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
저자
이태욱
-
발행사항
서울: 좋은소프트, 1999
-
발행연도
199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004.79 판사항(4)
-
DDC
006.7 판사항(21)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 이태욱 저.
-
형태사항
374p.: 삽도; 25cm.
-
총서사항
좋은 소프트의 컴퓨터 교육 시리즈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373-375
-
소장기관
- 목차
- CHAPTER 1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 1. 저작 도구 = 18
- 1.1. 저작 도구의 개념 = 18
- 1.2. 저작 도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9
- 1.3 저작 도구의 장점 = 20
- 1.3.1. 시간과 노력의 절약 = 20
- 1.3.2. 질적 향상 및 코스웨어 개발의 대량성 = 20
- 1.4. 저작 도구의 문제점 및 보완 방법 = 21
- 1.4.1. 저작 도구의 문제점 = 21
- 1.4.2. 최근 개발된 저작 도구의 문제점 = 21
- 1.5. 저작 도구의 역사 = 22
- 1.5.1. 외국의 저작 도구 = 22
- 1.5.2. 국내 저작 도구 = 24
- 1.6. 국내외 저작 도구의 개발 현황 = 25
- 1.7. 저작방식에 따른 저작 도구의 분류 = 26
- 1.7.1. 아이콘 베이스 방식 = 26
- 1.7.2. 카드 기반의 스크립트 베이스 방식 = 26
- 1.7.3. 시간 흐름 방식(타임 라인 베이스 방식) = 26
- 1.7.4. 하이브리드 & Cross Platform 방식 = 27
- 1.7.5. 프로그램 방식 = 27
- 2. 저작 도구의 기본 구조 및 기능 = 28
- 2.1. 저작 도구의 기본 구조 = 28
- 2.1.1. 저작 지원 모듈 = 28
- 2.1.2. 프로그램 실행모듈 = 29
- 2.1.3. 객체관리 모듈 = 29
- 2.1.4. 통신 모듈 = 29
- 2.1.5. 저작 도구를 위한 하드웨어 환경 = 30
- 2.2. 저작 도구가 갖추어야 할 기능 = 30
- 2.2.1. 시스템 구조설계 = 30
- 2.2.2. 모듈별 기능분석 및 설계 = 31
- 2.2.3. 스크립트 설계 = 31
- 2.2.4. 객체에 따른 속성과 기능 = 31
- 2.2.5. 상호작용 = 36
- 2.2.6. 외부 데이터 관련 = 37
- 2.2.7. 외부 장치 제어 = 40
- 2.2.8. 학습설계 개발을 위한 보조기능 = 40
- 2.2.9. 시스템 확장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 41
- 2.2.10. 사용의 용이성 및 친절감 = 41
- 2.3. 저작 도구가 갖추어야 할 요소 = 42
- 2.3.1. 일반적으로 저작 도구가 갖추어야 할 요소 = 42
- 2.3.2. 교과별 저작 도구가 갖추어야 할 요소 및 특성 = 43
- 2.4. 저작 도구의 발전과 미래 = 46
- 2.4.1. 저작 도구의 발전 방향 = 46
- 2.4.2. 저작 도구의 미래 = 47
- CHAPTER 2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개발
- 1.멀티미디어의 이해 = 50
- 1.1. 멀티미디어의 정의 = 50
- 1.2. 매체(Media) = 50
- 1.2.1. 개념 = 50
- 1.2.2. 발전 = 50
- 1.3. 멀티미디어와 하이퍼미디어 = 51
- 1.4. 멀티미디어에 적합한 응용분야의 특성 = 51
- 1.5. 멀티미디어 처리를 위한 기술적인 문제 = 52
- 1.6. 소리 = 53
- 1.6.1. 소리의 개념과 특징 = 53
- 1.6.2. 소리 신호의 가청 주파수 = 53
- 1.6.3. 소리 신호의 코드화 = 53
- 1.6.4. 소리 데이터의 저장 = 55
- 1.6.5. 악기 디지털 인터페이스(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55
- 1.7. 음성 = 56
- 1.7.1. 음성 인식(speech recognition) = 56
- 1.7.2. 분류 = 56
- 1.7.3. 음성 인식 과정 = 56
- 1.7.4. 화자 인식 = 57
- 1.7.5. 음성 합성(speech synthesis) = 57
- 1.8. 영상 = 58
- 1.8.1. 영상의 개념 = 58
- 1.8.2. 영상의 분류 = 58
- 1.8.3. 영상의 표현 = 58
- 1.8.4. 정지 영상 = 60
- 1.8.5. 동영상 = 61
- 2.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 62
- 2.1.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정의 = 62
