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坪門諸賢錄≫으로 본 定齋學派의 전개 = The Development of the Jeongjae School as Seen Through the Pyeongmunjehyeonrok
저자
김기주 (계명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01-344(44쪽)
제공처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development of the Jeongjae School based on Pyeongmunjehyeonrok(≪坪門諸賢錄≫), a collection of literary records of Ryu Chi-myung's disciples held by Andon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Pyeongmunjehyeonrok organizes information about Ryu Chi-myung's disciples into 13 categories: (1) name, (2) courtesy name, (3) pen name, (4) clan origin, (5) relationships with Ryu Chi-myung, prominent family figures, or other literati, (6) residence, (7) year of birth, (8) official career, (9) year of apprenticeship, (10) literary activities, (11) writings, (12) existence of collected works, and (13) funeral or commemorative texts. There are five known editions of Ryu Chi-myung's literary records. This study focuses on the edition considered to be the latest manuscript, held by Andon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Through an analysis of this edition of Pyeongmunjehyeonrok, the study examines the composition, scale, and activities of the disciples, as well as the geographical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Jeongjae School, including its central hubs and areas of influence.
Based on this Pyeongmunjehyeonrok, it is identified that the Jeongjae School was a lineage-based school centered around major families such as the Jeonju Ryu clan and the Uiseong Kim clan. It is also evident that the school’s formation was closely linked to the Byeongho controversy, and that the Jeongjae School overcame regional limitations in Andong to expand its influence to areas like Gangwoo, producing numerous scholars. The active period of these scholars extended into the late 19th century, during which they responded to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by actively engaging in the righteous armies movement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이 논문은 정재 류치명의 문인록인 안동대학교 도서관 소장본 ≪坪門諸賢錄≫에 근거해 정재학파의 특징과 지역적 전개 등을 정리 분석한다. ≪평문제현록≫은 류치명 문인들 각 개인 정보에 대해 13가지 항목, 곧 ① 성명, ② 자, ③ 호, ④ 본관, ⑤ 류치명이나 각 문중 주요 인물 혹은 다른 문인과의 관계, ⑥ 거주지, ⑦ 생년, ⑧ 관직 이력, ⑨ 입문한 해, ⑩ 문인으로서의 활동, ⑪ 저술, ⑫ 문집의 유무, ⑬ 제문이나 만사 등을 정리한 문헌이다. 류치명의 문인록에는 다섯 종류의 판본이 있으며, 본 연구는 이들 판본 가운데 가장 마지막 필사본이라 판단되는 안동대학교도서관이 소장한 ≪평문제현록≫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인의 구성과 규모, 활동 등 정재학파의 지리적, 사회적 전개 양상을 정리한다.
≪평문제현록≫에서 보면, 정재학파는 전주류씨와 의성김씨 등 핵심적 문중이 학맥과 혼맥을 기반으로 형성된 학파라는 점, 정재학파가 병호시비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점, 정재학파가 안동이라는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며 강우지역을 비롯한 여러 지역으로 영향력을 확대하였고 상당수 문인을 배출했다는 점, 19세기 후반 이후 정재학파의 위정척사, 독립운동 등의 전개는 강력하게 결속한 이들 대규모 문인집단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