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주복을 중심으로 한 공연예술 의상 디자인 연구 : Focusing on Musical Performances = A Study of Dress Design for Performing Art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658.04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7-73(27쪽)
제공처
소장기관
복식은 모든 시대에 살았던 사람의 삶의 양식의 표현이며 그들 생활문화의 가장 대표적인 산물이다. 또한 인간의 내면적 욕구와 미의식의 표현으로서 노출된 시대적 상황에 대한 반응 수단의 하나이므로 한 시대의 예술의 양식을 표현하는 중요한 장르를 구성한다.
공연예술 의상은 복식의 범주 내에서 의복의 두 가지 기능인 표현적 기능과 도구적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특수한 목적을 가진 의복으로, 일반의상과는 달리 연극이나 무용극 등 공연예술과 관련하여 특히 시각적 만족이라는 측면의 존재 목적이 뚜렷한 의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의상과 구별되는 차이점으로 인해 더욱 전문적인 관심과 연구가 요구되는 분야이므로 공연예술의상 전문 디자이너 양성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연극, 오페라, 무용 등의 분야를 위한 공연예술의상에는 어느 정도 관심이 기울어져 왔지만, 음악 연주 시 착용하는 연주복에 대하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거의 전문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악기별 동작의 범주와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구성과 디자인이 동작을 저해하지 않도록 기능적 고려를 만족시키는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며, 둘째, 연주 악기에 따라 관객이 가장 많이 보게 되는 연주복의 부위 및 분위기를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청각적인 즐거움 못지 않게 시각적인 즐거움도 제공할 수 있는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고, 셋째, 디자인 원리를 이용하여 연주자의 프로포션을 더욱 아름답게 나타낼 수 있는 연주복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넷째, 현재 고급 연주복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지나친 고가의 연주복의 문제점을 지양하고 합리적 가격에 창의적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본 연구의 범위는 여성 연주자의 연주복으로 한정하였다. 그 이유는 남성 연주자들은 대체로 연미복을 착용하므로 여성복 보다 종류가 다양하지 않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공연예술 의상의 이해를 위하여 단행본, 잡지, 학위논문 등의 문헌자료를 통하여 공연예술의상의 개념 및 특성과 종류를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둘째, 정기 간행물 및 공연 포스터, 팜플렛, 연주회 사진 둥 시각적인 일차 자료를 사용하여 현재까지의 연주복의 사진기록을 수집하고 이들 결과를 분석하여 연주복의 시대적 흐름을 조사한다. 셋째, 악기별 전문 연주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선호하는 연주복 조사의 기본 접근방식 및 설문조사 내용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작성한 설문 조사지를 음악대학원 재학생 및 학부 졸업 예정자 총 150명을 대상으로 연주자에 따른 악기별 선호 디자인과 취향 및 디자인상의 제한점 등을 분석하였다 넷째, 이상의 수집된 자료를 근거로 악기의 동작 종류별로 구분한 연주복 5작품을 직접 디자인하여 실물 제작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기별로 많이 움직이는 신체적 부분이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팔과 어깨의 사용이 많으므로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소매가 없는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둘째, 실루엣은 자신의 취향이나 신체적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첼로와 같이 악기 특성상 다리 간격을 넓게 잡아야 하는 연주자들은 스커트 폭이 넓은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셋째, 원단이나 부자재의 광택을 사용, 무대 위에서의 조명 효과를 선호하였다.
넷째, 연주자들은 심플하고 세련되면서도 자신의 개성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현재의 연주복 시장은 다양하지 않은 디자인과 소재에 비해 가격이 너무 높이 책정되어 있음을 설문조사로 알 수 있었다.
이론적 배경과 실태조사 결과를 작품에 적용시켜서 악기별로 나누어 제작한 5점의 연주복은, 사진과 작품 설명을 본고에서 제시하였다.
In the process of dress design for musical performer,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First, in dress design for musical performances, functionality ha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hat the dress does not encumber nor hinder the performer. The sphere and types of movement of musical performances can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musical instruments they play.
Second, the attire for musical performances has to be designed to provide audiences with visual pleasure in addition to the auditory pleasure of the music; the overall atmosphere and the attire take priority in attracting audiences.
Third, the dress at performances has to express and enhance the beauty of the performer; and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the designer`s artistry.
Fourth, dress design for musical performances has to be creative and reasonably priced. At. present, this is a problem.
The spher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attire for female performers since male attire is not a problem as the tuxedo is the us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for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attire for artistic performer, we investigated the origins and characteristics of attire for various uses through researching books, magazines, and research theses.
Second, we investigated the trends of performance attire according to the times by using primary visual materials such as periodicals, posters, brochures, photos of concerts, etc.
Third, by interviewing performers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s, we surveyed their preferred dress designs and used those designs as the basic data for a fundamental approach to research and for the contents of surveys. Also, we analyzed the preferred tastes and limitations in dress design according to the musical instruments being used. This study interviewed 150 students majoring in music including seniors who are scheduled to graduate.
Fourth, we designed and produced five different styles of dress for musical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musical activities.
We designed those five dresses based on logical background and research of the status quo in performance attir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he five works are as follows;
Work I is designed for piano players. With the application of a bustle style, it emphasizes side and rear appearance. Using an embroidery technique, it enhances the aesthetic effect.
Work II is designed for violin, viola and flute performer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Empire style, it renders a statuesque effect to the performer. In this design, the neckline and lower part of the skirt are emphasized by emdroidery and beading techniques.
Work III is designed also for violin, viola and flute performers with emphasis on the slender waist. An illumination effect is achieved through beading techniques.
Work IV is designed for cello performers, emphasizing the skirt with beading techniques. Work V is designed for vocal performers, emphasizing the silhouette of upper body. A flower decorated by fashion painting technique is used on the skirt to attract the audience visibility.
Becaus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young performers, the dress designs in this study were simple. We hope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functional designs for various musical performers in different age groups as well.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