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Women's Genealogy = 韓國女性의 系譜硏究
저자
Peterson, Mark (Executive Directior Korean-American Educational Commission )
발행기관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Research Center For Asian Women Sook Myung Women's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81
작성언어
English
KDC
337.0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95-204(10쪽)
제공처
소장기관
韓國에서의 族譜에 대한 개념은 우선 男子에 속하는 것이다. 또는 女子는 族譜와는 전혀 부관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女子에 대해서도 族譜를 硏究하고자 한다면 이를 위한 資料가 많이 있다. 歷史上에 나타난 歷代王朝의 왕비들, 宮女, 또는 높은 벼슬을 지낸 집안의 女人들에 대한 族譜등이 女性 系譜硏究의 좋은 資料가 될 것이다. 그 외에 호적, 文集, 王朝實錄, 토지문서, 상속文書 등도 좋은 資料가 된다. 韓國에 있어서의 女性硏究를 族譜에 초점을 맞추어 그 系譜를 硏究해 본다면 새로운 사실들이 많을 것으로 본다. 너무 심한 비유가 될지는 모르겠으나 美國의 作家 알렉스·헤일리가 쓴 $quot;Roots$quot;와 같이 社會의 意識構造 속에서 당연시되었던 흑인들의 위치가 혈통찾기가 소재가 된 과감한 이 글을 통하여 지금까지의 一般認識에 도전하는 새로운 흑인들의 正統性과 위치를 찾아냄으로써 世界 全讀者의 사고에 커다란 충격을 준 바 있듯이, 韓國女性에 대한 族譜硏究가 하나의 충격적인 女性에 대한 認識의 變化를 可能케 할 수도 있을 것이다.
現在 상태에서 女子의 족보를 찾으려면 各世代의 男子의 族譜에서 그의 부인데 대한 기록이나 父의 사위의 婦人에 대한 기록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즉, 女子가 族譜上에 나타나 있기는 하나 단독의 系譜가 기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또 女子는 一貫된 氏族도 갖지 못하고 있다. 결혼 전까지는 父와 같이, 後에는 남편과 같이 族譜에 올라 있기 때문에 結婚 前과 後가 다른 氏族에 속하게 되는 것이며, 결혼 後 다른 氏族 속에서도 完全한 構成員이 되는 것이 아니다. 李氏 姓을 가진 한 女子가 金氏와 結婚한 後에도 그녀는 李氏의 姓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녀가 死後 숭배를 받을때에는 李氏 後孫에 의한 奉祭가 아니고 金氏 後孫에 의한 奉祭를 받기 때문이다.
現在의 상태에서는 韓國女性들이 族譜에 대해 無關心하거나 族譜自體가 잘못된 制度라고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다고 보며, 더구나 女性 문제에 關心이 많고, 知識수준이 높은 사람일수록 더 강하다고 본다. 그러나 그것은 잘못된 생각일 것이다. 現在와 같은 族譜기록에 대한 개념은 300∼400年前에 새로 생긴 것으로 오히려 李朝初期에는 男子後孫과 女子後孫이 同等하게 족보에 기록되었다. 오늘날과 같이 族譜가 男子中心으로 된 것은 儒敎思想의 영향인 것으로 보인다.
韓國에서 제일 오래된 族譜가 安東權氏의 족보인데 그것이 安東權氏의 족보이지만 男·女의 後孫을 모두 기록하였으며 外孫까지 그 族譜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사실상 安東權氏姓을 가진 사람은 小數를 차지했을 뿐이다.
이렇게 볼 때 오늘날의 族譜가 男女平等의 개념에 위배된다는 이유 때문에 反對하는 입장에 서게 되는 문제도 李祖때의 개념으로 族譜를 기록한다면 女性이 족보를 피할 理由가 없을 것이다.
女性硏究의 方向을 歷史的인 업적이나 사실의 고찰에만 머물지 말고 人物中心의 系譜硏究에 초점을 맞춘다면 여성의 社會的 위치, 정통성과 역할을 재정립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이며 族譜가 女性硏究의 새로운 관념을 제공해 주는 좋은 資料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