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원시 어법 ‘죽방렴’ 관련 어휘 연구 2 - 죽방렴 어업 행위, 어획물 처리 관련 어휘 - = A Study on Vocabulary Related to ‘Bamboo Screen’ 2 - Bamboo Fishery Action, Vocabulary Related to the Handling of Fisheries -
저자
홍기옥 (위덕대학교)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THE INSTITUTE OF THE HUMANITIES YEUNGNAM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32(32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Bamboo screen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language, and it is a way to catch the fish by using the difference of the tide interval by walking the bamboo feet in the shallow water depth where the meat is frequent. It is a trap that catches the fish that come along the tide by walking the foot of the bamboo in the V shape and the oak which exceeds 5 meters in the sea, and it returns it to the ebb tide. The history of bamboo screen can be found in the “Bamboo screen” in the Joseon Dynasty, which is the same way as the bamboo screen of the present day. It is a fishery type used in coastal waters such as Samcheonpo, Namhae-gun. This study collected and summarized relevant vocabularies of bamboo bamboo in Samdong-myeon area, Namhae-gun, Gyeongsangnam-do.
The bamboo-related vocabulary survey was divided into two parts: an investigation of documents containing relevant vocabulary and a field survey of actual bamboo fishery area. The bamboo-related vocabulary were investigated based on bamboo-related names and bamboo-based fishery processes. In addition, bamboo-related vocabularies used in real life were collected and summarized in Samdong-myeon, gyungnam, including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bamboo fishery activities.
본 연구는 문헌상으로 조선시대부터 내려오는 전통 어법으로 확인할 수 있는 ‘죽방렴’에 관련된 어휘를 문헌, 현장 조사를 통해 수집,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하여 남해안에서 주로 행해졌던 원시 어 법(漁法)인 ‘죽방렴’에 관련된 어휘를 목록화하고 관련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어촌지역의 어법(漁法)과 관련된 어휘장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볼 수 있다. 원시 전통어법인 돌살, 죽방렴을 이용한 어로가 일부 지역에서 노년층을 중심으로 그 명맥이 유지되어 오고 있지만, 어업방식의 현대화로 돌살, 죽방렴과 같은 전통 어법의 미래는 불투명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어휘를 조사,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작업은 어로방식, 관련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필요하며, 의미 있는 일이다.
관련 어휘 조사는 현재도 죽방렴을 이용한 어로가 행해지고 있 는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관공서의 추천을 받아 죽방렴을 소유하고 관련 어로를 3대째 하고 있는 제보자들을 정하여 진행하였다.
어휘 조사의 전체 범주는 ‘죽방렴 관련 명칭, 죽방렴 만들기와 어업행위, 보수하기, 어획물 처리, 고사 지내기, 관용표현’ 등으로 나누어 관련 어휘를 조사, 정리하였다. 조사를 통해 ‘죽방렴’에 관련된 222개 어휘를 수집하였고, 이 중 180개는 『표준국어대사전』이나 <한민족언어정보화 방언검색기>에 수록되지 않은 어형으로 죽방렴 관련 연구에서 발굴되지 않은 어형도 있었다. 또한 현지에서 사용하는 죽방렴 관련 연어 구조의 어형도 수집,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원시 전통어법인 죽방렴 관련 어휘장을 정리할 수 있는 기초 작업이 되었으면 한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