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차문화공간과 다원(茶苑)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a Culture Places and Tea Gardens of Korea
저자
발행기관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학술지명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3(13쪽)
제공처
다수의 차문화 관련 사료에도 불구하고, 자연친화적 정원문화 특성으로 인해 한국에는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현존하는 다원이 드물며 그나마도 정리된 자료조차 빈약하다. 본 연구는 문헌 및 현장연구를 통해 한국 차문화를 개관하는 한편 대표적 다정에 대한 입지와 공간 및 시설 특성을 고찰하였다.
음다(飮茶) 주체는 승려를 비롯하여 대부분 선비 혹은 문인 사대부로 문예활동(文藝活動), 수신(修身), 망중한(忙中閑), 은일(隱逸)등의 행위와 사상이 내포되어 있으며 한국의 사찰이나 부속 암자에서는 일본의 다옥(茶屋), 다정(茶庭)과 달리 차를 마실 수 있는 음다공간(飮茶空間)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간단한 다구(茶具)를 활용하여 자연을 관망하며 자연에 동화될 수 있는 실외원(室外苑)을 찻자리로 택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특히 차를 즐기면서 시를 읊은 풍류적인 지식인이 많았는데, 그들 대부분은 별도 공간 없이 숲이나 마당을 자연스럽게 차생활 공간과 연계시키거나 사랑채·다정(茶亭)·누각 등을 자연 속으로 일체화시킨 차문화를 영위하였다. 한국의 전통 차문화공간은 이용주체에 따라 민속신앙과 신선사상에 의한 공간, 불교 및 유교 사상에 의한 공간으로 분류되며 그 공간은 매우 다양하고 가변적이다. 완도 보길도 동천석실, 강진 백운동 별서원림, 강진 다산초당원, 해남 대흥사 일지암 그리고 강릉 선교장 활래정 등 한국에 현존하는 대표적 음다공간은 뜰 안에 닫혀진 ‘다정(茶庭)’이라기보다는 시야가 열린 ‘다원(茶苑)’으로서의 성격이 매우 강했던 것으로 사료된다.
Despite the relatively large amount of tea culture related data in Korea, there are few tea culture spaces existing in comparison with China or Japa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nature-friendly tea culture in Korea. Based on the previous poin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ocation, space,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ea culture and representative tea that can represent tea culture space.
As tea places and tea gardens of Korea indicate, traditional tea culture places are very diverse and variable depending on the places’user and spatial characteristics based on dominant thoughts, such as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addition, Korean tea gardens have strong characteristic with open structure to naturally connect gardens and natu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Korean tea gardens referenced in this article―Dongcheonsuksil Garden, Baegundong Garden, Dasanchodang Garden, Iljiam Hermitage, and Hwallaejung Pavilion―were all created in the Joseon Dynasty. Tea gardens, such as pavilions and forests were mainly located in mountain valleys in order to take advantages of beautiful scenic views and high-quality water. Additionally, the positionning of tea gardens was closely related to the location of Camellia sinensis habitats especially in Jeollanam-do. Tea culture places were for monks, classical scholars, writers and noblemen. Thus, the places commonly hosted literary activities, including poetry, caligraphy, and drawings; and activities, such as moral training, relaxation, and seclusion.
Tea gardens belonging to temples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tea houses and gardens: there were no designated places for drinking tea, and outdoor tea places where one could commune with nature when drinking tea using simple tea things were preferred. Noblemen of the Joseon Dynasty did not make specific places for a tea life; instead, they naturally connected their tea life places with forests, yards, houses, and tea pavilions. When drinking tea, noblemen loved and enjoyed the arts in nature, and expanded their world of art. This might be mainly influenced by Taoism ideas.
Korean tea gardens are non-standardized and nature itself balances their freedom and autonomy. This characteristic of Korean tea gardens is based on the Korean people’s a intrinsic view of natur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