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신석정 전집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vol.1]----------
      • 목차
      • 간행사
      • 일러두기
      • 『촛불』
      • 은행(銀杏)잎
      • 임께서 부르시면 = 35
      • 그 꿈을 깨우면 어떻게 할까요 = 36
      • 너는 비둘기를 부러워하더구나 = 38
      • 나의 꿈을 엿보시겠습니까 = 40
      • 아 그꿈에서 살고 싶어라 = 41
      • 출출한 밤 = 43
      • 화석(化石)이 되고 싶어 = 44
      • 대화(對話) = 45
      • 푸른 하늘 바라보는 행복이 있다 = 46
      •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47
      • 날개가 돋쳤다면 = 49
      • 봄의 유혹(誘惑) = 51
      • 추과 삼제(秋果三題) = 52
      • 가을이 지금은 먼 길을 떠나랴 하나니 = 54
      • 촛불
      • 봄이여 당신은 나의 침대(寢臺)를 지킬 수가 있읍니까 = 57
      • 훌륭한 새벽이여 오늘은 그 푸른 하늘을 찾으러 갑시다 = 59
      •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 = 61
      • 산(山)으로 가는 마음 = 63
      • 나는 어둠을 껴안는다 = 64
      • 새벽을 기다리는 마음 = 66
      • 오후(午後)의 명상(冥想) = 67
      • 은행(銀杏)잎을 바라보는 마음 = 69
      • 밤을 맞이하는 노래 = 70
      • 난초(蘭草)
      • 밤이여 그것은 단조(單調)한 비극(悲劇)이 아니다 = 75
      • 병상 야음(病狀夜吟) = 76
      • 속 병상음(續 病狀吟) = 77
      • 푸른 침실(寢室) = 79
      • 서가(書架) = 81
      • 돌 = 82
      • 은행(銀杏)나무 선 정원도(庭園圖) = 83
      • 송하 논고(松下論古) = 84
      • 난초(蘭草) = 85
      • 이 밤이 너무나 길지 않습니까 = 87
      • 먼 항해(航海 ) = 89
      • 머언 날이 지나면 = 91
      • 화려한 풍선을 타고 = 92
      • 『슬픈 목가』
      • 서(序)ㆍ『슬픈 목가』에 바치는 글 금아(金鴉)
      • 산수도(山水圖)
      • 산수(山水圖) = 99
      • 청산백운도(靑山白雲圖) = 100
      • 윌견초(月見草)필 무렵 = 101
      • 등고(登高) = 102
      • 지도(地圖) = 103
      • 작은 짐승 = 104
      • 들길에 서서 = 106
      • 첫사랑 = 107
      • 방(房) = 108
      • 슬픈 구도(構圖) = 110
      • 밤을 지니고 = 111
      • 고운 심장(心臟) = 112
      • 서정가(抒情歌) = 113
      • 산협 인상(山峽印象) = 114
      • 애가(哀歌)
      • 슬픈 전설(傳說)을 지니고 = 117
      • 봄을 부르는 자(者)는 누구냐 = 119
      • 차라리 한 그루 푸른 대로 = 121
      • 애가(哀歌) = 123
      • 어느 지류(支流)에 서서 = 124
      • 대숲에 서서 = 125
      • 한대식물(寒帶植物) = 126
      • 소년(少年)을 위한 목가(牧歌) = 127
      • 오윌(五月)이 돌아오면 = 128
      • 꽃길을 찾아 = 129
      • 헌시초(獻詩抄)
      • 수선화(水仙花) = 133
      • 꽃상여 가는길 = 134
      • 슬픈 서백리아(西伯利亞) = 136
      • 애가(哀歌) = 138
      • 애가(哀歌) = 139
      • 별리부(別離賦) = 141
      • 산보로(散步路) = 142
      • 흑석(黑石)고개로 보내는 시(詩) = 143
      • 산(山)에서 온 사나이 = 144
      • 발(跋)ㆍ나의 몇몇 시우(詩友)에게
      • 『빙하』
      • 흰 석고상(石膏像)
      • 삼대(三代) = 151
      • 꽃덤풀 = 152
      • 비의 서정시(抒情詩) = 154
      • 흰 석고상(石膏像) = 155
      • 너를 두고 = 158
      • 슬픈 평행선(平行線)
      • 춘수(春愁) = 161
      • 애사 삼장(哀詞三章) = 162
      • 제주도(濟州島) = 164
      • 슬픈 평행선(平行線) = 165
      • 망향(望鄕)의 노래 = 166
      • 귀향시초(歸鄕詩抄) = 167
      • 항구(港口)에서 = 169
      • 서정가(抒情歌) = 170
      • 다시 제주도(濟州島) = 171
      • 늙은 비둘기 = 173
      • 소곡(小曲) = 174
      • 생존(生存) = 175
      • 소양강 삼장(昭陽江三章)
      • 1. 사향(思鄕)의 밤 = 176
      • 2. 입추(立秋) 지낸 밤 = 176
      • 3. 강원도(江原道) 드메 = 177
      • 근영 수제(近詠數題)
      • 근영 수제(近詠數題)
      • 1. 국헌(菊軒)님께 = 179
      • 2. 소공(素空)님께 = 179
      • 3. 호민(胡民)님께 = 180
      • 4. 소정(小汀)님께 = 181
      • 5. 일림(一林)이와 난(蘭)이에게 = 182
      • 6. 영이에게 = 182
      • 금산사(金山寺) = 184
      • 속 소양강 단장(續昭陽江斷章)
      • 1. 전선(戰線)의 가을에 부쳐 = 185
      • 2. 추석(秋夕) = 185
      • 이야기 = 187
      • 서정 소곡(抒情小曲) = 189
      • 발음(發音)
      • 발음(發音) = 193
      • 산산산(山山山) = 195
      • 황(篁) = 196
      • 바다에게 주는시(詩) = 198
      • 소곡육장(小曲六章)
      • 1. 팽이 = 199
      • 2. 생각하는 갈대 = 199
      • 3. 계산(計算) = 200
      • 4. Thoreau의 산보로(散步路) = 201
      • 3. Tagore = 201
