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주덕기 명창 가문의 예술세계 = The Arts World of Pansori Master Ju Deokgi’s Family
저자
김석배 (금오공과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45(39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주덕기 명창 가문의 소리꾼들은 소리 재능을 타고 났으며, 그 재능을 활짝 피워 판소리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본고에서는 전통예술 분야에서는 타고난 재능이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며, 전라남도 담양의 주덕기 가문에서 배출한 소리꾼들의 예술세계를 두루 살펴보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덕기 명창은 순조~철종 시대에 활동한 소리꾼으로 적벽가와 춘향가, 심청가 등에 뛰어났다. 춘향가의 사랑가・이별가・옥중가, 적벽가의 화용도에 뛰어났으며, 춘향가의 옥중몽유가가 그의 더늠이다. 심청가는 아들 주상환에게 전했으며, 적벽가는 박만순에게 전했다.
둘째, 주상환 명창은 주덕기의 아들로 헌종~고종 시대에 활동한 서편제 소리꾼이다. 심청가 명창으로 더늠은 심 봉사가 심청을 기르는 대목이다.
셋째, 주광득 명창은 송만갑과 김정문, 박동실에게 소리를 배운 것으로 짐작된다. 그는 다재다능한 예인으로 북과 설장구, 판소리, 창극 등에 두루 뛰어났다. 화랑창극단을 비롯하여 조선고전음악연구회, 국극협단, 국악사 등에서 활동하며 <춘향전>, <흥보전>, <탄야곡>, <도화선>, <백호성> 등에 출연하여 방자, 흥보 큰아들, 읍차 등 조연으로 인기를 얻었다. 박복남과 정춘실, 성준숙, 안숙선 등을 가르쳐 판소리 발전에 일조하였다.
넷째, 주운숙 명창은 주광득의 딸로 이명희, 이일주, 신영희에게 흥보가와 심청가, 수궁가, 춘향가를 배웠다. 1996년 제22회 전주대사습놀이대회에서 장원을 하였으며, 2017년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재 제8호 판소리 심청가 예능보유자가 되었다. 판소리 및 창극 공연, 제자 교육을 통해 판소리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The singers of pansori master Ju Deokgi’s family were born with a singing gift, and they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promotion of pansori culture by developing their gift.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rts world of the singers of pansori master Ju Deokgi’s family at Damyang, Jeollanamdo, with a focus on the importance of the innate gift in traditional ar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nsori master Ju Deokgi,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the reign of Kings Sunjo and Cheolj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outstanding in Jeokbyoeokga, Chunhyangga, and Shimcheongga. He excelled in Sarangga, Ibyeolga, and Okjungga of Chunhyangga, and Hwayongdo of Jeokbyeokga. His “deoneum” was Okjungmongyuga of Chunhyangga. Shimcheongga was passed on to his son, Ju Sanghwan, and Jeokbyeokga was passed on to Park Mansun.
Second, pansori master Ju Sanghwan was a son of Ju Deokgi. He was a singer of “seopyeonje” who was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s Heonjong and Gojong. He was a master singer of Shimcheongga, and his specialty was the scene of the blind father, Shim, bringing up his only daughter, Shimcheong.
Third, pansori master Ju Gwangdeuk was guessed to have learned pansori from Song Mangap, Kim Jeongmun, and Park Dongsil. He was multi-talented and remarkable in drums, Seoljanggo, pansori, and Korean classical operas. He was active in Joseongojeoneumakyeonguhoe, Gukgeukhyeopdan, and Gukaksa, as well as Hwarang Changgeukdan. He performed in <Chunhyangjeon>, <Heungbojeon>, <Tanyagok>, <Dohwaseon>, <Baekhoseong>, etc. He was very popular as a supporting actor, for example, as Bangja, the oldest son of Heungbo, and “eupcha.” He taught Park Boknam, Jeong Chunsil, Seong Junsuk, and An Sukseon, helping to develop pansori.
Fourth, pansori master Ju Unsuk is a daughter of Ju Gwangdeuk, who learned Heungboga, Shimcheongga, Sugungga, and Chunhyangga from Lee Myeonghui, Lee Ilju, and Sin Yeonghui. She won the Grand Prix at the 22nd Jeonjudaesaseupnoli Contest in 1996, and she became the 8th holder of Daegu City Intangible Cultural Porperty for Pansori Shimcheongga in 2017. She i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pansori by performing pansori and Korean classical operas, and also teaching her student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5-03-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536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