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후보
秋江 南孝溫 賦의 주제 형상화 방법에 대하여 : 夢遊ㆍ遊仙의 敍事 구조와 표현 기법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6
작성언어
-주제어
KDC
700
등재정보
KCI등재후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72(26쪽)
제공처
소장기관
秋江 南孝溫은 조선 전기 生六臣의 한 사람으로서 方外的 삶을 살다간 인물이다. 그러므로 이제까지 남효온의 삶과 문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의 漢詩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生六臣으로서의 면모와 방외인적인 삶을 조명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본고는 秋江 南孝溫의 賦 작품 가운데 『大椿賦』ㆍ『藥壺賦』ㆍ『得至樂賦』를 대상으로 하여 작품의 주제가 어떤 서사 구조와 표현 방법을 통해 형상화되는지를 살피고, 그 형상화 방법을 동시기에 창작된 夢遊 양식의 그것과 비교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한 작품들에 공통적으로 보이는 서술 방법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꿈 속 혹은 仙界에서의 일을 서사적 인 구조 속에 담아내고 있다. 둘째, 主客의 問答 형식을 설정하고 있다. 셋째, 道家的 혹은 神話的 성격의 인물 또는 사물 등을 작품의 소재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이러한 세 가지 특징을 중심으로 주제 형상화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秋江은 夢遊, 遊仙의 서사 구조를 통해 암울한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은 자신의 의지를 드러내고 자신이 현실에서 꿈꾸는 이상세계를 형상화 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서사 구조에서 보이는 꿈의 공간과 仙界는 비현실적인 공간이면서 동시에 작자의 뜻을 펼칠 수 있는 이상적인 공간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그러한 공간에서 이루어진 主와 客의 대화는 작품을 통해 秋江이 얘기하고자 하는 주제를 독자에게 분명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곧 자아의 내적 갈등을 客의 질문을 통해 자연스럽게 토로하고 그 질문에 대한 主의 대답을 서술하는 가운데 스스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작품의 주제를 형상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질문을 통해 독자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대답을 통해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主旨를 보다 명확하게 밝힐 수 있는 대화체의 장점을 적극 활용한 것이다.
大椿, 費長方, 至樂, 司命 등 작품 제목에서부터 내용에 이르기까지 적극적으로 활용된 道家的 혹은 神話的 성격의 素材는 본래 그것들이 지니는 관습적 의미와 이미지, 그리고 秋江의 작품 내에서 새롭게 해석된 의미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를 보다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주제 형상화의 특정은 동시기에 창작된 몽유 양식의 그것과 서사적 구조, 대화체의 활용이라는 점에 있어서는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꿈 속 공간에서 벌어지는 구체적인 사건과 대화의 주체가 되는 主客의 성격, 그리고 그 대화 내용에 있어서는 다른 점을 보인다.
이상의 연구는 秋江 문학 세계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나아가 賦 문학의 다른 양식과의 교섭 양상을 밝히는 데에 기여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Chu-gang Nam Hyo-on. one of Saengyukshin (the six faithful retainers who kept their loyalty to Danjong even though they maintained alive themselves during the former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led an outsider's life after Saejo took the crown. Studies about his life and literature have been focused on his Chinese poetry works in order to identify his life as an outsider and his features as a Saengyukshin.
The present paper examined 「The Legendary Tree Fu」, 「The Gourd Fu」, and 「The acquirement of ultimate pleasure Fu」 among Chu-gang's Fu work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his themes took a shape through epic structures and expression techniques. Also, the present paper aimed at examining the thematic formation methods by comparing them with the thematic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Mongyu (enjoying life in a dream) style. As a result, three descriptive methods common to these three works are identified: first, events in dreams or in a fairy land are incorporated in epic structures; second, the form of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hosts and guests is utilized; third, characters or things with mythical characteristics or Taoism are actively used as material for his works. Therefore, focusing on these three methods, the present paper reviewed the thematic formation in Chu-gang's Fu works.
Through the epic structures, Chu-gang reveals his will to overcome the gloomy reality and constructs the ideal world that he desires in reality. Thus, the dreams and fairy lands in these epic structures represent idealistic as well as unrealistic space wherein the writer can unfold his intention.
Also, the dialogues between hosts and guests in such a space serve to clearly communicate Chu-gang's themes to readers. That is, the internal conflicts of ego are expressed by guests' questions and the solutions to the problems are presented while providing hosts' answers,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themes. This shows that Chu-gang actively utilized the merits of dialogue style: centralization of readers' atten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writer's purport by means of answers.
The writing material with Taoism or mythic characteristics, ranging from titles to contents, serves to emphasize the themes that the writer wants to deliver through their newly interpreted meanings as well as original, conventional meanings and images in Chu-gang's works.
The features of this thematic formation are very similar to the contemporary Mongyu style in terms of epic structures and utilization of dialogue but not in terms of specific events, the characteristics of hosts and guests as subjects, and the dialogue contents in dreams.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deeper understanding of Chu-gang's literature but also to identifying interactive aspects between Fu literature and other styles.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