      • 6. 자연(自然)과 Rousseau = 202
      • 유년시대(幼年時代) = 204
      • 코스모스 = 206
      • 여정(族程) = 207
      • 짐승 = 209
      • 여백(餘白) = 211
      • 빙하(氷河)
      • 빙하(氷河) = 211
      • 소곡(小曲) = 217
      • 입춘(立春) = 218
      • 대화(對話) = 219
      • 운석(隕石)처럼 = 220
      • 백목련(白木蓮)을 꺽던 밤 = 221
      • NOSTALGIA = 222
      • 호접부(蝴蝶賦) = 223
      • 스케치
      • 1 교정 풍경(校庭風景) = 224
      • 2.교무실 풍경(敎務室風景) = 221
      • 나무들도 = 226
      • 어린 양(羊)을 데불고 = 227
      • 심장(心臟)이 없는 세계(世界) = 229
      • 대춘부(待春賦) = 231
      • 청산별곡(靑山別曲)
      • 나무등걸에 앉아서 = 235
      • 서정 소곡(抒情小曲) = 237
      • 오는 토요일(土曜日) = 238
      • 청산별곡(靑山別曲) = 239
      • 노을 속에 서서 = 240
      • 피가 도는 돌이 되어 = 241
      • 동녁굴의 시(詩) 오장(五章) = 243
      • 역사(歷史) = 247
      • 발(跋)ㆍ백양촌(白楊村)
      • 『 산의 서곡』
      • 서(序) / 조지훈(趙芝薰)
      • 산(山)의 서곡(序曲)
      • 푸른SYMPHONY = 261
      • 지리산(智異山) = 264
      • 축제(祝祭) = 267
      • 산은알고 있다 = 269
      • 산(山)ㆍ1 = 271
      • 산(山)ㆍ2 = 273
      • 만가 이장(輓歌二章) = 274
      • 작은 풍경(風景) =275
      • 산중 문답(山中問答) = 276
      • 산장(山莊)에서 = 280
      • 자작나무 숲을 가던 소년(少年)을 위한 시(詩) = 282
      • 산방 일기(山房日記) = 284
      • 산(山)나비랑 앉아서 = 284
      • 산(山)은 = 287
      • 등반(登攀) = 289
      • 봄이 올 때까지 = 291
      • 단장 소곡(斷腸小曲)
      • 고원(故園)에 보내는 시(詩) = 295
      • 네 눈망울에서는 = 297
      • 삼월(三月)이 오면 = 298
      • 서정 소곡(抒情小曲) = 299
      • 내 가슴속에는 = 300
      • 나의 노래는 = 304
      • 창(窗) = 306
      • 이속(離俗)의 장(章) = 308
      • 가로수(街路樹) = 310
      • 온실(溫室) = 312
      • 한 줄기 햇살로 = 315
      • 꽃보라 속에 서서 = 317
      • 파초(芭蕉)잎을 밟고 가는 = 319
      • 하도 햇볕이 다냥해서 = 320
      • 홍매(紅梅) 지는 속에 = 322
      • 어머니 기억(記憶) = 324
      • 창(窓)가에 서서 = 326
      • 오는 팔월에도 = 327
      • 푸른 문(門)밖에 서서 = 330
      • 단장소곡(斷腸小曲) = 332
      • 초설(初雪) = 333
      • 영구차(靈柩車)의 역사(歷史)
      • 밤의 노래 = 337
      • 나에게 어둠을 달라 = 339
      • 영구차(靈柩車)의 역사(歷史) = 342
      • 동방 반명(東方半明) = 345
      • 전아사(餞迓詞) = 347
      • 지구(地球)가 회전(廻轉)하는 대로 = 349
      • 벽(壁)의 노래 = 351
      • 쥐구멍에 햇볕을 보내는 민주주의(民主主義)의 노래 = 353
      • 장미(薔薇)꽃 입술로 = 356
      • 조가 삼장(弔歌三章) = 358
      • 애가(哀歌) = 364
      • 슬픈 서정(抒情) = 366
      • 이국(異國)같은 거리에서 = 369
      • 지옥(地獄) = 371
      • 곡창(穀倉)의 신화(神話) = 373
      • 한줄기 불빛을 = 374
      • 이(耳)ㆍ목(目)ㆍ구(口)ㆍ비(비(鼻) = 378
      • 꿈의 일부(一部) = 382
      • 기려 시초((羈旅詩抄)
      • 석굴암(石窟庵) 대불송(大佛頌) = 387
      • 나무는 죄가 없다 = 388
      • 탐라풍물시(耽羅風物詩)
      • 1. 우성목 = 390
      • 2. 샘터 = 390
      • 3. 섬사람 = 391
      • 4. 목장(牧場) = 392
      • 5. 밀감(蜜柑)밭 = 392
      • 6. 해녀(海女) = 393
      • 7. 돌담 = 394
      • 탐라 식물지(耽羅植物誌)
      • 1 협죽도(夾竹桃) = 395
      • 2. 문주란(文珠蘭) = 395
      • 3. 풍란(風蘭) = 396
      • 4. 석곡(石斛) = 397
      • 5. 유자(柚子) = 397
      • 6. 종려(棕櫚) = 398
      • 7. 용설란(龍舌蘭) = 398
      • 8. 소철(蘇鐵) = 399
      • 9. 동백(冬栢) = 400
      • 남해 서정시초(南海抒情詩抄)
      • 1.오동도(梧桐島) = 401
      • 2. 짐승처럼 = 402
      • 3. 나도 동백(冬栢)나무랑 = 402
      • 4. 너를 생각하고 = 403
      • 5. 귀로(歸路) = 404
      • 발(跋)
      • 『대바람 소리』
      • 입춘(立春) = 409
      • 호조일성(好鳥一聲) = 410
      • 추야장 고조(秋夜長古調) = 412
      • 대바람 소리 = 414
      • 백록담(白廘潭)에서 = 416
      • 한라산(漢拏山)은 서서 = 420
      • 한라산 단장(漢拏山短章) = 424
      • 입춘(立春) 전후(前後) = 426
      • 오동도(梧桐島)엘 가서 = 427
      • 구천동(九千洞) = 429
      • 파초와 이웃하고 = 431
      • 눈맞춤 = 433
      • 춘수(春愁) = 436
      • 서울 1969년 5월 어느 날 = 438
      • 그 마음에는 = 440
      • 귀 = 442
      • 은방울꽃 = 446
      • 나랑 함께 = 448
      • 파도(波濤) = 450
