 기술시대의 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2
    • 66 이준희, "「서사작품에 나타난 미래의 몸에 대한 고찰」",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9
    • 67 신상규, "「트랜스휴머니즘과 인간향상의 생명정치학」", 『일본비평』 17, 2017
    • 68 모라벡, 한스, 박우석, "역. 『마음의 아이들: 로봇과 인공지능의 미래』", 김영사, 2011
    • 69 백지혜, "「년대 이광수 소설에 나타난 ‘과학’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 구』14. 2009, 1910
    • 70 장병탁, "「이세돌 은퇴대국, AI의 한계와 가능성을 보다」", 『동아닷컴』. 일자.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1224/98954163/1, 2019
    • 71 신하경, "「일본 SF소설 속 포스트 휴먼적 상상력의 현재」", 『일본비평』(17), 2017
    • 72 임종기, "『SF부족들의 새로운 문학혁명, SF의 탄생과 비상』", 책세상, 2004
    • 73 주디, "와이즈먼 저. 박진희. 이현숙 역. 『테크노페니즘』", 궁리, 2009
    • 74 박가열, 최영순, 박성원, "3명. 『트랜스휴먼 시대에 따른 미래직업세계 연구』", 과 학기술정책 연구원, 2017
    • 75 김현수, "「디지털시대 팬션에 나타난 사이버페미니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연구, 2003
    • 76 신종천, "「바이오 아트: 생명 미학적 밈 복합체들의 앙상블」", 『기초 조형학 연 구』, 2017
    • 77 소병철, "「인간중심주의적 동물윤리의 가능성에 관한 소론」", 『철학논집』 49, 2017
    • 78 정지인, "「미래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본 기계와 인간의 공존」", 성신여자대학교 조 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79 추유나, "「언캐니 시각적 방법론에 따른 바디아트 작품제작」", 성신여자대학교 뷰 티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80 박규태, "「A Study on Mamoru Oshii: Identity and Border in Japanese Animation」", 『일본사상』Vol.0 No.15, 2008
    • 81 심형준, "「인간의 사이보그화를 모티브로 한 도자 조형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82 이수영, "「이제 바둑이 알파고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이유」", 『르몽드디플로 마티크』, 일자. https://www.ilemon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1838, 2019
    • 83 허만욱, "「문화콘텐츠에서 서사매체의 변용과 발전 전략 연구」", 『우리문학연 구』29, 2010
    • 84 권주영, "「사이보그 이미지의 실내공간연출 특성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85 김종갑, "「아이러니와 기계. 인간: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 『비평과이론』 13, 2009
    • 86 김재회, "『시몽동의 기술철학: 포스트휴먼 사회를 위한 청사진』", 아카넷, 2017
    • 87 최혜미, "「현대 미술에 있어서 기계적 생명체 표현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미 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88 양은희, "「미국․일본 장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영웅상의 변화」", 홍익대학교 산업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89 박세환, "「애니메이션 작품에서의 사이버펑크 특성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영 상예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 90 신상규, "『호모 사피엔스의 미래: 포스트휴먼과 트랜스휴머니즘』", 아카넷, 2014
    • 91 박은미, "「SF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인간 이해에 대한 신학적 고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92 주기화, "「호모 몬스터쿠스: 19세기 영국 소설의 하이브리드 인간」",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93 전혜숙,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술: 신체변형 미술과 바이오아트』", 아카넷, 2015
    • 94 임종수, "「OSMU 미디어 환경에서 지식콘텐츠 제작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방 송확보』 20, 2006
    • 95 전선용, "「인터넷여행 10: 사이버섹스, 사이버펑크, 그리고 웹히피」", 『월간 사회 평론 길』, 1996
    • 96 오타베, "다네히사. 김일림 옮김. 『예술의 역설: 근대 미학의 성립』", 돌베개, 2011
    • 97 오타베, "다네히사. 신나경 옮김. 『예술의 조건: 근대 미학의 경계』", 돌베개, 2012
    • 98 박상현, 박현수, "「F.키틀러의 매체 개념으로 본 스텔락 퍼포먼스의 신체성」",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제57호, 2016
    • 99 조상영, "「‘포스트휴먼’을 통해 본 ‘사이보그 퍼포먼스’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00 장세영, "「영화 속 슈퍼히어로의 변신에 나타난 노마드적 실천 연구」", 건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101 이창익, "「인간이 된 기계가 된 신: 종교. 인공지능. 포스트휴머니즘」", 한국종교 문화연구소. 『종교문화비평』31, 2017
    • 102 백종현, "박은정. 김정하 외 3명. 「제4차 산업혁명과 포스트휴먼 사회」", 『철학 과 현실』112호, 2017
    • 103 송정화, "「『목천자전(穆天子傳)』의 신화(神話) 종교적(宗敎的) 의미」", 『도교 문화연구』 12, 1998
    • 104 손현주, "「다시 읽는 프랑켄슈타인: 모던 프로메테우스와 생명창조력」", 『인문논 총』 1, 2014
    • 105 란진, "「포스트 모더니즘 요소를 통한 스팀펑크 애니메이션의 분석」",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06 Foucault, M., "les mots et les choses: une arch ologie des sciences humaines, Paris: Gallimard, , pp", 398-401 참조, 1966
    • 107 심혜련, "「이미지와 매체 그리고 이미지 공간으로서의 사이버스페이스」", 『영상 예술연구』Vol.6, 2005
