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메가시티의 복합안보위협과 거버넌스 구축 및 대응 전략 ―군의 역할을 중심으로― = The Complex Security Threats of Mega City and the Strategy of Governance Approach ―Focusing on the role of the military―
저자
이웅 (육군사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180(34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is article mainly focused on the proliferation of the mega city, which has become a major trend that prevails the world and on the security vulnerability in the urban area, which was not discussed enough in discussions about emerg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emerging security).
To review this research topic, this article considered theoretical discussions on non-traditional security treats carefully. With this process, the mega cities’ essential characters and vulnerabilities, which are derived from overpopulation and complexity of various infrastructures, acts as a major variable in the security has been suggested.
In details of policy development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ance response system to cope with the new and complex security threats of mega-cities to reduce the cascade of disasters and strengthen resilience. At second, in the governance response system,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ilitary interventio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preparation for complex security threats that are direct or indirect in all domains. At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mart response infrastructure incorporating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against complex security threats in consideration of future trends.
Considering the spread of megacity, the existing countermeasures against emerging security threats in urban areas are not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security threats may overlap and occur simultaneously, and a governance level response system needs to be designed.
본고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주요 트렌드로서 메가시티 확산과 관련하여, 기존의 신흥안보 관련 논의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도시 지역에서의 안보적 취약성 증대 현상을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최근 부상하는 비전통적 위협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상주인구의 밀집 현상과 각종 기반 체계의 복잡성 등으로부터 비롯되는 메가시티의 본질적 속성이 안보적 측면에서 주요 변수로써 작용함을 군사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범국민적 차원에서의 복합적인 안보위협에 관한 범국가적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 및 추진 전략에 대해 군의 역할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정책개발 제언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가시티의 새로운 복합안보위협에 대응하는 거버넌스 대응체계 구축을 강화하여 재난의 상호연쇄적 효과를 감소시키고 회복력을 제고시켜야 한다. 둘째, 둘째, 거버넌스 대응체계에서는 모든 영역(all-domains)에서의 직・간접적인 복합안보위협에 대비하여 군사적 개입(인적・물적 자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미래 트렌드를 고려하여 복합안보위협에 대한 첨단과학기술을 접목시킨 스마트 대응 인프라를 수립해야 한다.
전 세계적 트렌드인 메가시티 확산 추세를 고려 시, 도시지역에서는 새롭게 대두되는 안보위협에 대해 기존의 대응방식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다양한 안보위협요인이 중첩되어 동시다발적・복합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응체계가 거버넌스 차원에서 설계될 필요가 있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9 | 0.58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