      • 서울은 = 452
      • 비가(悲歌) = 454
      • 저 무등(無等)같이 = 456
      • 춘향전 서시(春香傳序詩) = 459
      • 찾아보기
      • 작가 연보
      • [volume. vol.2]----------
      • 목차
      • 간행사
      • 일러두기
      • 『내 노래하고 싶은 것은』
      • 입춘(立春) = 33
      • 자책 저음(自責低吟) = 34
      • 송뢰(松籟)와 더불어 = 35
      • 잔설(殘雪) = 38
      • 우수만 지나면 = 39
      • 지금 내 등 뒤에서는 = 41
      • 「218호」소식ㆍ1 = 43
      • 「218호」소식ㆍ2 = 45
      • 「218호」소식ㆍ3 = 47
      • 거북선 = 48
      • 봄의 일부 = 49
      • 이팝나물 옮기던 나는 = 50
      • 봄을 닮은 얼굴 = 52
      • 저 햇볕의 계단에서 = 54
      • 등불 = 56
      • 원정(園丁)의 설화(說話) = 58
      • 유월 = 62
      • 유월 찬가 = 64
      • 비둘기 울면 = 66
      • 바람을 따라 = 69
      • 저 하늘을 우러러보는 뜻은 = 72
      • 산은 숨어버리고 = 74
      • 풍란(風蘭) = 75
      • 관음소심(觀音素心)이랑 = 77
      • 입추(立秋) = 79
      • 신추(新秋) = 80
      • 난삼제(蘭三題) = 82
      • 마음에 지니고 = 85
      • 난(蘭) = 87
      • 신화(神話) = 88
      • 솔바람 속에서 = 90
      • 산길에서 = 92
      • 추일 서정(秋日抒情) = 94
      • 산에나 가볼거나 = 96
      • 저녁노을 = 98
      • 임종 = 100
      • 조종(弔鐘) = 102
      • 한 톨의 해바라기 씨알도 = 104
      • 조카 편질 읽다가 = 106
      • 그 정상(頂上)에서 = 107
      • 영산홍 = 109
      • 서글픈 이야기 = 110
      • 외출한 마음 = 112
      • 춘설(春雪) = 114
      • 동박새 오던 날 = 116
      • 태산목꽃 옆에서 = 118
      • 바다의 서정 = 119
      • 학두루미와 더불어 = 120
      • 꽃치자 = 122
      • 오한(惡寒) = 123
      • 가까이 오고 있는 날 = 125
      • 가슴은 항상 햇빛을 동반하고 = 127
      • 여수(旅愁) = 129
      • 한음(閒吟) = 131
      • 등고(登高) = 133
      • 거문고 소리 들으며 = 135
      • 그 눈망울 찾아 = 137
      • 난(蘭)이랑 살다 보면 = 138
      • 기원(祈願) = 139
      • 내 노래하고 싶은 것은 = 141
      • 종소리 = 143
      • 수선화가 피더니 = 144
      • 신서정가(新抒情歌) = 146
      • 전라도 찬가 = 148
      • 우리 꿈과 생시는 = 150
      • 춘수(春愁) = 152
      • 청매(靑梅) 옆에 서서 = 154
      • 꽃사태 = 156
      • 서향(瑞香) 내음이사 = 158
      • 나비처럼 = 159
      • 여명 우조(黎明羽調) = 161
      • 오월이었느니라 = 163
      • 모란 = 165
      • 유월의 노래 = 166
      • 서귀포에서 = 168
      • 제주도 철쭉 = 169
      • 제주도 바다 = 170
      • 천지에 메아리 칠 내일을 = 171
      • 저 푸른 언덕에 앉아서 = 173
      • 송가 = 175
      • 송수사(頌壽詞) = 177
      • 우리 이야기는 = 178
      • 어느날 = 179
      • 백련과 단둘이서 = 181
      • 석류 = 183
      • 산자락 타고 = 185
      • 지상의 천사 = 187
      • 외로운 그림자 = 189
      • 마음은 연꽃으로 밝히고 = 191
      • 이끼 앉은 역사 속에 = 193
      • 고향에 가서 = 196
      • 개암사(開岩寺)에서 = 198
      • 고향엘 갔더니 = 199
      • 뜨락에서 = 200
      • 산엘 가서 = 202
      • 분향(焚香) = 204
      • 해설 / 허소라
      • 『미수록 시집』
      • 습작ㆍ투고 때
      • 어머니!그 염소가 왜… = 223
      • 『촛불』 무렵
      • 선물 = 229
      • 산새는 어데서 노래하나 = 230
      • 바다는 우리에게 풀피리를 권하나니 = 231
      • 녹향원(綠鄕園)의 노래 = 232
      • 호반(湖畔)으로 갑시다 = 234
      • 무제(無題) = 235
      • 어느 날 = 236
      • 작은 상실(喪失) = 237
      • 정적(靜寂)의 미(美) = 238
      • 어느 작은 풍경(風景) = 239
      • 봄이여 너는 비오는 틈을 타서… = 242
      • 일광욕(日光浴) = 243
      • 시인(詩人) = 244
      • 별들이 하는 이야기는 = 246
      • 고요한 골에는 물도 흘러가겠지 = 247
      • 나의 침실(寢室)의 문을 흔드는 자(者)는 누구냐 = 248
      • 바람 = 249
      • 병상(病狀)에서 띄우는 편지 = 250
      • 1. 배천(白川)으로 = 250
      • 2. 남촌(南村)으로 = 250
      • 오월(五月) 아침 = 252
      • 명상 = 253
      • 밤 254
      • 난초(蘭草)의 향수(鄕愁) = 255
      • 푸른 커튼 = 256
      • 휘파람 = 257
      • 한산도(閑山島) 찾아서 = 258
      • 채석강(彩石江) 가는 길 = 259
      • 파초(芭蕉) = 262
      • 토끼의 향수(鄕愁) = 263
      • 시론(詩論) = 265
      • 정원(庭園) = 266
      • 푸른 하늘ㆍ물새ㆍ조개껍질 = 267
      • 해변 즉흥 소시(海邊卽興小詩) = 268
      • 변산 습득(邊山拾得) = 272
      • 눈 오는 밤 = 275
      • 조부(祖父)님 영전(靈前)에 = 276
