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大東韻府群玉」의 編纂과 收藏 = Publication and Collection of Daedong-Unbugunok
저자
박광헌 (대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43-262(20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The Daedong-Unbugunok is the first type of encyclopedia published in Korea and has great significance. Through the name ‘Great east’ of the signature, we can see the willingness to emphasize Korea’s status and find its identity as a single country. In the early days, it was circulated as a manuscript signed as the Sinpyeon-Daedongunok, and then published as a woodblock copy in 1836. Later in 1914, Yukdang Choi Nam-seon was published as a new movable type by the Joseon Gwangmunhoe, and published in English by Jeongyangsa, Asea-moonhwasa, Nongkyung Publishing House, and Yihoe-moonhwasa. Its significance was indirectly confirmed through a collection of Daedong-Unbugunok in several important plac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urrent error in the quantity of the bookshelves of the Daedong-Unbugunok.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the current status of the bookshelves and make great efforts to recover the lost plates based on this in the future.
더보기「대동운부군옥」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간행한 유서로서 그 의의가 매우 크다. 서명의 ‘大東’이라는 이름을 통해 우리나라의 위상을 강조하고, 단일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대동운부군옥」은 초기에는 「신편대동운옥」이란 서명의 필사본으로 유통되다가 1836년 목판본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1914년 육당 최남선이 조선광문회에서 신연활자본으로 간행하였고, 정양사, 아세아문화사, 농경출판사, 이회문화사 등에서 영인본으로 발간하였다. 모리스 쿠랑, 이왕직도서실, 간송문고 등에서도 「대동운부군옥」을 수집한 것을 통해 「대동운부군옥」이 당시 갖고 있는 의의가 컸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 「대동운부군옥」 책판의 수량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책판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실판 회수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