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일과 여가의 의미 변천과 일-여가 관계 = Changing the Meaning of Work and Leisure and Work-Leisure Relationship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1-40(2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Ancient society, the meaning of work was sorrow, pain, and hurt. The meaning of work and leisure was rooted in the class structure of society. The slave class was the working class and the aristocracy was the leisure class. The modern period, religious reformation has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meaning of work. Religious reformation justified the accumulation of wealth through labor. Work has come to be valued in itself. But it only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meaning of work and not a change in the meaning of leisure. Leisure was still the exclusive property of the privileged class separated from the laboring subjects.
From Marx's point of view,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has driven workers into simple labor that has lost its purpose. From the workers' point of view, the capitalist society that Marx claims also remains in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in work-leisure relations. Marx's argument was the freedom and liberation of the workers and the expansion of leisure. From ancient society to modern capitalist society, workers were forced to remain in a confrontational mod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eisure. However, the expansion model could have been applied only to a small number of aristocrats and capitalists.
However, the recen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likely to mark a new turning point in work-leisure relations. The universal basic income system and universal basic services can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in the meaning of work and leisure. The meaning of professional work will be reduced and as an alternative, the importance of 'good labor' is likely to grow. The expansion model of the work-leisure relationship is not likely to be possible until this point. The meaning of work from ancient society to modern times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social and economic requirements of each era. In the process, work and leisure have pursued a shift from a work-leisure confrontation model to an expansion model. I think that modern society is the most important time to pursue such a change to an extended model.
고대 사회는 일의 의미가 슬픔, 고통, 상처의 의미를 담고 있었다. 일과 여가의 의미는 사회의 계급적 구조에 뿌리를 박고 있었다. 노예계급은 일을 하는 계급이고 귀족 계급은 여가를 누리는 계급이었다. 근대 종교개혁기는 일의 의미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온 시기였다. 종교개혁은 노동을 통한 부의 축적을 정당화시켰다. 막스 베버는 프로테스탄티즘 정신이 근대의 자본주의 경제활동을 장려하고 있다고 보았다. 거기에서 일은 그 자체로 가치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것은 일의 의미 변화를 가져왔을 뿐 여가의 의미에 변화를 가져온 것은 아니다. 여가는 여전히 노동 주체와 분리된 특권 계층의 전유물이었다.
마르크스의 관점에서 자본주의의 발전은 노동자들을 해방시키는 것이 아니라 목적을 잃은 단순 노동으로 몰아넣었다. 노동자들의 입장에서 보면 마르크스가 주장하는 자본주의 사회 역시 일-여가 관계에서 대립적 관계에 머물러 있게 된다. 마르크스는 노동자들의 자유와 해방, 여가의 확대를 주장했다. 고대 사회로부터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 이르기까지 노동자들은 일-여가의 관계에서 대립 모델에 머물러 있을 수 밖에 없었다. 다만 소수의 귀족층, 자본가들에게만 확장 모델이 적용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제 4차 산업혁명은 일-여가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보편기본소득제와 보편기본서비스는 일과 여가의 의미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직업적인 일의 의미는 축소될 것이며 그 대안으로 ‘좋은 노동’의 중요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일-여가 관계의 확장 모델은 이 지점에 이르러서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고대 사회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의 의미는 각 시대의 사회・경제적 요건의 변화에 따라 변천되어 왔다. 그 과정에서 일과 여가는 일-여가의 대립 모델로부터 확장 모델로의 변화를 추구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이제 현대 사회는 그런 확장 모델로의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시기에 와 있다고 생각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5 | 1.25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5 | 1.307 | 0.26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