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로마법상 매매-물물교환 논쟁 = Sale-Barter Debate in Roman Law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1-93(43쪽)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the Korean Civil Code, a contract of sale and an agreement of exchange are conceptually distinguished by whether the price has to be paid in money or not, but they are both classified as nominate, consensual and bilateral contracts. Although the importance of barter transactions decline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monetary economy, the famous school controversy among Roman jurists resulted in the view that barter (permutatio) was not a sale (emptio venditio) in Roman contract law system. For the Roman jurists, however, this controversy was not simply a matter of conceptual distinction, but had a practical significance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ontract and to the content of obligations of the parties. It was also important whether and what kind of actio should be gran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medy. The Proculian view prevailed, which distinguished between emptio venditio and permutatio according to the strict money contract typology, barter was no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consensual contract, but construed as one of the datio ob rem: I give in order that you give (do ut des). Consequently, an active performance claim against the other party was not legally recognized based on the barter agreement, and only a claim for restoration was available on the ground of non-achievement of purpose (condictio causa data causa non secuta).
Contrary to this, Titius Aristo, a Roman jurist around the turn of the first and second centuries AD, had asserted that barter agreements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civil obligations focusing on the “synallagmatic” relationships inherent in such transactions (D.2.14.7.2). As his view was accepted, if one of the parties had performed, that party could claim the counterperformance of the other party by means of actio praescriptis verbis. In consequence, an agreement of barter was recognized as an “innominate real contract”. This had a pract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parties no longer had to conclude a separate stipulatio to claim a counterperformance. Further, what the parties agreed became valid and enforceable within the framework of bona fides, and this led to the relaxation of the rigid Roman contract law system.
This sale-barter debate clearly shows us how Roman jurists developed legal doctrines with a strict sense of formalism and a great flexibility in adapting the law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over the centuries. Obviously, the incorporation of barter agreement into the nominate consensual contract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odern freedom of contract (pacta sunt servanda).
민법은 매매와 교환을 재산권이전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으로서 대금(代金) 지급 여부로 구별하면서도, 양자를 모두 낙성계약이면서 유상・쌍무계약으로 규율하고 있다(제563조 이하, 제596조 이하). 초기의 물물교환 단계를 지나 화폐경제 발달 이후 거래계에서 차지하는 물물교환의 위상과 비중이 현저히 줄어들었지만, 로마법률가들 사이에서는 물물교환(permutatio)의 이해를 둘러싼 유명한 학파대립이 있었고, 그 결과 엄격한 금전계약유형론에 따라 민법에서와 마찬가지로 대금 지급 여부를 기준으로 매매와 물물교환이 구별된다. 그런데 로마법률가들에게 있어서 이 문제는 단순한 개념구별의 문제가 아니고, 계약의 성립방법과 급부내용 등과 관련한 실질적 규율상의 차이를 가져오는 문제였다. 그리고 무엇보다 소권법체계를 취하고 있는 로마법에서 이 문제는 당사자에게 어떤 소권을 부여하느냐와 관련하여 더욱 첨예한 문제로 다루어졌다. 전체적인 가치교환의 측면을 포착하는 사비누스 학파와 엄밀한 개념구별을 중시하는 프로쿨루스 학파 간의 대립에서, 매매와 물물교환을 구별하는 프로쿨루스 학파의 견해가 통설이 되면서, 물물교환은 낙성방식의 전형계약에 편입되지 않고, ‘네가 주기 위하여 내가 준다(do ut des)’는 목적급부(datio ob rem)의 한 유형으로 구성된다. 그 결과 물물교환약정에 기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적극적인 이행청구는 인정되지 않고, 일방의 선이행을 전제로 상대방의 불이행시 ‘목적부도달’을 이유로 하는 반환청구(condictio ob causam datorum 또는 condictio causa data causa non secuta, D.12.4)만이 인정되었다. 이에 대해서 기원 후 1~2세기의 전환기에 활동하였던 아리스토(Titius Aristo)가 이러한 목적급부에 내재하는 쌍무적 견련성(synallagma)을 근거로 물물교환도 시민법상 채권채무관계에 편입시켜야 한다는 견해를 주창하였고(D.2.14.7.2), 급부한 물건이 추탈되는 경우 담보책임과 관련하여 물물교환을 매매에 근접시키려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晩고전기에는 선이행한 당사자에게 시민법상 전가문소권(actio praescriptis verbis)을 통한 적극적인 이행청구까지 인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로마법에서 물물교환은 전형계약은 아니지만 이른바 ‘무명(요물)계약’으로서 인정받게 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당사자들이 더 이상 약정의 소구력을 위해 별도의 문답계약(stipulatio)을 체결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과 나아가 로마법률가들이 계약이 요구하는 신의성실(bona fides)의 틀 안에서 당사자들이 약정한 것에 대한 법적 구속력을 인정하고 이를 위해 소권을 확장해나갔다는 것이다. 이는 로마법률가들이 자신들의 계약법정주의와 소권법체계 내에서 법을 ‘발전’시켜 나아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일례라는 점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