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스포츠경제정책의 가치방향성 논의 -스포츠 산업화요구 및 혁신요구 수용을 통한 스포츠경제민주화 도입- = Discuss the value direction of sports economic policy -Introduction of sports economic democratization by accommodating sports industrialization needs and innovation demand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0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7-194(18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sport-economic politics. The economic leve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becoming a service industry, and there is a demand for change in policy direction and keynote following the rapi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also a demand for basic values and policy change in sports. In this regard, the level and direction of domestic sport economic policies and detailed development directions were discussed at the macro level. The scope of the content was focused on the demand for sports industrialization, the demand for sports innovation, and the direction of sports economy policy. It is time for the sports economy to discuss balanced economic democratization with quantitative expansion and expansion of p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I, the needs and values of sports industrialization were compared with China. In Chapter II, a media discours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nnovative value of sports. Finally, Ⅲ. The chapter conducted a search for the value direction of sports economic policy and suggested a direction for legal improvement. The conten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ports industrializ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national economy as a whole in terms of economy, and it can also lead to changes in social values. Second, since sports in Korea have characteristics as social capital,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ports as a means of realizing more democratic values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ere is a demand for the times to realize people's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values through sports. Third, according to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and economic needs, the sports industry is recognized as the main economic policy of the country, and a number of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However, the sports industry policy is still dependent on state support and some foreign capital. Now, when inducing the development of sports economic policy, it is necessary to pursue economic democratization with quantitative expansion.
더보기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경제정책의 방향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대한민국의 경제구조는 서비스 산업화 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경제정책의 기조에 대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스포츠의 기본가치에 대한 혁신적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국내 스포츠 경제정책의 발전방향을 거시적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내용적 범위로는 스포츠에 대한 산업화요구, 스포츠 혁신요구, 스포츠경제정책 방향논의로 구성하였다. 이제는 스포츠경제도 양적 팽창, 규모의 확대 논의에서 균형 잡힌 경제 민주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Ⅰ장에서는 스포츠 산업화 요구 및 요구가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제Ⅱ장에서는 스포츠의 혁신가치에 대한 담론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제 Ⅲ. 장에서는 스포츠 경제정책의 가치 설정방향을 논의하고, 법적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적 논의를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산업화는 경제적 측면에서 국가경제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 전체의 가치관의 변화를 유도한다. 둘째, 대한민국의 스포츠는 사회 자본으로써의 특성이 있으므로, 향후 보다 민주적인 가치를 실현하는 수단으로써 스포츠를 이해하여야 한다. 즉, 스포츠를 통한 국민의 참여와 민주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시대적 요구가 있다. 셋째, 국민체육 진흥법과 경제적 요구에 따라 스포츠산업은 국가의 주요 경제정책의 대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다수의 관련 정책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스포츠산업 정책은 아직 국가의 지원과 일부 대기업자본에 의존되는 성격을 보이고 있다. 이제는 스포츠경제 정책의 발전을 유도할 때도, 양적 팽창과 함께 경제 민주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6-1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7-09-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 KCI후보 |
2007-09-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3 | 0.78 | 0.741 | 0.27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