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인구감소 중소도시의 공간적 축소에 관한 연구 = Spatial Reduction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ith Population Decline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01-120(20쪽)
제공처
소장기관
인구감소와 고령화에 따라 국내에서도 도시축소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도시축소에 대한 기존 연구는 도시의 총인구 감소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도시천공 현상으로 불리우는 국지적인 인구감소에 대한연구는 찾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의 인구감소중소도시를 대상으로 도시천공 현상이 발생한 지역을분석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인구가 감소하는 19개 중소도시이며,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0년에서 2021년이다. 500m X 500m 격자를 이용하여 도시천공 발생지역을 도출하였다. 이후 K-mean 군집분석을 통하여 유형화를 하고, 이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통하여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도시천공 발생지역은 서비스 양호지역(저밀), 원룸촌 지역, 저밀 노후지역, 교외 중심지역, 신시가지 지역의 5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고령인구 비율, 35년 이상 건물 비율, 확장지역까지의 거리가 커질수록 도시천공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졌다. 셋째, 총인구수, 유소년인구 비율, 건축물 수 합, 연면적합, 공동주택 수, 행정복지센터 유무, 초등학교 유무, 철도역까지의 거리, 시가화면적 비율이 커질수록 도시천공이 발생할 확률은 낮아졌다.
The problem of urban shrinkage is emerging in Korea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Existing research on urban shrinkage mainly deals with the reduction of the city's total population, and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population decline in microscopic spatial units, called the urban perforation phenomen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reas where urban perforation has occurred and to analyze influencing facto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Korea. The spatial scope of the analysis is 19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the temporal scope of the study is from 2010 to 2021. The urban perforation occurrence areas were derived using a 500m x 500m grid. Afterwards, a type was derived through K-mean cluster analysis, and influential factors were analyzed through a binary logistic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eas where urban perforation occurred were divided into five types: areas with good service (low density), studio apartment areas, low-density old areas, central places in suburban areas, and newly developed areas. Second, as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the proportion of buildings older than 35 years, and the distance to expansion areas increase, the probability of urban perforation occurring increases. Third, as the total population, youth population ratio, number of buildings, total floor area, number of apartment houses, presence of public administrative center, presence of elementary school, distance to railway station, and built-up area ratio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urban perforation decreased.
더보기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