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뷰티 유튜브 채널구독 이용동기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영상길이에 따른 조절효과 및 채널구독 특성에 따른 매개변수 분석

    • 저자

      권미정

    •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 커뮤니케이션학과 영상콘텐츠 전공 2020. 8

    • 발행연도

      202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91.4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The Effect of Motivation on the User Satisfaction of Using Beauty YouTube Channel: Analysis of parameters according to the adjustment effect according to image length and channel subscription characteristics

    • 형태사항

      vii, 152 p. : 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김종무
      참고문헌 : p.130-145

    • UCI식별코드

      I804:11017-000000195778

    • 소장기관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는 유튜브의 뷰티채널의 채널구독에 관한 연구이다.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한 유튜브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 새로운 창의적인 콘텐츠를 생산하고 보유하고 있는 방대한 콘텐츠가 일반 대중에게 긍정적이거나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러한 흐름의 중심에는 ‘채널구독’ 문화가 자리 잡고 있다. 유튜브에서 개인이 선택하는 ‘유튜브 채널구독’이란 이용자가 특정 유튜버의 채널을 자신의 계정에 북마크(즐겨찾기)해두는 행위를 말한다. 즉, 이용자가 보고 싶은 채널을 이용자 계정의 즐겨찾기 목록에 저장해 두는 것이다. 채널구독은 추가로 비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각 채널에 존재하는 ‘채널구독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자동으로 채널구독이 신청되고, 이용자가 원한다면 아무 조건 없이 채널구독을 취소할 수 있다.
    유튜브 이용자중 모든 사람이 채널구독을 하는 것은 아니며 채널구독을 하는 사람과 하지 않는 이용자와 채널구독을 미루는 사람과 습관적으로 많이 부르는 사람으로 분류되며 특정한 영상의 분류와 영상채널구독의 시간에 따라서도 채널구독의 행태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유튜브 뷰티채널의 채널구독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채널구독의 특성)과 조절변수(영상 시간)로 나누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유튜브 채널구독에 관한 선행연구인 유튜브 이용자의 채널구독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연구(이보미, 2019)와 동영상 1인 미디어 채널 중 유튜브 하석태 TV의 채널구독자 유입증가를 위한 방안연구(고서연, 2019)의 선행연구가 있으나 최근에 연구가 시작되어 심도 깊은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IT기술의 발달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하는 진입장벽은 현저하게 낮아졌으나 1인 방송에 대한 경쟁력과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채널구독자의 유입과 증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트렌트를 반영하여 2020년 3월에 남녀(500명)를 대상으로 설문 진행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중에서 을 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하고 총 467부를 설문에 사용하였다. 가설의 실증적 분석과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검정,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경로분석, 매개효과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뷰티 유튜브 채널구독 이용동기 중 사회적 영향과 시간절약은 구독만족, 지속구독, 공유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뷰티채널 중에서 사회적으로 영향력이 있거나 시청자의 시간을 절약해주는 콘텐츠는 구독만족도와 공유의도, 지속구독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채널 구독 특성에서는 유용성은 지속구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나 유용한 영상은 지속적으로 구독하고자 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채널구독의 특성의 매개역할은 사회적 영향이 구독만족, 지속시청, 공유의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절약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 유튜브 채널구독 이용 동기 중에서 사회적 영향과 시간절약이 구독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튜브 채널의 영상시간은 두 분류로 나누어서 이용 동기와 구독만족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에서는 총 21개의 조절효과 분석에서 10분이상의 영상이 총 17개의 경로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튜브를 활용하여 뷰티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행동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뷰티관련 기업의 마케팅 담당자들이 유튜브 채널구독의 이용 동기와 채널 구독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자의 뷰티제품 구매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 목 차