      • 고화병지도(古花甁之圖) = 277
      • 황혼(黃昏)이 떠날 임시(臨時) = 278
      • 슬픈 이야기 = 279
      • 수선화(水仙花) = 280
      • 참회(懺悔) = 281
      • 『슬픈 목가』무렵
      • 옛이야기 = 285
      • 언제나 평온(平穩)한 얼굴을 볼 수 있답니까 = 286
      • 삼행시(三行詩) = 287
      • 가을을 보는 마음 = 288
      • 우리도 가을이 오면 = 289
      • 꿈 = 291
      • 황혼(黃昏) = 292
      • 변산 일기(邊山日記) = 293
      • 바다 = 297
      • 고도 시초(古都詩抄) = 299
      • 인도(印度)의 노래 = 302
      • 다시 어머니 품으로 돌아가는 날 = 305
      • 슬픈 위치(位置) = 307
      • 나는 너를 이끌고 = 308
      • 『빙하』 무렵
      • 움직이는 네 초상화(肖像畵) = 313
      • 네 고향 하늘은 남(南)녘 하늘은 = 315
      • 심판(審判) = 316
      • 옛 성(城)터에서 = 317
      • 봉화(烽火) = 318
      • 빛나는 길 = 320
      • 산(山)같이 = 322
      • 항성(恒星)을 바라볼 수 있기에 = 324
      • 서정 소곡(抒情小曲) = 325
      • 바다 삼장(三章) = 326
      • 착각(錯覺) = 328
      • 너를 보내고 = 329
      • 소년(少年)과 나의 이야기 = 331
      • 네 노랫소리를 들으며 = 333
      • 『산의 서곡』무렵
      • 밀림지대(密林地帶) = 337
      • 춘일 장음(春日長吟) = 339
      • 약속 = 340
      • 애사 삼장(哀詞三章) = 342
      • 종(鍾)소리 같은 별빛 속에 = 344
      • 신춘 서정(新春抒情) = 346
      • 삼월(三月) = 348
      • 훈장(勳章) = 349
      • 8ㆍ15의 넋으로 = 350
      • 무극 찬가(無極讚歌) = 352
      • 비사벌 송가(比斯伐頌歌) = 354
      • 4월 혁명(革命)에 부치는 노래 = 356
      • 우리들의 형제(兄弟)를 잊지 말아라 = 361
      • 단식(斷食)의 노래 = 363
      • 봄을 잊을 수는 없다 = 366
      • 다가온 춘궁(春窮) = 368
      • 송수사(頌壽詞) = 371
      • 무명(無明)에의 항변(抗辯) = 372
      • 무명(無明)에의 항변(抗辯) = 373
      • 사월(四月)은 강물처럼 = 375
      • 다시 들길에 서서 = 377
      • 반신(返信) = 378
      • 그렇다면 몰라도… = 380
      • 송 다가산방(頌多佳山房) = 382
      • 갑오동학혁명(甲午東學革命)의 노래 = 383
      • 봄은 있다 = 384
      • 오랜 시간(時間)이 우리들의 뒤로 물러간 뒤 = 387
      • 올봄에는 = 389
      • 선운사(禪雲寺) = 392
      • 광한루(廣寒樓) = 393
      • 숙제(宿題) = 395
      • 사월(四月)의 노래 = 396
      • 장미 옆에서 = 398
      • 송시(頌詩) = 399
      • 오순도순 사아 보자요 = 402
      • 한 그루 정정(亭亭)한 고복(古木)이 될진저 = 403
      • 여명 즉전(黎明卽前) = 407
      • 문(門)밖엔 봄이 있다 = 408
      • 어린 봄의 노래 = 409
      • 전북 찬가(全北讚歌) = 414
      • 풍장지대(風葬地帶) = 415
      • 헐벗은 산하(山河)에 살아도 = 417
      • 오늘 하루만은 = 420
      • 『대바람 소리』무렵
      • 울릉도 얼굴들 = 425
      • 나두 돌멩이어 = 426
      • 산(山)처럼 = 428
      • 계시(啓示)를 기다리기 전에 = 430
      • 서시(序詩) = 433
      • 열반 환상(涅槃幻想) = 434
      • 소상팔경가(瀟湘八景歌)
      • 1. 평사낙안(平沙落雁) = 435
      • 2. 원포귀범(遠浦歸帆) = 436
      • 3. 산시청람(山市晴嵐) = 437
      • 4. 강천모설(江天暮雪) = 438
      • 5. 동정추월(洞庭秋月) = 439
      • 6. 소상야우(瀟湘夜雨) = 440
      • 7. 어촌석조(漁村夕照) = 441
      • 8. 연사만종(煙寺晩鐘) = 442
      • 조용한 분노(忿怒) = 443
      • 한라산(漢拏山) 길 = 445
      • 한라산(漢拏山)처럼 = 446
      • 영춘사(迎春詞) = 448
      • 저 기린봉을 = 451
      • 동박새 = 453
      • 바람 = 455
      • 새 길 = 456
      • 저 일월성신(日月星辰)과 더불어 = 458
      • 낙화 서정(落花抒情) = 460
      • 오동도 서정(梧桐島抒情) = 462
      • 아름다운 지구(地球) = 463
      • 내일을 생각하고 = 465
      • 창을 열어요 = 466
      • 산하(山河)는 변할지언정 = 467
      • 그렇게 이웃하고 = 470
      • 한 톨의 밀알을 지니고 = 472
      • 나그네의 노래ㆍ1 = 474
      • 나그네의 노래ㆍ2 = 476
      • 젊은 얼굴들 = 479
      • 정정한 나무를 = 481
      • 극락(極樂)과 지옥(地獄) 사이 = 484
      • 그날이 오면 = 486
      • 신화(神話) = 488
      • 신추(新秋) = 490
      • 봉사(奉仕) = 492
      • 타오르는 석류(石榴)꽃으로 = 493
      • 등반(登攀) = 495
      • 버드나무 심은 뜻은 = 497
      • 실제(失題) = 498
      • 소곡(小曲) = 499
      • 빛을 모반(謀反)하는 저기압(低氣壓)이 = 500
      • 『내 노래하고 싶은 것은』무렵
      • 행정(行程) = 505
      • 한 마리 학으로 = 507
      • 모란 서정(牧丹抒情) = 509
      • 등반(登攀) = 510
      • 찬가(讚歌) = 512
      • 정원 소묘(庭園素描) = 514
      • 작은 기원(祈願) = 518
      • 눈발 속에 = 520
