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한국 근대 ‘주부’ 개념의 정착과 주부 역할의 변화 양상 :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Modern ‘Housewives’ roles in the 1920s and 30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주제어
KDC
800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15-252(38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이 글에서는 1920~30년대에 주부들이 부여받은 역할과 권한의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처음에는 교육받은 여성들이 결혼하여 꾸린 가정 내에서 모든 주도권을 가진 어떤 이상적, 관념적 존재를 ‘주부’라고 상정하였었다. 그러다가 1920년대에 들어서는 주부가 일상어로 자리 잡으면서 ‘주인의 아내’, ‘여자주인’을 뜻하는 말로 범용(汎用)되었지만 여전히 교육받은 여성을 지향하고 있었다. 그런데 1920년대 중반 사회주의 여성해방운동 담론이 등장하면서 여성교육의 목표가 현모양처, 주부 만들기에 있는 것에 대한 비판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부터는 다시 여성교육의 목표가 주부의 양성이었다. 그리고 1930년대 후반부터는 ‘주부’를 ‘며느리’와 등치시키는 담론이 자주 등장하면서, 주부의 의미에 내포되어 있었던 가정 내 독점적 주도권이 흐려진다. 주부에게 가정 내에서 요구된 역할은 가사노동과 장보기였다. 효율적인 가사노동의 기술이 늘어나면서 가정은 합리화, 과학화되었지만, 주부들의 가사노동 부담은 점점 커졌다. 그러나 주부가 가정 내 경제권과 소비의 자율권을 갖게 되면서 주부는 새로운 권리와 사회적 역할을 부여받게 되었다. 주부들은 소비와 연대를 통해 가정경제뿐 아니라 조선의 실물경제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재들이 되었다.
더보기This paper looked at the roles, responsibilities and authority of housewives from 1920s to 1930s in relation to women’s education, domestic labor and economic rights. At first, educated women were called them housewives when they had all the initiative in the family after they got married. In the 1920s, housewives became everyday words and were commonly used to mean “owner’s wife” and “woman’s owner.” But housewives still meant educated women. In the mid-1920s, however, feminists in the socialist women’s liberation movement criticized women’s education to create a good wife and a housewife. However, from the 1930s, the goal of women’s education again became to foster housewives. And even after graduating from school, women had to receive a more advanced education for housewives. Since the late 1930s, ‘housewife’ has become the same meaning as ‘daughter-in-law.’ Now the owners of the family were not newly married housewives but mother-in-law. This is because the younger generation could not make independent families even if they were married. The most important task for educated housewives was efficient housework. However, the rationalization of domestic labor was in fact urging housewives to work alone. The housewife had to do all the housework she had with the householders and family members by herself now. Housewives were demoted from the position of “manager” to the position of “worker.” Nevertheless, there was hopeful prospect of a housewife’s role. It was because housewives had roles as consumers. The new duty entrusted to the housewife was to shop. Housewives now know how to save and plan for consumption of planning. And they learned how to purchase goods reasonably and economically through consumer unions. This was the greatest authority given to a housewife. Housewives have become influential not only in the domestic economy but also in the real economy of Joseon through consumption and solidarity.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4 | 0.64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