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復齋淨稿』와 河濱 愼後聃의 시문학 = A Study on the Poetry of 『Bokjaejeonggo(復齋淨稿)』 and Habin Shin Hudam(河濱 愼後聃)
저자
김동준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7-40(34쪽)
제공처
본고는 復齋淨稿가 河濱 愼後聃 시문학의 여정에서 매우 이색적이고 논의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여기에 수록된 시편들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이다. 생애 전체로 보자면 신후담은 시인으로서보다 학자로서 평가받을 때 더욱 무게감을 얻는 인물이다. 그럼에도 시인으로서의 신후담을 주목할 경우, 복재정고에는 개인사적 특징과 시문학사적 가치를 증명할 작품들이 많다고 판단된다.
본론에서는 다음의 세 갈래로 나누어 특징을 조명하였다. (1) 반성의 선언과 성찰하는 인생을 읊은 시들을 살폈다. 遯窩居士와 復齋로 호를 정하며 인생의 새출발을 다짐하는 시를 통해 신후담 시문학의 중대한 전환 국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일상의 詩化와 생활 밀착의 시 쓰기 경향을 주목하였다. 출세의 길을 끊고 가문의 근거지인 金城村으로 돌아와 학자적 일상을 펼쳐나가려는 경향이 이 시기의 연작형 시편들을 관통하는 특징이었다. (3) 遊仙으로의 이끌림과 隱逸의 지향을 고찰할 수 있었다. 儒家 學人으로서의 지향을 견지하였으나 한편으로는 신선과 은일을 꿈꾸는 상상력은 새로운 출발과 길 찾기의 고민 과정에서 발생한 정신적 풍경이었다.
40대 이후에 신후담은 저술에 전념하면서 거의 시를 짓지 않았다. 최상의 시를 향한 도전을 멈추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20대 진로 전환기 시절의 삶을 담고 있는 복재정고는 신후담의 시문학에서 꼭 기억되어야 할 장면이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included in Bokjaejeonggo(復齋淨稿), judging that this anthology is very worthy of discussion in the poetry of Shin Hudam(愼後聃). When looking at his life as a whole, Shin Hudam is a person who is more important when evaluated as a scholar than as a poet. Nevertheless, if we focus on Shin Hudam as a poet, the study of Bokjaejeonggo i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and also evaluating the value of his works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In the main text, we were able to highlight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of characteristics. (1) The tendency that reflect on himself and his life. At this anthology, he began using the pen names Donwageosa(遯窩居士, a person who lives in hiding) and Bokjae(復齋, a house that reflects and contemplates). At the same time, he wrote many poems that pledged to make a new start in life, and these poems include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Shin Hudam's poetry. (2) The tendency to consider everyday life important and to write about this life. Giving up hope for success and returning to his clan's village of Geumseong(金城村), his poets written in series express emotions of a prospective scholar based on everyday life. (3) Longing for the immortal and the tendency toward seclusion. The academic orientation as a Confucian scholar is maintained, but on the other hand, empathy for the immortals of the Taoist lineage or the secluded figures in history is intensively shown. This is a mental landscape that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starting a new life.
In conclusion, Bokjaejeonggo is a special achievement in Shin Hudam’s poetry, and it deserves to be evaluated as a valuable work in the history of 18th-century Korean poetr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