      • 병상(病床)에서 = 522
      • 『내 노래하고 싶은 것은』뒤
      • 병상음(病床吟) = 525
      • 돌무덤 = 526
      • 가슴에 지는 낙화(落花)소리 = 527
      • 이른 봄 = 528
      • 한일(閑日) = 529
      • 유월의 노래 = 530
      • 나도 산에 맡기리로다 = 532
      • 백모란(白牧丹)의 고발(告發) = 533
      • 난초 잎에 어둠이 나릴 때 = 534
      • 대금(大笒)소리 = 536
      • 뜰을 그리며 = 537
      • 바다 건너온 눈물 = 538
      • 창밖의 대화(對話) = 539
      • 내 병실(病室)은 = 540
      • 찾아보기
      • 시 연보
      • 저서 연보
      • [volume. vol.3]----------
      • 목차
      • 간행사
      • 일러두기
      • 중국 시집
      • 서문
      • 위진 남북조 시(魏晋南北朝時)
      • 도연명(陶淵明)
      • 귀거래시(歸去來辭) = 31
      • 전원에 돌아와서 = 37
      • 만가(挽歌)에 비겨서 = 38
      • 국화 따 들고 = 39
      • 도홍경(陶弘景)
      • 산에서 = 40
      • 당시(唐詩)
      • 왕발(王勃)
      • 등왕각(縢王閣) = 43
      • 중양(重陽)에 = 45
      • 유정지(劉廷芝)
      • 공자행(公子行) = 46
      • 노인을 대신하여 부르는 노래 = 50
      • 심전기(沈佺期)
      • 망산(邙山) = 53
      • 하지장(賀知章)
      • 고향에 돌아와서 = 54
      • 장약허(張若虛)
      • 달 노래 = 56
      • 진자앙(陳子昻)
      • 그대 보내는 밤 = 61
      • 애가(哀歌) = 63
      • 장설(張設)
      • 여정 = 64
      • 장구령(張九齡)
      • 그대 떠난 뒤 = 65
      • 장욱(張旭)
      • 청명(晴明) = 66
      • 장악(張諤)
      • 구일연(九日宴) = 67
      • 장경충(張敬忠)
      • 변사(邊詞) = 68
      • 왕지환(王之渙)
      • 송별(送別) = 69
      • 관작루(鸛鵲樓)에서 = 70
      • 양주사(凉州詞) = 71
      • 맹호연(孟浩然)
      • 그대는 가고 = 72
      • 동정호(洞庭湖)에서 = 74
      • 단장(斷章) = 75
      • 두십사(杜十四)를 보내는 노래 = 76
      • 구위(丘爲)
      • 이화(梨花) = 77
      • 왕창령(王昌齡)
      • 추원(秋怨) = 78
      • 원한(閨怨) = 79
      • 출새행(出塞行) = 80
      • 종군행(從軍行) = 81
      • 위삼(魏三)을 보내고 = 83
      • 서궁 춘원(西宮春怨) = 84
      • 비가(悲歌) = 85
      • 조영(祖詠)
      • 여설(餘雪) = 86
      • 개가운(蓋嘉運)
      • 단장(斷章) = 87
      • 왕유(王維)
      • 단장(斷章) = 88
      • 향적사(香積寺)를 지나며 = 90
      • 심자복(沈子福)을 강남(江南)으로 보내며 = 91
      • 죽리관(竹里館) = 92
      • 춘수(春愁) = 93
      • 녹채(鹿柴)에서 = 94
      • 잡영(雜詠) = 95
      • 송별(送別) = 96
      • 이별의 노래 = 97
      • 여수(旅愁) = 98
      • 춘계문답(春桂問答) = 99
      • 별리(別離) = 100
      • 이백(李白)
      • 아미산월가(峨眉山月歌) = 101
      • 야곡(夜曲) = 103
      • 호연(浩然)에게 = 104
      • 경정산(敬亭山) = 105
      • 자야(子夜)의 부르는 노래 = 106
      • 대작(對酌) = 107
      • 그대와 더불어 = 108
      • 오야제(烏夜啼) = 109
      • 그대를 보내며 = 110
      • 월하독작(月下獨酌) = 111
      • 청평조사(淸平調詞) = 114
      • 소곡(小曲) = 116
      • 잔 들어 달에게 묻는 노래 = 117
      • 소대(蘇臺)에서 = 119
      • 황혼 = 120
      • 단장(斷章) = 121
      • 백제성(白帝城)을 떠나 = 122
      • 여중(旅中) = 123
      • 봄밤 = 124
      • 장안을 떠나면서 = 125
      • 산에서 = 126
      • 가을밤 = 127
      • 최호(崔顥)
      • 수(愁) = 128
      • 고적(高適)
      • 야별(夜別) = 130
      • 봄에 = 132
      • 제야(除夜) = 133
      • 그대를 보내며 = 134
      • 저광희(儲光羲)
      • 강남곡(江南曲) = 135
      • 상건(常健)
      • 선원(禪院) = 136
      • 유장경(劉長卿)
      • 별리(別離) = 138
      • 이목(李穆)에게 부치는 노래 = 140
      • 탄금(彈琴) = 141
      • 그대 집을 지나며 = 142
      • 눈 오는 밤 = 143
      • 두보(杜甫)
      • 등고(登高) = 144
      • 춘망(春望) = 146
      • 이 봄도 예이고 보면 = 147
      • 화경(花卿)에게 = 148
      • 고국을 떠나 = 149
      • 음주(飮酒) = 150
      • 빈교행(貧交行) = 151
      • 황보염(皇甫)
      • 그대를 소주(蘇州)로 보내며 = 152
      • 잠삼(岑參)
      • 애가(哀歌) = 153
      • 사주(沙州)에서 = 154
      • 단장(斷章) = 155
      • 촉규화(蜀葵花) = 156
      • 중양(重陽)에 = 157
      • 이화(李華)
      • 봄 = 158
      • 배적(裵迪)
      • 단장(斷章) = 159
      • 옛 성(城)에서 = 160
      • 가지(賈至)
      • 춘수(春愁) = 161
      • 노만만(路滿滿) = 162
      • 춘만(春望) = 163
      • 전기(錢起)
      • 귀안(歸雁) = 164
