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끌개장(attractor field) 임상 이야기 ― 입양 사례를 중심으로 = Attractor Field Clinical Story — Through An Adoption Cas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23-254(32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is study connects morphic field, which is the sub-area of attractor field, with ‘adoption.’ The study concentrates on healing rather than treatment or therapy. To be more specific, this paper explores that experiences one goes through as the reflection of one’s conscious world. The clinical topic of this qualitative adoption case is that no one is forced into a situation that is against one’s will. People experience many emotions such as love, hate, sense of guilt, lethargy, etc. These emotions are attracted unconsciously but are actually related to one’s intention. One is not “accidently” in a loving state. That person’s conscious world is already unconsciously implying love.
This paper focuses on how a decision an infertile couple makes reinforces the morphic field and affects their lives. A simple decision causes a stir in space and influences everyone. This study discloses how a single decision we make comes back to the decision makers in a nonlinear way. To be specific, this study explores in a process base how one’s different attractor patterns (for example, misfortune or love) can affects one’s life. In this case study, the author clinically explains how adoption is not a decision made by chance but is consisted of our conscious world’s attraction.
The research process is as the follows. Firstly, the study establishes an understanding of nonlinear dynamics’ attraction and morphic field, which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case. Second, the case will be analyzed clinically. It tracks the pregnancy process of a couple, the time of failure and despair, and the journey to adoption. Third, it introduces ‘Agada,’ which prepared the mind through the adoption process, and the spiritual diary. The counselor accompanies the counselee’s journey process-centrically, and rides on the attraction of love and heal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penetrating each other’s consciousness. Counselor’s dynamic phenomena is also recognized as an attractor field, and is included as an observer also as a person who is involved in this process. The paper wants to shed light on the law of causality that adoption is a “long road” but that in the world of consciousness, it is a non-localized phenomenon.
본 논문은 ‘입양’이라는 주제를 끌개장의 한 범주인 형태 발생장과 연결시켜 우리가 경험하는 삶이 실제로는 우리 의식 세계를 반영하는 것임을 치유 상담 방법론, 즉 임상 사례를 해결 중심 상담이나 치료가 아닌 치유(healing)라는 맥락에서 탐색해보고자 한다. 한 입양 사례를 질적으로 연구하여 연구자가 주장하고자 하는 임상적 의제는 누구도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적절하지 못한 곳에 강제로 이끌려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우리가 경험하는 사랑이나 미움, 죄책감, 무기력 등의 감정은 보이지 않은 어떤 것을 ‘끌어당기는’ 의식 세계의 작용이며, 그것을 관찰하는 내 의도와 무관하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그저 우연에 의해 사랑하고 사랑받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의식 세계에서 이미 사랑이 끌려오도록 암시하거나 (무의식적이지만) 의지적으로 지향한다.
연구의 절차로는 첫째, 사례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비선형 동역학의 끌개와 형태 발생장에 대한 이해를 구축한다. 둘째, 사례를 임상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한 부부의 임신 과정, 실패와 절망의 시간들, 입양까지의 역동적 심리 과정을 추적한다. 셋째, 입양을 기다리는 동안 마음을 준비시킨 ‘아가다’에 대한 소개와 영성 일지를 소개한다. 상담자는 이 모든 내담자의 여정을 과정-중심적으로 동반하며, 서로의 의식을 침투하는 경험을 통해 치유하고 치유 받는 사랑의 끌개장에 동승한다. 상담자의 동승 현상도 하나의 끌개장으로 인지되며, 경험자, 관찰자, 목격자 과정이 포함된다. 인과의 법칙으로 보았을 때는 입양이 ‘그 먼길’이지만 의식의 세계에서는 ‘지금 여기’ 비국소적으로 일어나는 실상임을 논문은 조명해보고자 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3-2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 THEOLOGICAL THOUGHT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7-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9-1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신학사상외국어명 : THE KOREA THEOLOGICAL STUDY INSTITUTE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2 | 0.32 | 0.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6 | 0.6 | 0.09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