    • Ⅰ. 서론
    • 1. 연구배경 1
    • 2. 연구의의 및 목적 3
    • 3. 연구방법 및 구성 4
    • Ⅱ. 이론적 배경 5
    • 1. 유튜브 용어의 정의 5
    • 1.1 유튜브 개념과 분류 7
    • 1.2 유튜브 특성과 효과 11
    • 1.3 유튜브 사용자에 관한 연구 15
    • 1.4 유튜브 뷰티채널 현황 23
    • 1.4.1 K-뷰티의 확산 37
    • 1.4.2 뷰티 유튜브 관련 선행연구 44
    • 1.4.3 뷰티 유튜브 발전전망 47
    • 2. 유튜브 이용동기 관련이론 53
    • 2.1 이용과 충족이론 53
    • 2.2 뉴미디어 채택통합이론 59
    • Ⅲ. 연구방법 63
    • 1.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63
    • 1.1 연구모형 63
    • 1.2 가설설정 64
    •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67
    • 2.1 유튜브 채널구독 이용동기 67
    • 2.2 뷰티 유튜브 채널구독의 특성 71
    • 2.3 뷰티 채널의 영상길이 75
    • 2.4 종속변인 78
    • 3. 조사 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81
    • 3.1 표본선정 및 자료조사 방법 81
    • 3.2 자료 분석방법 82
    • Ⅳ. 연구결과 83
    • 1. 응답자의 인구통계적 특성 83
    • 2. 신뢰도 검증 85
    • 3. 기술통계량 89
    • 4. 상관 분석 89
    • 5. 확인적 요인분석 92
    • 6.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96
    • 7. 개념타당도 검증결과 98
    • 8. 구조모형의 적합도 검증결과 99
    • 9. 연구문제 검증결과 101
    • 9.1 연구가설 1 검증결과 101
    • 9.2 연구가설 2 검증결과 103
    • 9.3 연구가설 3 검증결과 106
    • 9.4 연구가설 4 검증결과 108
    • 9.5 연구가설 5 검증결과 113
    • Ⅴ. 결론 117
    • 1. 가설 검증 117
    • 2. 결과 요약 125
    • 3. 연구의의 및 제언 126
    • 4.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28
    • 참고문헌 130
    • 영문요약 146
    • 부 록(설문지) 149
    더보기
    • 1 두산백과, 유튜브, "검색(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25376&cid=40942&categoryId=32837), 2019
    • 2 김정기, "이용과 충족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5-7, 2016
    • 3 김요한, 이명천, "문화콘텐츠 마케팅",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4 김완석, 차주화, "신체가치와 소비행동", 한국심리학회지 : 소비자 광고, 7(3), 455-485, 2006
    • 5 나은경, 나은영, "엔터테인먼트 심리학", 서울: 컬쳐북, 2019
    • 6 최민재, "동영상 UCC와 저널리즘", 한국언론재단, 2007
    • 7 김평수, 장규수, 윤홍근, "『문화콘텐츠 산업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5-50, 2016
    • 8 김덕중, 남상현, "(편) 싸이, 그 이후의 한류", 서울: 한국문화산업교류재단. 2~6, 2016
    • 9 박보영, "남성 색조화장의 역사적 고찰",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3, 39-48, 2002
    • 10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0.0", 서울: 집현재, 2013
    • 11 최민재, 양승찬, "인터넷 소셜 미디어와 저널리즘",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9
    • 12 최명호, "1인 창작을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5
    • 13 손재권, "모바일 시대 언론사의 대응 전략",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5, 2015
    • 14 김해진, "신체이미지에 따른 신체관리행동",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15 송민정, "MCN 산업 및 국내 크리에이터의 미래", 2016 광주세계 웹 콘텐츠 페스티벌 국제컨퍼런스 발제문, 2016
    • 16 유튜브, "'검색'까지 점령하나?(데일리안 기사", (http://www.dailian.co.kr/news/view/781035/?sc=naver), 2019
    • 17 최세정, "MCN 브랜디드 콘텐츠의 광고효과 분석",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8
    • 18 이상기, "언론의 상업주의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언론정보학보, 26-47, 2011
    • 19 유튜브, "전 연령대에서 사용시간 1위(미디어오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mod=news&act=articleView&idxno=144466), 2018
    • 20 전병준, 최동길, "분절화 콘텐츠 시장의 등장과 E-비즈니스", e-비즈니스연구, 11(5),143-163, 2010
    • 21 김정기, "대학생 수용자의 텔레비전 시청동기 연구", 한국언론 학보, (35) 37-70, 1995
