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규제강도에 관한 시론적 연구 : 신고규제에 대한 적용을 사례로 = Regulatory Stringency: With the Application of Report Regulations in Korea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2
작성언어
-주제어
KDC
322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47-185(39쪽)
KCI 피인용횟수
2
제공처
본 연구는 규제강도의 분석적 정의를 행위완결의 불확실성과 준수부담 및 처벌 강도의 종합적 수준이라고 제시하고, 그 정의의 그 타당성을 신고규제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규제강도의 분석적 정의에 입각하여 신고규제를 분석한 결과의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한 의미의 신고의 비중이 20%에 불과하였다. 즉, 현재 신고의무로 등록된 규제의 20%정도만이 규제강도의 측면에서 실질적인 신고제도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신고수리의 불확실성의 차원에서 보았을 때, 신고수리가 불확실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의 2배에 달한다. 즉, 명칭만 신고일 뿐 사실상의 허가·인가·면허제도로 운영되는 실태가 팽배하다는 것이다. 셋째, 신고제도의 본질적 속성에 부합하지 않는 강한 처벌도 상당수 발견된다. 처벌이 불필요하게 강하면 부정비리와 고압적인 행정의 악순환이 야기된다는 측면에서 불필요하게 강한 처벌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넷째, 신고소요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전체의 30%를 상회하고 있어, 현행 신고제도가 불필요한 부담을 민간에게 전가하고 있음도 명백하게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 전개과정의 부산물로서 우리나라의 현행 신고제도의 대부분이 신고라기보다는 상대적으로 고강도인 사실상의 허가·인가·면허이며, 다른 일부 역시 신고에 어울리지 않는 규제강도를 갖고 있음을 보였다. 이를 통해, 국민들의 규제개혁에 대한 실제 체감도가 왜 낮은지에 대한 답을 어느 정도 제시했을 것이라 기대한다.
더보기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nalytical definition of regulatory stringency and then verifying the validation of such defin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port regulations in Korea. Under the analytical definition of regulatory stringency as a level of composite three factors of uncertainty of legal completion of act, compliance burden, and the degree of punishment, 8 stereotypes with respect to regulatory stringency are developed. For instance, type1 is the case where uncertainty of act completion is high, burden of satisfying the regulation is severely high, and at the same time the level of punishment in the case of breaching the regulation is relatively harsh. Typically permission is a good example of the type 1 regulation. Similarity, type2, 3, 4, 5, 6, 7, and 8 represent each category, with examples in the same order such as corruption-prone in fact permission(type2), anarchistic permission(type3), discretion administration(type4), registration(type5), high pressure administration(type6), gate tax regulation(type7), report regulations(type8). And then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above analytical definiton and categories are valid,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report regulation in the Korean registration system via the operational definitions and concep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report regulations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substantially true report regulations were only 20% of the total number of the registered as report regulations in Korea. Second, the considerable number of report regulations are found to suffer from relatively strong punishment that does not correspond with an intrinsic attribute of the report regulation. Third, the relative number of substantially burdensome report regulations appear to be more than 30% of the total. It shows that the current report regulations in Korea shift unnecessary burden onto private sectors.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4 | 0.94 | 1.1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0.97 | 1.453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