      • 강에서 = 165
      • 장계(張繼)
      • 풍교(楓橋)에서 = 166
      • 낭사원(郎士元)
      • 국사직(麴司直)을 보내고 = 167
      • 고황(顧況)
      • 호반(湖畔)에서 = 168
      • 단장곡(斷腸曲) = 169
      • 한굉(韓翃)
      • 석읍산(石邑山)속에서 = 170
      • 대숙륜(戴叔倫)
      • 은량(殷亮)에게 부치는 노래 = 171
      • 상남(湘南)에서 = 173
      • 가을 밤 = 174
      • 위응물(韋應物)
      • 양주(楊洲)로 보내며 = 175
      • 문안(聞雁) = 176
      • 가을밤 = 177
      • 유거(幽居) = 178
      • 최혜동(崔惠童)
      • 단장(斷章) = 180
      • 장조(張潮)
      • 강남행(江南行) = 181
      • 맹교(孟郊)
      • 고별리(古別離) = 182
      • 단장(斷章) = 183
      • 양사악(羊社諤)
      • 누대(樓臺)에서 = 184
      • 즉흥(卽興) = 185
      • 왕건(王建)
      • 십오야망월(十五夜望月) = 186
      • 너를 보내고 = 187
      • 백거이(白居易)
      • 비파행(琵琶行) = 188
      • 밤비 = 196
      • 낙화부(落花賦) = 197
      • 가을 = 198
      • 가을 밤 = 199
      • 옛 무덤 = 200
      • 단장(斷章) = 201
      • 만망(晩望) = 202
      • 장정역(樟亭驛)에서 = 203
      • 풀 = 204
      • 유우석(劉禹錫)
      • 오의항(烏衣巷) = 205
      • 낭도사사(浪淘沙詞) = 207
      • 가을바람 = 208
      • 가을날 = 209
      • 유종원(柳宗元)
      • 눈 = 210
      • 가을 날 = 211
      • 여온(呂溫)
      • 강가에서 = 212
      • 원진(元稹)
      • 병상(병상에서 = 213
      • 가도(賈島)
      • 그대를 찾아서 = 214
      • 전춘사(餞春詞) = 216
      • 고향으로 = 217
      • 두추랑(杜秋娘)
      • 청춘을 = 218
      • 허혼(許渾)
      • 단장(斷章) = 219
      • 별리곡(別離曲) = 220
      • 장호(張祜)
      • 산만만(山漫漫) = 221
      • 설영(薛瑩)
      • 가을날 = 222
      • 두목(杜牧)
      • 장낭중(張郎中)에게 부치는 노래 = 223
      • 합려성(闔閭城)을 떠나며 = 225
      • 별리(別離) = 226
      • 진회(秦淮)에서 = 227
      • 청명(淸明) = 228
      • 우무릉(于武陵)
      • 권주(勸酒) = 229
      • 조하(趙蝦)
      • 강루(江樓)에 올라 = 230
      • 이상은(李商隱)
      • 단장(斷章) = 231
      • 밤비에 부쳐 = 232
      • 이른 봄 = 233
      • 온정균(溫庭筠)
      • 분수령(分水嶺)에서 = 234
      • 사마례(司馬禮)
      • 궁원(宮怨) = 235
      • 위장(韋莊)
      • 백모란(白牧丹) = 236
      • 봄 아침 = 238
      • 별리(別離) = 239
      • 나그네 = 240
      • 봄 = 241
      • 한악(韓偓)
      • 비 뒤에 = 241
      • 밤비 = 243
      • 달밤에 = 244
      • 두순학(杜荀鶴)
      • 춘창원(春窓怨) = 245
      • 왕주(王周)
      • 소피역소피역에서 = 246
      • 정곡(鄭谷)
      • 가도(賈島)의 무덤을 찾아 = 247
      • 증별(贈別) = 248
      • 위승경(韋承慶)
      • 별리(別離) = 249
      • 강루(江樓) = 250
      • 이섭(李燮)
      • 무관(武關)에 들어 = 251
      • 형숙(荊叔)
      • 자은탑(慈恩塔)에 제(題)하여 = 252
      • 옹유지(雍裕之)
      • 궁인(宮人)의 무덤 터 = 253
      • 두공(竇鞏)
      • 애가(哀歌) = 254
      • 유상(劉商)
      • 왕영(王永)을 보내고 = 255
      • 진우(陳祐)
      • 잡시(雜詩) = 256
      • 이목(李穆)
      • 동려(桐廬)에서 유원외(劉員外)님께 = 257
      • 태상은자(太上隱者)
      • 한진(寒盡) = 258
      • 실명씨(失名氏)
      • 그대에게 = 259
      • 실명씨(失名氏)
      • 단장(斷章) = 260
      • 실명씨(失名氏)
      • 자야가(子夜歌) = 261
      • 송시(宋詩)
      • 소강절(邵康節)
      • 야곡(夜曲) = 265
      • 왕안석(王安石)
      • 매화(梅花) = 266
      • 소식(蘇軾)
      • 배꽃에 부쳐 = 267
      • 봄밤 = 269
      • 종필(縱筆) = 270
      • 황정견(黃庭堅)
      • 다락에서 = 271
      • 명시(明時)
      • 고청구(高靑邱)
      • 단장(斷章) = 275
      • 그대를 찾아서 = 276
      • 원시(原詩) 찾아보기
      • 매창시집
      • 서(序)
      • 임께 = 299
      • 한(恨) = 300
      • 거문고 안고 = 301
      • 산수(山水)를찾아서. 1 = 302
      • 산수(山水)를찾아서. 2 = 303
      • 산수(山水)를찾아서. 3 = 304
      • 봄 = 305
      • 단장 4장(斷腸四章). 1 = 306
      • 단장 4장(斷腸四章). 2 = 307
      • 단장 4장(斷腸四章). 3 = 308
      • 단장 4장(斷腸四章). 4 = 309
      • 강가에서 = 310
      • 강남곡 3장(江南曲三章). 1 = 311
      • 강남곡 3장(江南曲三章). 2 = 312
      • 강남곡 3장(江南曲三章). 3 = 313
      • 어수대(御水臺) = 314
      • 병상음(病床吟). 1 = 315
      • 병상음(病床吟). 2 = 316
      • 취하신 임께 = 317