- 2.2. 타이틀(Title)의 정의 = 62
- 2.3. CD-ROM 타이틀 제작 분야 = 63
- 2.4. 교육 환경의 변화 = 63
- 2.4.1. 사회와 교육 환경의 변화 = 63
- 2.4.2. 교육 방법의 변화 = 64
- 2.4.3.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학습 환경 = 65
- 2.4.4.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 = 65
- 2.4.5. 멀티미디어 타이틀의 성곡 요소 = 66
- 2.4.6. 타이틀 개발 과정에 대한 이해 = 67
- 2.4.7. CD-ROM Title의 제작 과정 = 70
- 3. 멀티미디어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평가 = 72
- 3.1. 멀티미디어 교육용 소프트웨어 = 72
- 3.2. 멀티미디어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평가의 필요성 = 72
- 3.3. 양질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 73
- 3.4. 평가의 개념적 모형 = 75
- 3.5. 평가 요소의 정의 = 77
- 3.6. 평가 기준 = 79
- CHAPTER 3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실제
- 1. 새빛 [SAEBIT] = 84
- 1.1. 개요 = 84
- 1.1.1. 새빛의 배경 = 84
- 1.1.2. 프로그램의 특징 = 85
- 1.1.3. 프로그램의 한계 = 86
- 1.1.4. 제작 분야 = 87
- 1.2. 새빛의 개발 및 운영 환경과 구성 = 88
- 1.2.1. 개발 및 운영 환경 = 88
- 1.2.2. 데이터 파일의 형식 = 89
- 1.2.3. 새빛의 기본 구성 = 91
- 1.2.4. 저작 도구 메뉴 구조 = 93
- 1.3. 프로그램 예제 = 99
- 1.3.1. 글 객체로 구성된 화면 작성하기 = 99
- 1.3.2. 간단한 상호작용 프로그램 제작하기 = 101
- 1.4. 발전방향 = 104
- 2. 한올[KAS] = 105
- 2.1. 한올 개관 = 105
- 2.1.1. 배경 = 105
- 2.1.2. 한올 4.0의 특징 = 105
- 2.1.3. 한올 4.0의 주요기능 = 106
- 2.2. 한올 시스템 구성 = 106
- 2.2.1. 구성 = 106
- 2.2.2. 파일 구성 = 106
- 2.3. 저작 방법 = 107
- 2.3.1. 저작 방법의 접근 개념 = 107
- 2.3.2. 저작 방식 = 108
- 2.3.3. 저작 지원 기능 = 109
- 2.3.4. 실행 환경 = 110
- 2.3.5. 프로그램 코딩 = 111
- 2.3.6. 스크립트 = 113
- 2.4. 예제 = 113
- 2.4.1. 제작가능 분야 = 115
- 2.5. 발전방향 = 115
- 3. 멀티미디어 툴북[Multlmedla ToolBook] = 117
- 3.1. 멀티미디어 툴북 5.0 개관 = 117
- 3.2. 툴북의 특징 = 117
- 3.2.1. 객체, 프로퍼티 = 118
- 3.2.2. 북, 페이지 = 118
- 3.2.3. 스크립트, 핸들러 = 118
- 3.2.4. 레이어 = 119
- 3.2.5. 핫 워드(HOT WORD) = 119
- 3.3. 툴북의 구조 = 119
- 3.4. 툴북의 개발 기능 분야 = 120
- 3.5. 툴북의 기초 기능 익히기 = 121
- 3.5.1. 레벨(Level) = 121
- 3.5.2. 툴북의 화면 구성 = 122
- 3.5.3. 팔레트(Palette) = 125
- 3.6. 예제 = 127
- 3.6.1. 중심 파일(Main.tbk) 만들기 = 127
- 3.6.2. 디버깅 및 수정 보완 = 135
- 3.6.3. 완성 본 만들기 = 135
- 4. 디렉터[Dlrector] = 136
- 4.1. 디렉터의 발전 = 136
- 4.2. 디렉터의 특징과 활용분야 = 136
- 4.2.1. 대화형 멀티미디어 프로젠테이션 제작 = 136
- 4.2.2. 오락 및 교육용 타이틀 작성 = 137
- 4.2.3. 데모디스켓, 무인 안내 시스템 작성 = 137
- 4.3. 디렉터의 구성과 이해 = 137
- 4.3.1. 기본 개념 = 137
- 4.3.2. 무대(Stage) = 137
- 4.3.3. 캐스트 윈도우(Cast Window) = 138
- 4.3.4. 스코어 윈도우(Score Window) = 138
- 4.4. 디렉터의 제작과정 = 139
- 4.5. 링고 = 139
- 4.5.1. 이벤트, 메시지, 핸들러의 이해 = 139
- 4.5.2. XObject = 140
- 4.5.3. 스크립트의 종류와 이해 = 140
- 4.6. 디렉터 실전예제 = 142
- 4.6.1. 캐스트 멤버의 준비 및 제작 = 142
- 4.6.2. 캐스트 멤버를 캐스트 윈도우에 등록 = 143
- 4.6.3. 캐스트 멤버를 무대나 스코어윈도우에 배치 = 144