    • 22 오형일, 이현우, "지상파 콘텐츠 시청서비스 조합유형 분석", 한국방송학보, 27(4), 251-293, 2013
    • 23 김위근, 황용석, "젊은세대 의 뉴스 미디어 이용: 현황과 전망",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12-13, 2013
    • 24 김원제, 송해룡, "미디어 콘텐츠, 창조기획과 스마트 비즈니스", 파주: 학술정보. 3-7, 2015
    • 25 안현경, "미용한류 K-뷰티 현상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뷰티경영학회지, 1(2), 223-233, 2013
    • 26 유튜브를, "여행하는 히치 유튜버를 위한 안내서(The PR News", (http://www.the-pr.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193), 2018
    • 27 박소현, "2012 문화예술의 새로운 흐름(Trend) 분석 및 전망",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 28 이준웅, 황현정, "누가 어떻게 트위터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가?", 한국언론학보, 58(5), 5-35, 2014
    • 29 김순자, 장어성, 이유빈, 맹해양, "한국 화장품의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3(4), 73-83, 2013
    • 30 노 영, "SNS 이용 동기가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연구", e-비즈니스연구, 17권 3호, 301-320, 2016
    • 31 김상용, 노승국, "뮤지컬 더블캐스팅에 대한 소비자 구매의도 연구", 문화경제연구, 18권 1호, 207∼211, 2015
    • 32 이규탁, "드라마-K팝 이을 새 콘텐츠 발굴해야. 신문과 방송", 10월호, 16-21, 2016
    • 33 이선정, 이수범, "K-뷰티 (K-Beauty) 검색량이 수출과 관광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제연구, 20(2), 119-147, 2017
    • 34 이학식, 채규학, 이호배, "소비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개성과 라이프스타일의 영향", 마케팅연구, 7(1). 65-79, 1992
    • 35 김현지, "테니스 동호인의 여가태도가 스포츠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1(3), 41-48, 2010
    • 36 강명신, "텔레비전의 기능적 대안으로서 인터넷 방송에 관한연구", 한국언론학보, 46(1)호, 9-38, 2000
    • 37 권상희, 조은정, "TV 프로그램 장르별 의사사회 상호작용 차원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3권 2호, 51-101, 2009
    • 38 이학식, 임지훈, "소비관련 감정, 만족, 그리고 제품 태도간의 구조적 관계", 경영학연구, 30(4), 1115-1142, 2001
    • 39 정용국, "여대생의 뷰티 유튜브 이용동기 및 시청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권 3호, 7-28, 2018
    • 40 안소현, "YouTube에서 제공하는 아토피 피부염 관련 동영상 평가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41 유철우, 최영찬, "인터넷 쇼핑몰에서 충성도와 동일시, 지각된 즐거움, 신뢰",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0(3), 3-24, 2009
    • 42 이홍주, 최재원, "“개인화 추천시스템의 사용자 평가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전자거래학회, 17권 3호, 85-103, 2012
    • 43 전범수, 최믿음, "웹툰 이용 동기 및 구성 요소가 이용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방송문화연구, 26권 2호, 93∼120, 2014
    • 44 초등생, "희망직업 5위 '유튜버'…교사 의사 선호도 떨어져(중앙일보", (https://news.joins.com/article/23206094), 2018
    • 45 김창수, 오은해, "모바일 게임의 특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향에 한 실증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경제연구, 21(1), 227-255, 2006
    • 46 김연정, "소비자의 기술형식 수용유형과 동영상 UCC 서비스 참여 수준",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27권 1호, 209∼219, 2009
    • 47 유튜브가, "수익배분하자. 유튜버 키우는 MCN 사업 급성장(이코노미조선",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5573nhn?volumeNo=15573371&memb erNo=35002835&vType=VERTICAL), 2018
    • 48 최화영, "인터넷 개인방송 플랫폼의 경쟁우위에 관한 적소 분석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6, 2018
    • 49 김정기, "텔레비전 등장인물과 청소년 시청자의 의사(擬似)인간 관계", 한국방송학보, 제19권 1호, 255-285, 2005
    • 50 방통위, "년 N스크린 시청행태 조사 결과 발표(방송통신위원회, 2018.7.17", ) (https://kcc.go.kr/user.do?mode=view&page=A05030000&dc=K00000001&boardId=1113&boardSeq= 45050), 2016
    • 51 정연자, 최혜정, "뷰티관련 UCC 정보특성이 정보만족과 정보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2권 6호, 75-85, 2018
    • 52 정선주, "K-뷰티를 통한 저가 화장품 산업의 글로벌 브랜드화 전략 모색",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3), 679-693, 2017
