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직과 사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 비교연구 = An Empirical Comparative Study about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저자
노순규 (한국기업경영연구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325.000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25-147(23쪽)
제공처
소장기관
1. Introduc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
Various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competitiveness since Becker(1960).
In Korea,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organizational commitment will be lower than private one. The reasons are comparative low compensation, concentration, inadequat conflict system, personnel rigitidy. And there are many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xamp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personnal characteristics.
2. Results
The main findings acquired through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not the differenc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 but there is the difference of continuance commitment.
2) In the result of T-Test, public organization is role overload, job security higher than private organization and is lower in role conflict, role autonomy, compensation, grevience procedure, flexibility(compensation, punishment, promotion).
3) Based on previous theoretical reason,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organization is lower than that of private organization. In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erssion, there is not organizational commitment difference between public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ivate organizational commitment(Beta:0.012, T:0.255, p:0.799, by using P8 variable). Theref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organization is same that of private organization. Bu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ose organizations.
Y=a+b3N3+b4N4+b5N5+b6N6+b7N7+b8N8+b9N9+b10N10+b11N11+b12N12+b13N13+b14N14+b15N15+b16N16+b17P1+b18P2+b19P3+b20P4+b21P5+b22P6+b23P7+b24P8
3. Discussion and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ides a test of a correlational model of the antecedents which was established by prior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in public & private organization. I conclude that to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organization there must be the decreasing role overload & the increasing in role autonomy, compensation, grievance procedure, job security, personnel flexibility(compensation and promotion), especially people must encourage public official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ory and mod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 private organization, but has also several limitations, for example,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limitation of operation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s variables, problem of sample representativeness. I think that a longitudinal study is necessary to find how the orgizational commitment will be varied by passing time. I hope that the model and findings presented here will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empirical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phenomenon as well as a more efficient theory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