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현대평론』의 정치적 위상과 그 주체들 = A Reinterpretation of Politics Revealed in the Monthly Periodical “The Contemporary Review”
저자
김영진 (성균관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73-312(4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eople associated with the magazine “The Contemporary Review (Hyŏndaep’yŏngnon)”.
The contents policy of “The Contemporary Review (Hyŏndaep’yŏngn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produced knowledge of Korea per se. This was because the problem with the reality of colonial Korea has to b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particularity” in colonial Korea rather than the “universality,” which constitutes the global colonial order. Second, it supported Sin’ganhoe, the National United Front, and suggested a political platform for the public of colonial Korea.
The people who joined the management of the magazine were men of wealth with experience in studying abroad, journalism, and academia. “The Contemporary Review (Hyŏndaep’yŏngnon)” carried sophisticated Korean studies’ research produced through Chosŏnsajŏngjosayŏn’guhoe’s network and by commissioned writers. Key figures of the Communist Party of Korea published articles about the history of the social movement in Korea as well. The people who operated the branch office of “The Contemporary Review (Hyŏndaep’yŏngnon)” are worth investigating. They were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Christianity, the rural rehabilitation movement, the educational movement, socialism, the young adult group, and journalism.
이 논문은 1927년 1월 발간되어 불과 1년여 남짓 발행된 월간잡지 『현대평론』의 위상과 그 운영 주체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현대평론』은 개벽 폐간 이후 새롭게 신문지법에 의해 창간되어 시사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월간잡지였다. 『현대평론』은 식민지 조선의 정치·경제·사회적 재건을 목적을 창간되었다. 구체적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조선을 현실 문제 해결의 기준으로 제시였고, 이는 ‘조선’의 특수화를 통해 식민지적 인식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였다. 둘째, 민족유일당 신간회를 지지하며, 조선민중을 위한 ‘강령’ 생산 기관이 되고자 하였다. 『현대평론』의 경영진은 하준석을 비롯한 유학생 출신의 재력가와 언론계 및 학계에서 활동하던 이관용 등이었다. 이들은 촉탁을 위촉하고, 조선사정조사연구회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당시 학계의 수준 높은 연구들을 『현대평론』에 게재하였다. 또한 『현대평론』에는 조선공산당의 핵심인물들이 조선의 사회운동에 대한 역사적 평가 등을 담을 글을 적극적으로 발표하였다. 『현대평론』 지사를 운영하는 주체들도 다양한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우선, 기독교 사상에 근거하여 농촌자립이나 교육 사업에 관심이 있는 인물들이 있었으며, 또한 사회주의 운동과 관련을 맺고 지역에서 활동하는 인물들도 있었다. 이밖에도 청년회나 기타 단체 활동을 병행하지만 지역 언론인의 정체성을 더 강하게 가진 인물들도 있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 | 0.4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3 | 1.181 | 0.14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