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성 인지 감수성에 대한 창조신학적 연구 = A research on gender sensitivity in the perspective of creation theolog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891-913(23쪽)
제공처
소장기관
성 인지 감수성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성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인간이 정신과 육체의 통일체인 것처럼 남성과 여성은 한 인간을 이루는 상호보완적 주체다. 남녀 사이의 성적인 만남은 단순히 육체적 결합이 아니라 인격적인 특성을 가진다. 그러므로 나를 위한 타자의 가치가 아니라 타자의 고유한 가치가 존중되어야 한다. 인간의 성이 드러내는 관계적 차원은 성역할의 사회적 성격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기초가 된다. 성의 관계적 성격은 적절한 성적 행위와 부적절한 성적 행위에 대한 도덕적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인간의 성은 생식을 위한 독립적 기능이라기보다는 인간의 존재 방식이며 삶의 기능이다. 인간의 성을 말할 때는 반드시 나와 너의 사회적 관계 속에 있는 인간의 본질을 말해야 한다.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다양한 사회적 지위와 이에 상응하는 역할을 사회로부터 얻는다. 그는 다양한 성역할을 수용하고 내면화함으로써 성의 사회화 과정을 경험한다.
인간은 정신과 육체의 통일체이다. 인간의 성은 단지 본능적 에로스의 기능만이 아니라 인격적 관계를 형성한다. 다른 인간은 나의 성적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자기 안에 목적을 지닌 존재이다. 인간은 본능과 함께 인격을 지닌 존재이다. 누구나 자신에게 결핍된 것을 추구한다. 리비도를 넘어 인격적인 관계가 전제될 때, 성적인 관계는 정서적 만족을 동반하며, 그 감성을 지속시킨다. 인간을 육체로만 규정할 수 없는 것처럼 인간의 성도 보이지 않는 차원을 가진다. 인간은 성적인 관계를 통하여 타인을 인식하며 자기 자신을 인식한다. 타인은 나의 성을 위한 도구적인 존재가 아니라 스스로 고유한 가치를 지닌 존재이다. 성과 관련된 개인적, 사회적 문제들은 단지 도덕적 문제이기 이전에 인격적 문제이다.
인간의 성이 문화의 영역 안으로 들어가면서 성에 대한 표현은 제약을 받기 시작하였고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은 사회문화적인 상황을 통하여 규정되고 학습되었다. 그러므로 우리의 성에 대한 태도나 행동들은 시대정신을 통하여 학습된 사회적, 문화적 현상들이다. 하나님은 남자와 여자의 두 종류의 인간이 아니라 한 인간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한다. 인간은 아가페를 실천하는 하나님의 형상이다. 에로스는 사랑의 가치를 찾는 조건적 사랑이며 아가페는 사랑의 가치를 창조하는 무조건적 사랑이다. 남녀관계의 불평등은 에로스가 지배하는 타락한 현실을 반영한다. 성서가 지향하는 남자와 여자의 관계는 아가페를 통하여 창조질서를 회복하는 것이다,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gender sensitivity, the fundamental reflection on human sexuality should be required. Just as human being is a unity of mind and body, man and woman are complementary entities that make up one human existence. The sexual encounter of man and woman is not simply a physical union, but has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unique value of others should be respected rather than their value for me. The relational dimension revealed by human sexuality i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e social nature of gender roles. The relational nature of sexuality enables a moral understanding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 Human sexuality is a way of human existence and a function of life rather than an independent function for reproduction. Talking about human sexuality, we must talk about the essence of humans in his social relationship. From the moment of birth, humans acquire various social statuses and corresponding roles from society. He experiences the process of sexual socialization by accepting and internalizing various gender roles.
Human beings are a unity of mind and body. Human sexuality is not just a function of instinctive eros, but also forms personal relationships. Other human being is the existence with purpose within himself, not a means for my sexual purpose. Human being has at once instinct and personalty. Everyone seeks what they lack. When the personal relationship beyond livido is premised, sexual relationships are accompanied by emotional satisfaction and maintain that emotion. As thw human being cannot be defined just by his body, his sexuality also has an invisible dimension. Humans recognize others and themselves through sexual relationships. Others are not instrumental beings for my libido, but beings of unique values. We have to understand the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 sexuality as personal problems rather than moral problems.
As human sexuality entered the realm of culture, expressions of sexuality began to be restricted, and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uality were defined and learned through sociocultural situations. Therefore, our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sex ar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learned through the spirit of the times. God does not create two types of human beings, male and female, but creates one human being as male and female. Human being is the image of God who practices agape. Eros is a conditional love that finds the value of love, and Agape is an unconditional love that creates the value of love. The inequality between male and female reflects the corrupt reality which is dominated by Ero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that the Bible aims for is to restore the created order through agap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