      • 벗에게 = 318
      • 오는 봄 = 319
      • 한순상(韓巡相) 환갑에 = 320
      • 그대에게. 1 = 321
      • 그대에게. 2 = 322
      • 절에 들려. 1 = 323
      • 절에 들려. 2 = 324
      • 배 띄우고 = 325
      • 추천(鞦韆) = 326
      • 춘수 2장(春愁二章). 1 = 327
      • 춘수 2장(春愁二章). 2 = 328
      • 잔원(殘月) = 329
      • 혼자서. 1 = 330
      • 혼자서. 2 = 331
      • 가을. 1 = 332
      • 가을. 2 = 333
      • 이른가을 = 334
      • 상사곡(相思曲) = 335
      • 가을 = 336
      • 가을 = 337
      • 한(恨) = 338
      • 설야(雪夜) = 339
      • 채련가 2장(采蓮歌二章). 1 = 340
      • 채련가 2장(采蓮歌二章). 2 = 341
      • 화가(畵家)에게 = 342
      • 꽃은 피고지고 = 343
      • 한 순상(韓巡相)께 = 344
      • 천층암(千層庵) = 345
      • 월명암(月明庵) = 346
      • 빗돌에 부쳐 = 347
      • 별리(別離) = 348
      • 임 생각. 1 = 349
      • 임 생각. 2 = 350
      • 단장(斷章) = 351
      • 병상에서 =352
      • 부여(扶餘)에서 = 353
      • 학(鶴)의 노래 = 354
      • 산 첩첩(山疊疊) = 355
      • 벗에게 = 356
      • 발(跋)
      • 원시(原詩) 찾아보기
      • [volume. vol.4]----------
      • 목차
      • 간행사
      • 일러두기
      • 고풍의 향기
      • 영 산조 = 25
      • 내가꾸미는 여인 = 29
      • 촛불 = 32
      • 화병과 새와 노시인 = 36
      • 멋 = 40
      • 양에게 부치는 글 = 49
      • 생활의 운치 = 51
      • 향기 있는 사람 = 56
      • 장진주사 = 61
      • 나 사는 주변 = 63
      • 매창의 멋 = 66
      • 가난과 행복
      • 빈루기 = 71
      • 생활의 운치 = 82
      • 토요일 = 84
      • 동과 서 = 88
      • 행복의 최대공약수 = 92
      • 계절의 순환
      • 봄의 숨결 = 103
      • 뱁새의 척서법 = 110
      • 가을 수감 = 119
      • 소한도 = 127
      • 꽃과 나무
      • 꽃 이야기 = 135
      • 꽃과 더불어 = 138
      • 모과나무 = 148
      • 병상수기 = 151
      • 추과 = 159
      • 정원이야기 = 165
      • 사회적 관심
      • 탈피와 둔갑 = 171
      • 마음의 광장 = 180
      • 동문서답 = 186
      • 조국에의 사랑 = 194
      • 지조 = 199
      • 개구리의 엽색행각 = 204
      • 지록위마 = 211
      • 회고
      • 나의 어린시절 = 219
      • 시인이 된 동기와 이유 = 225
      • 내가 지은 인생시 - 슬픈 구도 = 229
      • 서자와 심화 = 234
      • 정년의 눈물 = 238
      • 병상에서 생각나는 사람들 = 242
      • 채옹의 편모 = 245
      • 가람 이병기 선생 = 247
      • 향토
      • 춘산관전 = 253
      • 내 고장 = 255
      • 고향에 해가 저문다 = 257
      • 전라풍류기 = 264
      • 각 도시 풍토기 = 276
      • 제언
      • 새로운 향토애를 위하여 = 289
      • 『인생신문』창간사 = 292
      • 신문을 나무란다 = 295
      • 지역사회의 발전과 문화인의 참여 = 297
      • 예도 정진 거듭 다짐 = 304
      • 문화풍토의 새 설계 = 306
      • 『전북매일』에 바란다 = 308
      • 원만한 가정를 위한 긴급동의 = 310
      • 고른 자갈도 못 깔아주는 문화촌 앞마을 대접 = 312
      • 편지
      • 난이 = 317
      • 소년이 되고 싶어 = 320
      • 춘분에 앞서서 가람께 올리는 글 = 322
      • 청춘의 오전 = 324
      • 봄ㆍ고향에 부치는 글 = 327
      • 사랑이 그립지 않는가 = 329
      • 묵은 봄 편지에의 회신 = 332
      •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 = 334
      • 전원으로 내려오십시오 = 338
      • 이곳은 비취빛 하늘입니다 = 347
      • 비사벌초사 찰한 = 353
      • 일기
      • 춘란이 만개 = 371
      • 화초일기 = 379
      • 병상일기 = 395
      • 기행
      • 산과 바다를 찾아 = 413
      • 석굴암까지 = 419
      • 백록담까지 = 426
      • 설문
      • 연애와 결혼관 = 435
      • 조선의 문학을 위하여 = 436
      • 신 박물지 = 441
      • 나의 애송시 = 442
      • 신년의 훈화 = 443
      • 나의 인생관ㆍ예술관ㆍ시작 태도 = 444
      • 가을과 문인 = 446
      • 시조 형식의 발전 여부론 = 447
      • 최근의 나의 관심사 = 448
      • 시 아닌 시 = 450
      • 나의 십년 계획 = 451
      • 문인의 일상 = 452
      • 가장 아름다운 조선말 다섯 가지 = 454
      • 시단 문답 = 455
      • 작품 애독 연대기 = 456
      • 명작 읽은 작가 감회 = 457
      • 문단75인의 자유발언 = 458
      • 자화자찬 = 459
      • 가장 아름다운 우리말 열 개 = 460
      • 어떤 책을 읽은 것인가 = 462
      • 당시 읽어 마음의 양식을 = 463
      • 내가 좋아하는 말 = 464
      • 대담
      • 향토문화의 성장에 대한 시인과 극작가의 대담(신석정ㆍ최호영) = 469
