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비전통 안보위협의 부상과 한미일 안보협력 방안 =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and Security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저자
설인효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49-79(3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COVID19 has become an event that clearly reveals the importance of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 national security. Today, a number of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clud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re largely due to the globalized international order, which has expanded its scale and deadly nature. Therefore, it will be difficult to restore the globalized world, which is a source of international prosperity and stable relationship among states, if effective systems to respond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are not established. However, international cooperation, which is the core of an effective response, is likely to be constrained, as the COVID19 is expected to amplify competitive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ing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at has been already underway.
From now on, the military should be reborn as a competent defense with expertise in responding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in order to protect itself from the threats such as large-scale infectious diseases and maintain wartime preparedness even in those threats. Furthermore, the role of leading defense cooperation in responding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will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restor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globalized international order in the post-Corona era. The military, which has the ability to quickly transport personnel, equipment and supplies, can play a unique and critical role in promoting international defense cooper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defense cooperation system,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and effectively to a crisis in a country so that the spread of the crisis can be effectively blocked.
Meanwhile, it is hard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such a post-COVID19 crisis further amplifying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where U.S.-China competition is escalating and negotiations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program remain stalled. By actively pushing for security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to respond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South Korea should take the lead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that is essential in the post-Corona phase, while actively creating favorable strategic conditions to avoid falling into a bilateral selective situa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Efforts to establish an effective defense cooperation system against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can not only be resisted by China, but also gain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well as enhance interoperability in carrying out operations.
Defense cooperation in responding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could serve as an opportunity for South Korea and Japan to pursue security cooperation by separating historical and security issues. It is hard to expect the history issue to be resolved in a short period of time, but if Korea and Japan gradually expand defense cooperation to cope with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such as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it will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security cooperation among three countries to enhance regional stability in the long run.
코로나19는 국가안보에 있어서 비전통 안보위협의 중요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사건이 되었다. 오늘날 감염병의 확산을 비롯한 다수의 비전통 안보위협은 세계화된 국제질서로 인해 그 규모와 치명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체제를 수립하지 못할 경우 국제적 번영과 안정적 질서의 원천이 되는 셰계화된 국제질서를 복원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는 이미 진행되고 있던 미중경쟁을 포함한 경쟁적 국제관계를 악화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어 국제협력은 위축되고 제약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한 효과적 대응 지원과 국제적 국방협력을 주도해 나갈 군과 국방의 역할 확대가 주목된다. 향후 군은 대규모 감염병과 같은 비전통 안보위협으로부터 군 자체를 보호하고 이를 통해 전시대비태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정부와 민간을 지원하여 조기에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도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한 전문적 대응역량을 갖춘 유능한 국방으로 거듭나야 한다. 나아가 비전통 안보위협 대응을 위한 국방협력을 선도하는 역할은 포스트 코로나 국면에서 국제협력을 복원하고 세계화된 국제질서를 회복하는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인력과 장비, 물자를 신속하게 수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군은 국제적 국방협력 증진에 있어서 독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효율적 국방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한 국가에서 발생한 위기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위기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코로나19 이후의 위기는 미중경쟁이 더욱 고조되고 북핵 협상이 교착상태에 머물고 있는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더 증폭된 모습으로 전개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한국은 비전통 안보위협 대응을 위한 한미일 안보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감으로서 포스트 코로나 국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국제협력을 주도해 나감과 동시에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양자택일적 상황에 빠지지 않기 위한 유리한 전략적 여건을 적극적으로 조성해 나가야 한다.
비전통 안보위협에 대한 효과적 국방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은 중국도 거부할 수 없고 국제사회의 지지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전 수행 시 상호 운용성 증진을 통해 미래의 위기에 공동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도 증진시킬 수 있다. 비전통 안보위협 대응을 위한 국방협력은 한국과 일본이 역사 문제와 안보 문제를 분리하여 안보협력을 추진해 나갈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한일 간 역사 문제가 단기간 내에 해결되기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당면한 과제인 감염병 대응 등 비전통 안보위협 대응을 위한 국방협력을 다양한 수준과 분야에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면 지역 안정에 기여할 수 있는 한미일 안보협력의 중요한 기반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9 | 0.58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