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이고르 코발로프의 <창가의 새>에 나타난 욕망의 표상들 = The Representation of Desire in <Bird in a Window> by Igor Kovalyov
저자
고은영 (한양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35-49(15쪽)
제공처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concept of ‘the foreclosure’ from Jacques Lacan's theory and to pay attention to how this aspect is revealed in video culture. It aim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opic by tracing the traces of ‘the foreclosure’.
To discuss the aforementioned research objectives, this research paper is comprised of two main chapters. The first chapter defines comparative analysis of Sigmund Freud‘s ’Oedipus complex’ and Jacque Lacan’s “Desire”. In the second chapter analyze two male characters features of <Bird by the Window> based on these theories.
The main method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books and periodicals about two theories. Additionally, literatures including precedent studies, other publications and critics would be taken as a second text. An interpretive conclusion was drawn by analyzing Igor Kovalov’s animation <Bird by the Window>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work, when the theme penetrating <Bird by the Window> is interpreted based on the concept of ‘the foreclosure’ in Lacan's theory of ‘desire’, a multi-layered perspective is presented and reveals the meaning of ‘desire’.
This Study shows how the male characters through ‘the foreclosure’ appeared at Igor Kovalyov‘s work, <Bird by the Window> weakens the subject. The theme that penetrates the work is a signifier that has been silent following the rejection of ‘Name of Father’, which indirectly warns us that we are trapped in a stuffed reality(the Symbolic) through human groups, and reveals the Real beyond the symbolic world.
본 논문은 자크 라캉의 ‘욕망’이론 중 ‘폐제’(Foreclosure, 閉除)개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 영상문화에서 ‘폐제’가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지를, 그리고 그 흔적들을 추적해 봄으로써 영상작품을 이해하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 연구 목적을 논의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자크 라캉의 '욕망' 이론을 고찰하였고, 둘째, 라캉의 ‘폐제’의 개념을 바탕으로 이고르 코발로프의 <창가의 새> 시나리오와 ‘폐제’된 캐릭터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고찰을 위해서 프로이드 ‘오이디프스 콤플렉스’와 라캉의 ‘욕망’이론에 관련 문헌을 1차 연구 자료로 삼았다. 덧붙여 선행 연구와 그 외 출판물들, 비평적 자료 등을 보조 텍스트로 참고하였다. 이론 연구를 기반으로 이고르 코발로프의 작품세계의 분석을 병행하여 해석적 결론을 도출하였다. 작품분석 결과, <창가의 새>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가 라캉의 ‘욕망’이론 중 ‘폐제’의 개념에 맞닿아 있으며, 작품 속 ‘폐제’된 남성 캐릭터들이 어떻게 주체를 약화시키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즉 ‘아버지의 이름’의 배척에 따라 침묵하고 있던 기표로서 인간 군상들을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박제된 현실(상징계)에 갇혀 있는 우리의 모습을 우회적으로 경고하는 것이고, 상징계 너머에 ‘실재’를 드러내는 것이다.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