    • 53 유혜경, "베트남 여성들이 지각하는 K-beauty와 한국화장품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4(3), 219-230, 2016
    • 54 김기영, "1인 미디어 분야에서 뷰티 크리에이터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뷰티디자인경영학부 교수 논문, 5-8, 2017
    • 55 김유미, 이상엽, 박재진, 김은진, "유명 연예인과 제품과의 관련 형태에 따 른 구매의도 효과 차이", 언론과학연구, 8권 2호, 177∼206, 2008
    • 56 이순희, 주영주, "한국 중년여성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1권 1호, 402-410, 2016
    • 57 진달용, "한국색 옅어진 ‘혼종 콘텐츠’ 유튜브 타고 확산. 신문과 방송", 10월호, 6-10, 2016
    • 58 원우현, 이주현, "상호작용성광 상호작용-새로운 광고 효과 측정방법에 대한 제언", 한국광고홍보학보, 9(1), 223-249, 2007
    • 59 김인재, 증가녕, "유튜브 뷰티채널에서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 향요인 분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60 고문정, 윤석민,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 비즈니스 모델 탐색", 정보통신정책연구, 23권 1호, 59∼94, 2016
    • 61 김동혁, "도서 발견과 소셜미디어 이용에 관한 연구 : 적소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언론정보학과 박사학위논문, 2018
    • 62 김영택, 한혜숙,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지각된 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23권 3호, 1519-1535, 2010
    • 63 전선규, 현용진, "상징적 관여 및 기능적 관여 상황에서 상표태도 형성에 대한 연구", 마케팅연구, 12권 1호, 77-98, 1997
    • 64 강수경, 최세정, 김태영, "웹툰 이용동기가 웹툰 이용과 PPL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5-106, 2015
    • 65 김성남, 진용미, 이중민, 오별, "청소년의 뷰티관심도와 정보관심이 뷰티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8권 3호, 515-522, 2012
    • 66 김범준, "인터넷 개인방송의 성공요인 분석: 아프리카 TV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 67 한수완, "트위터 이용 동기와 부정적 이용경험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68 유재홍, "「개인방송, 그 수익의 근원 : 누구를 위해 ‘별풍선’을 던지 나」", 한국통신학회지, 33권 4호, 71∼78, 2016
    • 69 강민수, "남자 대학생의 미의식과 외모관리 태도 유형에 따른 신체관리 행동",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70 이정교, 하승태, "미디어 이용량과 선호 콘텐츠 유형이 미디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5권 1호, 413-434, 2011
    • 71 김영주, "OTT 서비스 확산이 콘텐츠 생산, 유통, 소비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 구", 방송문화연구, 27권 1호, 75∼219, 2015
    • 72 이강진, 이설희, "노년층의 ‘스마트폰’이용 양상에 한 연구: 70 이상여성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3권 2호, 193-216, 2018
    • 73 손희진, "뷰티 유튜버의 영상 콘텐츠 분석, The Analysis ofBeauty Youtuber's Video Contents",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 74 유튜브, "페북 동영상 광고 `독점`, 시장 70% 점유…네이버는 하락(매일경제신문",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8/01/46459/), 2018
    • 75 윤태헌, 최미나, 이원준, "한류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3), 167-175, 2016
    • 76 김효숙, 홍수남, "이주여성의 뷰티관심도와 패션관심도가 패션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5권 2호, 123-133, 2013
    • 77 성장폭, "큰앱 ‘유튜브 성장비 높은 앱 ‘넷플릭스’(지디넷코리아1 (https://www", zdnet.co.kr/view/?no=20181016084241), 2018
    • 78 유튜브가, "대세, 8월 사용시간 333억분으로 전년동기 대비 42% 증가(금융소비자뉴스", (http://www.newsf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599), 2018
    • 79 강요나, "온라인 1인 미디어의 뷰티정보 제작자와 이용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1-163, 2017
    • 80 심미선, "다중미디어 이용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미디어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47(2), 40-73, 2010
    • 81 이보미, "유튜브 이용자의 채널구독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2018
    • 82 오대영, "정보원과 신뢰도가 학생의 대학 이미지와 대학 결정에 미치는 영향 차이", 언론과학연구, 15권 3호, 181-220, 2015
