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괘변설의 변천과정에서 본 다산의 추이론 = A Study on Tasan’s Tuiyi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Guabian theor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5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21-263(43쪽)
KCI 피인용횟수
7
제공처
소장기관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the feature of Cheong Yagyong(丁若鏞, 1762~1836)’s Tuiyi(推移)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Guabian(Hexagram changes) theory.
Cheong Yagyong pay attention to Xunshuang荀爽128190 and Wucheng(吳澄, 1249~1333) in the his Yixuexuyan易學緖言(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on Some Major Theories about the Zhouyi). It can be inferred that Xunshuang’s Guabian theory is a precedent of the Tasan’s Gua¬bian theory. But Cheong Yagyong’s Guabian theory is different from Xunshuang’s Guabian theory, Tasan not only asserted ‘Guabian from Bigua(辟卦) to Yangua(衍卦)’, but also asserted ‘Guabian from Bigua to Bigua’. Wucheng is also a precedent of the Tasan’s Guabian theory. But Cheong Yagyong’s Guabian theory is also distinct from Wucheng’s Guabian theory. Unlike Wucheng’s Guabian from one Bigua, Cheong Yagyong asserted Guabian from two Bigua. However, like Xunshuang and Wucheng, Tasan also insisted that Guabian is not ‘One meaning of Zhouyi(易中之一義)’, but is ‘The principal purport of writing Zhouyi(卦作易之本指)’, Nevertheless, the most creative feature of Tasan’s Tuiyi theory is that Tasan’s Tuiyi theory is not only applied to interpreting the Guac(i卦辭), but also applied to interpreting the Yaoci(爻辭). Unlike Xunshuang and Wucheng’s Yiology, Tasan insisted that Yao means Biangua(變卦). So Tasan’s Tuiyi theory can be applied to interpreting the Yaoci(爻辭). These applications to interpreting the Yaoci(爻辭) of the Tuiyi theory is the most creative feature in the history of Yiology.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역학 이론은 역리사법으로 대표된다. 역리사법 중에서 다산 역학을 관통하는 하나의 이론을 들자면 추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이 점은 다산의 대표적인 역학 저작인 『주역사전周易四箋』의 「사전소인四箋小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첫째가 추이推移이고 둘째가 물상物象이며 셋째가 호체互體이고 넷째가 효변爻變이다” 물론 다산의 효변설이 다산 역학의 가장 특색있는 이론이지만 효변설은 『주역周易』 64괘 괘사 및 384효 효사 해석 중 64괘 괘사 해석에는 적용되지 않고 다만 384효 효사 해석에만 적용되는 이론이기 때문에 『주역』 64괘 384효를 관통하는 이론이라 할 수 없다. 반면에 추이설은 384효 효사 해석뿐만 아니라 64괘 괘사 해석에도 적용되는 이론이라는 측면에서 다산 역학을 관통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다산이 자신의 대표적인 역학 저작인 『주역사전』의 첫머리에 「사전소인」을 제시하고 「사전소인」 중에서 추이를 첫 번째로 제시한 것이 아닌가 추측해볼 수 있다.
다산의 추이설과 관련하여 한대漢代 순상과 원대元代 오징의 괘변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다산은 그의 『역학서언易學緖言』에서 「이정조집해론李鼎祚集解論」과 「오초려찬언론吳草廬纂言論」을 지어 순상과 오징의 역학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다산은 이정조의 『주역집해周易集解』에 대해 “괘변卦變과 효변의 법칙 호체 와 복체伏體의 예 교역交易·변역變易·반대反對·반합牉合의 묘가 하나라도 갖추어 있지 않음이 없다”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오징의 『역찬언易纂言』에 대해 “비록 그 본령은 소옹邵雍의 역학을 벗어나지 않지만 간혹 명론名論이 옛 법에 합치하는 바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다산의 추이론은 기본적으로 괘기설과 괘변설의 2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다산은 「괄례표括例表」에서 추이에 대한 정의에 이어 추이표를 만들었는데 추이표의 구성도 괘기설과 괘변설의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즉 1) 육괘위사시지본표六卦爲四時之本表 2) 감리위양윤지본표坎离爲兩閏之本表 3) 십이벽괘진퇴소장표十二辟卦進退消長表는 괘기설에 해당하는 내용이며 4) 일양지괘추이표一陽之卦推移表 5) 일음지괘추이표一陰之卦推移表 6) 이양지괘추이표二陽之卦推移表 7) 이음지괘추이표二陰之卦推移表 8) 삼양지괘추이표三陽之卦推移表 9) 삼음지괘추이표三陰之卦推移表는 괘변설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그런데 다산의 추이표 중에서 이전의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부분이 있는데 세 번째 십이벽괘진퇴소장표이다. 이는 괘기설의 12벽괘를 설명하는 표이지만 단지 12벽괘가 1년 12달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벽괘와 벽괘 사이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기존의 괘변설에서는 ‘벽괘에서 연괘로의 추이’가 중요한 문제이었고 ‘벽괘에서 벽괘로의 추이’는 거의 다루지 못했던 부분이기 때문이다.
다산은 『주역사전』 「사전소인」에서 자신의 추이론의 원류로 주자의 괘변도를 지목하고 있다. “첫째가 추이이다. 주자의 「괘변도」가 바로 이 법이다.(『주역본의』의 주문注文에서 얘기하고 있는 괘변과는 같지 않다) 오직 중부괘와 소과괘가 벽괘에 들어가지 않지만 추이는 주자의 뜻이다” 그런데 『주역본의』의 「괘변도」에 대한 주자의 설명을 보면 “「단전 ...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KCI후보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55 | 0.94 | 0.8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