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실제 맥락에서의 학습전이에 관한 민속방법론적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사례 분석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5
작성언어
-주제어
KDC
373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55-370(16쪽)
제공처
목적 이 연구는 학습에서의 체화와 전이에 관한 핵심적인 학습과학의 탐구 주제로서, 실제 맥락에서의 학습경험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실제맥락에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학습과학적 연구방법으로 이 연구에서는 민속방법론(Ethnomethodology, EM)에 의존하였다. EM은 에이전트들 간의 상호작용이 생성하는 실시간 상황 맥락의 구성 및 실천적 추론과 행위에 관한 질적인 분석을 통해 체화경험과 상황학습에 관한 체계적 관찰 분석의 가능성을 열어줌으로써 학습과학의 중요한 연구방법론을 제공해주었다. EM은 학습자들이 접하게 되는 개념들의 내면적 이해가 체화, 즉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변화되는지를 탐구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대상은 H대학의 대학원에서 진행한 16차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사례이다.
결과 첫째, 학습에서의 전이는 학습 과정 전반에 걸쳐 지속해서 나타나는 역동적인 특성이 있다. 둘째, 전이는 지식을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요인과 상호작용하고 상황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셋째, 전이는 단순히 지식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지식을 재구성하고 깊이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결론 학습에서의 전이는 참여자 간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생성한다. 즉, 전이는 지식을 활용하기 위해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요인과의 상호작용이라는 상황 맥락의 흐름 과정에서 생성된다. 전이를 촉진하는 교수 전략은 학습자가 해당 지식을 포함한 자신의 맥락에서 취할 수 있는 일체의 자원을 가용할 수 있는 참여의 공간을 열어줌으로써 스스로의 판단과 행위를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극대화고자 하는 역할로 볼 수 있다. 학습경험의 디자인 관련 추후 연구에서는 학습 디자인의 중요한 관건으로 에이전트들 간의 상호작용으로 드러나는 상황맥락적 추론과 행위로 인해 생성하는 미시적 맥락 흐름의 역동성 조건 및 그 설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learning experiences in real contexts as a core learning science inquiry topic regarding embodiment and transfer in learning.
Methods This study relied on ethnomethodology (EM) as a learning science research method on learning experiences in real contexts. EM opened up the possibility of systematic observation and analysis of embodied experiences and situated learning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of real-time situational contexts creat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agents and practical reasoning and behavior, thereby providing an important research methodology for learning science. E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xploring how learners’ internal understanding of concepts they encounter is expressed and changed in the process of embodiment, that is, interaction. The subject of analysis in this study was a 16-hour media literacy class conducted at the graduate school of H University.
Results First, transfer in learning has a dynamic characteristic that continuously appears throughout the learning process. Second, transfer appears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various factors and recognizing situations to utilize knowledge. Third, transfer is not simply applying knowledge, but is achieved through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and deeply understanding knowledge in various situations.
Conclusions Transfer in learning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knowledge through continuous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In other words, transfer is created in the process of the flow of situational context, which is the interaction with various factors experienced to utilize knowledge. The teaching strategy that promotes transfer can be viewed as a role that maximizes the room for learners to choose their own judgment and actions by opening a space for participation where they can use all the resources that they can take in their own context, including the knowledge. In future research on the design of learning experienc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ynamic conditions and settings of the flow of micro-contexts created by the situational inference and actions reveal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agents, which are important key points of learning design.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