    • 83 오별, "중⋅고등학생의 뷰티관심도와 정보탐색이 뷰티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84 양일영, 이수영, "“이용 동기에 기반한 스마트폰 초기 이용자 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55(1), 109-139, 2011
    • 85 최철호, "프리미엄 미용실의 기대수준과 이미지가 신뢰와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86 김민정, 황재욱, 정아인, 이경진, 윤숙경, 류인균, 김석주, "여대생의 외모에 대한 타인 평가와 외모 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정신병리학, 13(1), 32-36, 2004
    • 87 유선영, "패션 소셜인플루언서의 영향력과 제품속성과의 상호작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8
    • 88 유수정, 이영주, 유홍식,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의 MCN 선택 동기와 창작자로서 불만족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권 8 호, 62-72, 2018
    • 89 송진개, 이영주, "개인방송 콘텐츠 수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 특성과 광고 태도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96호, 68-73, 2016
    • 90 강남준, 조성동, "다매체 환경 정착에 따른 수용자들의 매체이용 특성변 화와 이용매체 구성변화", 한국언론학보, 53(1), 233-256, 2009
    • 91 김종무, "인터넷 라이브 방송 시청동기가 시청만족도와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2), 141-152, 2017
    • 92 김유경, 이승미,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CEO 이미지,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몰입 간의 관계", 관광연구저널, 30(9), 115-127, 2016
    • 93 이희은, "유튜브의 기술문화적 의미에 한 탐색 : 흐름과 알고리즘 개념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27권 2호, 5-46, 2019
    • 94 고경아, 하대권, 이주희, "1인 미디어 이용자들의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시청 동기 및 사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20(2), 178-215, 2018
    • 95 박성화,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구전 수용 과정 연구 : 정보원 신뢰(source trust)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9, 2009
    • 96 정철호, 정영수, "개인 커뮤니티의 지각된 특성이 만족 및 지속적 사 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16(13), 133-159, 2007
    • 97 김훈순, 차희원, 배지양, "금융권 이상적 이미지, 정보원 신뢰도 및 이슈 중요도 인식과 금융기업명성 간 관련성", 홍보학연구, 11(2), 89~125, 2007
    • 98 정윤재, 최지윤,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매스미디어 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8권 4호, 47-72, 2017
    • 99 이시훈, "인터넷 광고효과의 인과적 모델에 관한 연구: 플로우 (FLOW) 경험의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60, 1999
    • 100 정재민, 유은, 김설예, "인터넷 개인방송의 이용동기와 사회적 시청 요인이 지속이용과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문화경제연구, 19(3), 57-84, 2016
    • 101 남승윤, 박보람, "“유튜브를 활용한 콘텐츠 마케팅 전략 연구 - 국내 로드숍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6(2), 63-81, 2017
    • 102 박정숙, 변정우,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SNS의 지각된 즐거움이 고 객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레저연구, 25(1), 419-435, 2013
    • 103 리리핑, "유튜브 일인 미디어 방송의 플로우와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7
    • 104 김해선,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문화 및 개인목표 행동적 접근",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 105 유선영, "패션 소셜인플루언서의 영향력과 제품속성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8
    • 106 박종구, "“뉴미디어 채택에 관한 통합모델 IAM-NM:트위터와 페 이스북에 대한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 2011
    • 107 박웅기, "가수 [싸이]를 대상으로 한 트위터 상에서 대학생 트위터리안의 사회현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24호, 49-75, 2014
    • 108 박성현, "한류 소비자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2002~201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한류비즈니스연구, 1(1), 49-71, 2014
