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심판의 불법행위책임 = Tort Liability of Referee
저자
최경진 (경원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7-52(16쪽)
KCI 피인용횟수
8
DOI식별코드
제공처
A sport is a series of activities related with many participants, such as player, referee, coach, sponsor, team, manager and spectators. Until now, most of legal issues has focused on the liability of player or team at the breach of contract. Many papers deals with tort liability for injury to a player caused by other player during the game. However, referee's liability has been hardly issued in Korea. Recently, a fabricated professional game case was a hot issue in Korea. So, this paper looks especially into referee's liability from tort liability.
Recovery by tort will be allowed when all requirements for general tort liability under Article 750 of the Civil Code is met. Most requirements for referee's liability are very similar to general one, but concrete duty of care for referee is different. The referee's standard of care is pone of an ordinarily prudent referee under similar circumstances. Details of duty to care are followings: duty to enforce rules, duty to protect participants, duty to warn, duty to anticipate reasonably forseeable dangers and duty to control game. But referee can use defences like assumption of risk or consent. Furthermore, pro league or sport association might be liable for referee's tort if there exists some sort of employment relationship between referee and league or association. In conclusion, referee can be liable for his/her breach of duty to care in sports games. But, it's likely to threaten neutrality of referee,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tion of new liability insurance policy for referee's negligence during game.
최근 심판의 승부조작이 논란이 되면서 심판에게 어떠한 민사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가 관심이 되고 있다. 심판은 경기규칙에 따라 경기를 진행하기 때문에 심판의 책임은 대부분 직접 운동경기를 하는 선수들 사이의 인적 손해에 대하여 심판이 어떠한 책임을 지는가가 문제된다. 그리고 승부조작과 같은 예외적인 고의행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에 대한 책임도 문제된다. 그런데 심판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실제 심판에게서 손해배상액을 받아내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심판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협회나 연맹 등에 대하여도 심판의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도 논의가 필요하다. 이 글은 종래 별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운동경기와 관련한 심판의 책임에 대하여 민사상 불법행위책임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즉, 심판은 운동경기를 감독하고 경기규칙에 따라 적절히 운영할 책임을 가진다. 이러한 책임 하에서 심판은 경기 참가자를 보호하고, 위험을 경고하거나 합리적으로 예견 가능한 위험을 방지할 의무를 가진다. 이러한 주의의무를 해태한 경우에는 민법상 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한편, 심판의 자격이나 운영에 대하여는 심판이 등록 또는 소속된 협회나 연맹이 관리·감독하고 있는데, 이러한 양자의 관계를 기초로 심판의 불법행위에 대하여 협회나 연맹이 손해배상책임을 져야 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즉, 사용자책임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인데, 판례에서 밝힌 것처럼 실질적인 지휘·감독 관계가 존재한다고 인정된다면 사용자책임을 인정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다. 향후 운동경기에서 심판의 중립적인 역할을 담보하고 운동경기 중 발생한 손해로 인한 소송의 위험으로부터 일정 부분 보호하여 스포츠의 발전에 기여하기 위하여 심판의 위험을 사회적으로 분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서 장기적으로는 심판책임보험제도의 도입을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
아직 심판의 책임에 대한 연구는 너무나 빈약하기 때문에 향후 보다 깊이 있고 각각의 스포츠 영역 별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스포츠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6-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9-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 KCI후보 |
2007-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8 | 0.741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