    • 108 홍성욱, "편. 『인간 사물 동맹―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 109 정양환, "「미국과 일본의 SF 애니메이션이 가진 장르적 특성에 대한 연구」", 한 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110 안병욱, "『로봇을 향한 열정, 일본 애니메이션-아톰에서 에반게리온까지』", 살림, 2009
    • 111 최효식, "「시뮬라크럼에 의한 블레이드 러너의 포스트 모더니즘 특성 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5
    • 112 이기영, "「사이버펑크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구-재팬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애니메이션전공 석사학위논문, 2002
    • 113 김응준, "「포스트휴먼 딜레마–인간향상과 포스트-바디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인문과학』제63집, 2016
    • 114 이경란, "「기술과 학적 포스트휴먼조건과 추론소설」. 『분열된 신체와 텍스트』", 아카넷, 2017
    • 115 우정길, "「포스트휴머니즘 인간관에 대한 비판적 성찰: 기능과 욕망의 관점에 서」", 『교육철학연구』제40권, 2018
    • 116 이상욱, "「인공지능의 한계와 일반화된 지눙의 가능성: 포스트 휴머니즘 적 맥 락」", 『과학철학』12, 2009
    • 117 박남기, "「일본 애니메이션의 풍경-현대 일본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박사학위논문, 2017
    • 118 형건민,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한 ‘사이버펑크’ 영화에서의 피조물 캐릭터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119 박성원, 최종화, "․진설아 외 3명. 『트랜스휴머니즘 부상에 따른 과학기술 정책이슈의 탐색』",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6
    • 120 이혜영, "「타자성의 윤리학: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과 비판적 포스트휴머 니즘」",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121 이채리, "「인간 향상과 인간의 본성- 후쿠야마의 향상 반대 전략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번한철학』제73집, 2014
    • 122 김영은, "「펑크 록 문화에서 생성 공유되는 의미들- 년대 중후반 홍대 씬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미디어 문화연구 전공 석사학위논문, 2017, 1990
    • 123 이경란, "「포스트휴먼시대의 포스트휴먼 담론들-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 즘」", 『문학 동네』23, 2016
    • 124 박미선, "「우리는 사이보그다-도나 해러웨이와 하리 쿤즈루의 대담(하리 쿤즈루 정리)」", 『여/성이론』(8), 2003
    • 125 이학영, "「한국 현대소설의 과학담론 전유 양상-이해조 이광수 김동인을 중 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 126 김소윤, 이관표, "「현대 의학의 영생 기술과 그 신학적 성찰-텔로미어와 유전자 가위를 중심으로」", 『신학사상』178집, 2017
    • 127 김영일, "「사이보그 테크노 정치학: 공각기동대에 나타난 인식, 기억 그리고 지배 의 문제」", 『영화연구』(74), 2017
    • 128 노대원, "「한국문학의 포스트휴먼적 상상력-년대 이후 사이언스 픽션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Comparative Korean Studies. 23. 2015, 2000
    • 129 하상복, "「새로운 주체의 가능성: 포스트휴머니즘과 월리엄 깁슨의 〈뉴로맨서〉 를 중심으로」", 『새한영어문학』 49.4, 2007
    • 130 김일림, "「거대과학과 애니메이션: 과학사 및 수학사의 관점으로 보는 3D CG 애 니메이션의 의미」", 『문화과학』87호, 2016
    • 131 안동현, "「서구 휴머니즘 비판과 새로운 휴머니즘의 지향: 『오릭스와 크레이크』 를 중심으로」", 『Trans-Humanities』12, 2019
    • 132 제이콥, "브로노우스키. 김용준 옮김. 『인간을 묻는다: 과학과 예술을 통해서 본 인간의 정체성』", 개마고원, 2007
    • 133 성정혜,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으로 살만 루시디 읽기: 악마의 시에 나타난 휴 먼/포스트휴먼」", 『영미연구』35, 2015
    • 134 우미영, "「한국 현대 소설의 ‘과학’과 철학적 소설적 질문-김보 영과 배명훈의 SF 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55, 2014
    • 135 박정오, "「여성 SF작가가 꿈꾸는 가상세계 속의 신화와 젠더-르 귄의 『어둠의 왼손』 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 52, 2006
    • 136 박규태, "『포스트-옴 시대 일본사회의 향방과 ‘스피리추얼리티’: 옴사건 일본교 네오-내셔널리즘』", 한양대학교출판부, 2015
    • 137 김지훈, "「신체는 정말 퇴화했는가?: 스텔락의 신체-기계퍼포먼스」, 기계의 꿈, 자동인형에서 로봇까지", 디자인미술관, 2006
    • 138 김대현, "「SF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시뮬라크르의 특성 연구: <아키라>. <공각기 동대>. <낙원추방>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139 이원태, "「포스트휴먼(Post-Human)시대 기술과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인문 사회 학제간 연구」. 「정책연구 14-59」", 미래창조과학부, 2014
    • 140 신인자, "「신체적 느낌과 인지는 감정을 구성하기 위해 어떻게 결합되는가?: 프린 츠(J. Prinz)의 이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27호, 2008
    • 141 문현선, "「중국 대중문화-2008)에서의 고전서사 수용 연구: 필름 및 텔레 비전 드라마 텍스트 異類戀愛談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979
    • 142 김연순, "「트랜스휴먼, 인간과 기계의 혼성적 실재에 대한 문화학적 고찰 1-혼성 적 실재의 원리적 고찰로서 혼성화의 자기조직화」", 『인문과학』제47집, 2011
    • 143 최은녕, "「사이버네틱스 인간론 Ⅰ- 근대의 휴머니즘적 인간형에서 포스트 모더 니즘적 인간형으로의 변천에 관한 자연과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뷔히너와 현 대문학』제51호,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