    • 109 나은영, "강한 태도와 편파적 처리 과정을 포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이중 처리 과정 이론의 확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2(1), 37-70, 1998
    • 110 정용국, "초등학생이 좋아하는 만화영화 캐릭터의 특성 및 동일화 갈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3권 6호, 262-286, 2009
    • 111 손동진, "디지털 인플루언서의 광고 콘텐츠 신뢰성 요인에 대한 연구 : 유튜버 브랜디드 콘텐츠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예술디자인대학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8
    • 112 이태민, "모바일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성 구성요인이 고객관계 구축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연구, 19권 1호, 61-96, 2004
    • 113 오은해, "소셜 미디어의 이용 동기가 소셜 미디어의 상호작용과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경제연구, p.27(1). 49-74, 2012
    • 114 임병학, "유투브의 방문횟수에 대한 온라인 비디오 네트워크의 영향: 강남 스타일의 패러디 비디오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10(1), 1-15, 2013
    • 115 박병언, 임규건, "일반 영향 요인과 댓글 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 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 요인 연구", 지능정보연구, 21(3), 41-58, 2015, 2015
    • 116 김현진, "트랜스미디어 환경에서 케이팝(K-Pop) 콘텐츠의 참여적 이용에 관한 연구 : 유튜브 콘텐츠 SNA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미디어학과 미디어전공 박사 학위 논문, 2018
    • 117 김동우, 이영주, "스크린 서비스의 이용행태 콘텐츠 기능 비용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논문지, 18(5), 749-757, 2013
    • 118 주링즈, "“뷰티 유튜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성 과 브랜드태도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119 오미영, "미국 내 한류의 원산지 효과에 관한 연구: 한류 콘텐츠 유형 및 제품 유형에 따른 원산지 효과 양상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7(7), 89-119, 2016
    • 120 금현수, "VOD 이용과 효과의 관계 연구 : 심리적 사회적 요인, 이용동기, 이용행위, 수용자 활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 학위논문, 42~43, 2017
    • 121 조경희, "항공사 승무원의 신체적 매력성이 대인지각과 서비스 수행 능력판단에 미치는 영향: 얼굴 매력성과 체형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122 박상호, 성동규, "지상파 3사의 미디어 신뢰도와 TV뉴스 이용에 관한 연구: 대학생들의 선호집단별 미디어 신뢰도 평가를 중심으로. 방송연구", 여름호, 213~242, 2005
    • 123 오종철, 황순호, "1인 크리에이터 방송 이용자의 시청만족 및 채널구독의도에 관한 연구: 자아일치성과 소비자 혁신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19권 6호, 137-157, 2018
    • 124 이가영, "유튜브 일상 콘텐츠(VLOG)에 대한 밀착된 시청이 시청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의사사회 상호작용 및 사회적 실재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7
    • 125 이윤재, "뉴미디어의 상호작용성과 사회성이 고객주도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집합적 효능감과 연결적 사회자본 형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126 김재범, 최명일, "대학생의 스포츠 중계 진행자 특성인식이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의사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51권 6호, 91-110, 2007
    • 127 김기윤, "“1인 미디어의 산업적 특성과 이용 현황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기술활용 진 화의 관점에서 MCN 사업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6(1), 213-248, 2017
    • 128 이선정, "K-뷰티(K-Beauty) 한류 콘텐츠 확산을 위한 온라인 동영상 홍보 전략 연구 - 유튜브(YouTube) 콘텐츠 네트워크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인천대학교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7
    • 129 임소혜, 조윤희, "실시간 인터넷 1인 방송의 상호작용성이 의사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실재감,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 동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연구", 겨울호, 82-117, 2018
    • 130 김상화, "미디어 이용이 남자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매개효과 및 대인 상호작용, 자아존중감, 성역할 정체감의 조절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