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단오굿 무무(巫舞)장단 연구 - 푸너리, 거무장단을 중심으로 -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68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89-215(27쪽)
제공처
단오굿은 이른바 악ㆍ가ㆍ무ㆍ극 요소를 두루 갖춘 종합 연희로서 신앙적, 문학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그리고 단오굿을 지탱해 주는 악·가·무·극의 연희적 요소들의 가치는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무악은 절대적인 신앙 행위 속에서 베풀어지는 주요한 요소이다. 소리, 춤, 극 그리고 전반적 의례를 진행케 하는데 핵심적으로 역할을 하고 있는 데서 그 면모를 알 수 있다. 본고는 강릉단오굿에서 연행되는 여러 장단 중 무무장단에 관해 논 해보고자 한다. 장단의 구조를 분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장단을 심층적 으로 분석함으로써 장단의 특성을 살피고자 한다. 강릉단오굿의 장단은 쓰임에 따라 무가(巫歌)장단과 무무(巫舞)장단, 무의(巫儀)장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가장단은 무가 구송 방식과 쓰임에 따라 부정, 청보, 제마수, 삼공잽이, 재배, 고삼, 자삼, 동살풀이, 수부채가 있다. 무무장단에는 춤의 연행방식과 쓰임에 따라 푸너리, 거무, 삼오장, 배기장, 드렁갱이가 있으며, 무의장단으로는 단약, 사자풀이가 있다. 이중 대표적인 무무장단으로 푸너리와 거무가 연행되는데 장단의 이 름이자 춤의 이름으로 칭하기도 한다. 푸너리는 강릉단오굿 대부분 굿 의 제일 처음에 나오는 장단이다. 신에게 ‘이제 굿을 합니다’라고 알리 는 신고(申告)의 역할을 하는 장단으로 신을 굿청으로 모시는 청신의 의미를 가진다. 무가 구연이 연행되기 전, 악사가 연주하는 푸너리장단 에 맞추어 무녀는 춤을 추게 된다. 푸너리는 총 3장으로 이루어져 있으 며 1장은 8/♩, 2장 4/♩, 3장 2/♩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 거무는 무녀가 무가 구연을 마친 후에 춤을 추는데 이 춤은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오신의 의미를 두기도 하고, 무녀의 예술적 기 량을 선보이는 것이기도 하다. 거무장단은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은 12/♩, 2장 12/♪, 3장 12/♪으로서 2장과 3장의 박의 구조는 같지 만 빠르기가 다르다. 2장은 느린 빠르기로서 무녀의 쾌자 자락이나 부 채, 수건 등을 이용한 허튼춤을 추지만, 점점 빨라짐에 따라 3장에 이르 러서는 빠른 춤으로 이어지면서 강릉단오굿 춤의 백미라 할 수 있는 소 신무를 하게 된다. 푸너리와 거무는 연주장단이기 이전에 무무장단이다. 그러므로 장단을 연행하는 방식 또한 춤의 연행방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수 밖에 없다. 그 관계를 논하기 위해 필자는 장단의 구조를 셈박과 숨박으로 나누 어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 셈박(數拍)이란 한 장단의 길이를 세는 의미의 박자라면, 숨박(氣拍)이란 한 장단에서 연행자들이 인지하는 호흡 에 의한 박자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 보았을 때, 푸너리를 살펴보면 1 장은 8/♩의 구조이지만, 숨박의 개념으로 보았을 때, 무녀는 2/♩( )를 한 호흡으로 인식하고, 그것은 곧 장단의 연행방식으로 이어진 다. 거무장단은 1장의 셈박은 2소박으로 12/♩의 구조이지만, 숨박으로 보았을 때, 3/♩의 3소박을 한 호흡으로 인식하여 네 번 반복해야 한 장 단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강릉단오굿에서 연행되는 장단은 연주장단이기 이전에 무가(巫歌), 무무(巫舞), 무의(巫儀), 무극(巫劇)의 반주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순 장 단을 연구하는데서 나아가 무가(巫歌), 무무(巫舞), 무의(巫儀), 무극(巫 劇)등과 더불어 장단을 분석할 필요성을 인지하고, 앞으로 끊임없는 노 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Danogut is a so-called comprehensive performance that combines elements of music, song, dance, and drama, and has high religious, literary, and artistic value. And the value of the performance elements of music, song, dance, and play that support Danogut is very important. In general, shamanism is a major element performed in absolute acts of faith. This aspect can be seen in the fact that it plays a key role in conducting sound, dance, drama, and overall ritual. This paper will discuss the Mumujangdan among the various rhythms performed at Gangneung Dano Gut. We will not only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rhythm, but als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hythm by analyzing the rhythm in depth. The rhythms of Gangneung Dano-gut can be divided into shaman rhythms, shaman dance rhythms, and shaman dance rhythms depending on their use. Depending on the shamanic chanting method and usage, the shaman rhythms include Bujeong, Cheongbo, Jemasu, Samgongjaegi, Gyeongpyeong, Gosam, Jasam, Dongsalpuri, and Subuchae.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method and use of the dance, the Muumjangdan includes Funeri, Geomu, Samojang, Baegijang, and Drunggaengi, and the Mujangdan includes Danyak and Sajapuri. Among them, Puneri and Geomu are performed as representative dance troupes, and are also referred to as the name of the rhythm and the name of the dance. Funeri is the first rhythm of most Gangneung Dano Guts. It is a rhythm that plays the role of informing God that ‘now we are going to perform a ritual.’ It has the meaning of worshiping God as an exorcist. Before the shamanic story is performed, the shaman dances to the funeri rhythm played by the musician. Funery consists of a total of 3 chapters, with Chapter 1 being structured as 8/♩, Chapter 2 as 4/♩, and Chapter 3 as 2/♩. also, . The Geomu dance is performed after the shaman has finished telling the shaman story. This dance is meant to please the gods and also shows off the shaman’s artistic skills. Geomu rhythm consists of a total of three beats, with the first beat being 12/♩, the second beat being 12/♪, and the third beat being 12/♪. The beat structure of the second and third beats is the same, but the tempo is different. Chapter 2 is a slow dance with a simple dance using the hem of the shaman’s kwaeja, fan, towel, etc., but as it gets faster, it leads to a faster dance in chapter 3, leading to Sosinmu, which can be said to be the highlight of Gangneung Dano-gut dance. Funeri and Geomu are dance troupes before they are performance troupes. Therefore, the way of performing the rhythm is also b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way of performing the dance. In order to discuss the relationship, the author would like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rhythm by dividing it into counting beats and breathing beat. Here, counting beats is the beat that counts the length of a rhythm, and breathing beat can be said to be the beat caused by breathing that performers perceive in a rhythm. In that way, if you look at the puneri, chapter 1 has a structure of 8/♩, but when viewed from the concept of sumbak, the shaman recognizes 2/♩( ) as one breath, which is the way of performing the rhythm. It continues. Geomu Jangdan has a structure of 12/♩ with 2 small beats in the first beat, but when viewed from the sum beat, it can be seen that 3 small beats of 3/♩ are recognized as one breath and must be repeated four times to form one rhythm. The rhythm performed at Gangneung Dano Gut has the function of accompanying shaman songs, dances, dances, and dances before being a performance rhythm. Going beyond studying simple rhythms, we must recognize the need to analyze rhythms along with shaman songs, shaman dances, shaman dances, and shaman dances, and continuous efforts must be made in the future.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