      • 고도에 새 손님(신석정ㆍ김우정) = 474
      • 우리는 죽마고우(신석정ㆍ박기환) = 477
      • 만나고 싶었습니다(신석정ㆍ최옥봉) = 481
      • 차ㆍ난ㆍ서도ㆍ시(신석정ㆍ박목월) = 487
      • 소설
      • 사장의 순간 = 493
      • 자전
      • 목가시인의 슬픈 구도 = 501
      • 나의 고유록 = 506
      • 수록 작품 출전
      • [volume. vol.5]----------
      • 목차
      • 간행사
      • 일러두기
      • 시론
      • 시론 = 25
      • 창작의 태도와 실제 = 64
      • 서정시의 소고 = 66
      • 시의 세계와 현실세계 = 73
      • 현대시의 난해성에 대한 소고 = 78
      • 시를 지으려면 = 86
      • 시정신과 참여의 방향 = 96
      •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 = 102
      • 시인론
      • 노산 이은상론 = 117
      • 정지용론 = 120
      • 가람 이병기론 = 125
      • 시인으로서의 만해 = 133
      • 시평
      • 영양실조의 시문학 = 145
      • 『봄 피리』를 들고서 = 150
      • 창작지도 = 152
      • 방황하는 시정신 = 160
      • 병신『전북대학교보』시단의 회고와 전망 = 164
      • 상반기『전북대학교보』시단평 = 172
      • 『전북대학교보』시단 부감 = 178
      • 축제에 드리는 말 = 184
      • 전주 문학풍토기 = 186
      • 연극평
      • 관극기 - 문리대『천우환』공연을 보고 = 193
      • 관극 소묘 - 청문극집 창립공연을 보고 = 197
      • 관극 소묘 - 제1회 연극발표회를 보고 = 202
      • 심사평
      • 1964 신흥고 백일장 시심사평 = 209
      • 1957『전북대학교보』고교현상문예 시선후감 = 211
      • 1958『전북대학교보』고교현상문예 시선후감 = 212
      • 1959『전북대학교보』고교현상문예 시선후기 = 214
      • 1960『전북대학교보』고교현상문예 시선후기 = 216
      • 1963『전북대학교보』고교현상문예 시선후기 = 219
      • 1964『전북대학교보』고교현상문예 시선후평 = 222
      • 1957 전북대 교내학생현상작품 시선후평 = 224
      • 1958 전북대 교내학생문예작품 시선후감 = 229
      • 1959 전북대 교내학생문예작품 선후평 = 234
      • 1966 전북대 교내학생문예작품 선후평 = 237
      • 1959『전북일보』지령3000호 기념 문예작품 심사소감 = 239
      • 1961『전북일보』신춘문예 시심사평」 / 김해강 ; 신석정 = 241
      • 1964『전북일보』신춘문예 시심후평」 / 신석정 ; 이동주 = 243
      • 1965『전북일보』신춘문예 시심사평」 / 신석정 ; 조지훈 = 245
      • 시추천사
      • 백초 -「완충지대」ㆍ「과일」ㆍ「창」ㆍ「우물」 = 249
      • 황길현 -「만종」ㆍ「맨드라미꽃을 통해서 본 밤의 의미」ㆍ「해바라기」 = 252
      • 이병훈 -「단층」ㆍ「흰줄기의 길」ㆍ「길」 = 255
      • 이기반 -「설화」ㆍ「까마귀는 울어도」 = 257
      • 허소라 -「지열」ㆍ「피를 말리는」 = 259
      • 김우정 -「대화」 = 261
      • 원영동 -「눈의 작업」 = 262
      • 김민성 -「공동묘지에서」 = 263
      • 기노을ㆍ유영부 = 264
      • 원광ㆍ최정주 = 265
      • 서문ㆍ발문
      • 김옥랑 시집『흰나비』 = 269
      • 최학규 시집『길』 = 271
      • 동인시집『풍토』 = 273
      • 최승렬 동시집『무지개』 = 275
      • 박병순 시조시집『낙수첩』 = 276
      • 유임일시집『공백의 장』 = 278
      • 동인지『맥랑시대』 = 280
      • 최승렬 시집『원정』 = 282
      • 시집『코스모스를 위한 서정』 = 284
      • 동인지『모양촌』 = 287
      • 정렬 시집『원뢰』 = 288
      • 박한영 문집『석전문초』 = 290
      • 허소라 시집『목종』 = 293
      • 허소라 에세이집『흐느끼는 목마』 = 295
      • 이기반 시집『불멸의 항변』 = 297
      • 강인한 시집『이상기후』 = 299
      • 문예지『학생문예』 = 301
      • 진을수 시집『가로수』 = 304
      • 박기환 시조집『박기환 시조집』 = 306
      • 문예지『시신』 = 308
      • 박기환 시조집『봉래강산』 = 310
      • 류근조 시조『나무와 기도』 = 312
      • 동인지『문예가족』 = 314
      • 최승범 시집『후조의 노래』 = 316
      • 허소라 시집『풍장』 = 318
      • 최승범 수필집『반숙인간』 = 320
      • 이병기 시집『석류초』 = 323
      • 김현구 시집『현구시집』 = 326
      • 최승범 시조시집『설청』 = 328
      • 김문환 시집『아픔에 의해』 = 330
      • 최형 시집『푸른 황지』 = 332
      • 이병훈 시집『단층』 = 334
      • 이병기 시집『남도 아지랑이』 = 336
      • 전덕기 시집『이슬이 내리지 않는 초원』 = 339
      • 조영희 시집『춘설』 = 342
      • 김재욱 시집『꽃과 하늘과 나와』 = 345
      • 전영래 수필집『태고와의 대화』 = 347
      • 이가림 시집『빙하기』 = 349
      • 자작시 해설
      • 나는 시를 이렇게 생각한다 = 355
      • 버리고 싶은 유산 = 366
      • 나의 대표작 -『눈맞춤』 = 371
      • 상처 입은 작은 역정의 회고』 = 375
      • 『가슴에 지는 낙화 소리』 = 388
      • 자작
      • 문학적 자전 = 393
      • 못 다 부른 목가 = 401
      • 시 해설
      • 명시조 감상(현대시조 편) = 409
      • 수록 작품 출전
      • 산문 연보
      • 저서 연보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