- 4.6.4. 등록된 스포라이트의 속성 정하기 = 145
- 4.6.5. 링고의 작성 및 수정 = 146
- 4.7. 디렉터 7.0의 새로운 점 = 147
- 4.7.1. Immediate = 147
- 4.7.2. Immersive = 148
- 4.7.3. Internet Feature = 149
- 4.8. 쇽웨이브 = 150
- 4.8.1. 애프터 버너 = 151
- 4.8.2. 쇽웨이브와 관련된 링고스크립트 = 151
- 4.9. 플래쉬 = 151
- 4.9.1. 디렉터와 플래쉬ㄹ 차이점 = 151
- 4.9.2. 플래쉬3의 특징 = 152
- 4.9.3. 플래쉬의 장점 = 153
- 4.10. 디렉터의 발전방향 = 154
- 5. 오쏘웨어 (Authorware) = 155
- 5.1. 오쏘웨어의 이해 = 155
- 5.1.1. 오쏘웨어의 발달 = 155
- 5.1.2. 코스웨어 개발에 적합한 오쏘웨어 기능 = 155
- 5.2. 오쏘웨어의 특징 = 156
- 5.2.1. 오쏘웨어 저작도구 = 156
- 5.2.2. 오쏘웨어 패키지의 구성 = 157
- 5.2.3. 오쏘웨어 파일의 구성 = 158
- 5.2.4. 오쏘웨어 4.0의 새로운 기능 = 158
- 5.3. 오쏘웨어의 기본기능 = 159
- 5.3.1. 아이콘 팔레트의 구성과 기능 = 159
- 5.3.2. 상호작용 생성하기 = 162
- 5.4. 간단한 오쏘웨어 예제 = 168
- CHAPTER 4 멀티미디어 제작 도구
- 1.그래픽 에디터(페인트 샵 프로) = 176
- 1.1. 페인트 샵 프로 = 176
- 1.2. 기본메뉴 = 177
- 1.2.1. 도구 막대 상자(tool bar) = 177
- 1.2.2. 스타일 막대상자(style bar) = 177
- 1.2.3. 색상 팔렛트(color palette) = 177
- 1.2.4. 작업공간 = 177
- 1.2.5. 메뉴 막대 상자 = 178
- 1.2.6. 용어 살펴 보기 = 179
- 1.3. 실습하기 = 180
- 1.3.1. 새그림 불러오기 = 180
- 1.3.2. 컴퓨터 그리기 = 181
- 2. 사운드 에디터[Edit] = 186
- 2.1. WAVE파일 = 186
- 2.2. Cool Edit로 자신의 목소리를 디지털파일로 만들기 = 187
- 2.2.1. 프로그램 기능 = 189
- 2.2.2. 특수 효과 = 190
- 2.2.3. Nomalize 기능 사용하기 = 192
- 2.2.4. 배경 잡음 없애기 = 193
- 2.2.5. 불필요한 부분 잘라내기 = 195
- 2.2.6. Cool Edit에서 배경음악 삽입하기 = 196
- 2.2.7. Fade Out 기능 활용하기 = 196
- 2.2.8. WAV 파일형식을 Real Audio파일로 저장하고 재생하기 = 199
- 3. 동영상 에디터[아도브 프레미어] = 201
- 3.1. 비디오 편집 프로그램 프레미어 = 201
- 3.2. 프레미어의 구성 = 202
- 3.3. 새로운 파일 만들기 = 202
- 3.4. 클립 = 203
- 3.5. 프레미어 모습 = 203
- 3.5.1. Sequence = 203
- 3.5.2. Title = 203
- 3.5.3. Transition = 203
- 3.5.4. Construction = 204
- 3.5.5. Project = 204
- 3.5.6. Preview = 204
- 3.6. 프레미어에서 비디오 영상 갈무리 = 204
- CHAPTER 5 웹 기반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 1. 웹 기반 멀티미디어 코스웨어 제작과정 = 208
- 1.1. 개념 정의 = 208
- 1.2. 웹 기반 코스웨어 분류 = 209
- 1.2.1. 정보처리 유형별 분류 = 209
- 1.2.2. 용도별 분류 = 211
- 1.3. 개발 과정에 대한 이해 = 213
- 1.3.1. 팀조직 = 213
- 1.3.2. 학습자 분석 = 214
- 1.3.3. 목표와 활동 개발 = 215
- 1.3.4. 내용 설계 = 216
- 1.3.5. 정보를 조직하고 정렬 = 227
- 1.3.6. 이용/배포 = 234
- 2. 웹 기반 코스웨어 평가 = 236
- 2.1. 필요성 = 236
- 2.2. 가능한 기준 제시 = 237
- 2.2.1. Collins의 평가 기준 = 237
- 2.2.2. 참고자료 자원으로서 기준 = 238
- 2.2.3. 기준의 편집과 통합 = 238
- 2.2.4. 웹 기반 코스웨어 평가의 시제 = 238
- CHAPTER 6 웹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개발
- 1.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개발 도구 개관 = 246
- 1.1. 웹 기반 멀티미디어 저작 도구 특징 = 246
- 1.2. 경향 = 247
- 2. 홈페이지 개발 = 248
- 2.1. 홈페이지 분석 = 248
- 2.1.1. 웹 문서 = 248
- 2.1.2. HTML을 사용한 웹 문서 = 248
- 2.1.3. CGI를 이용한 웹 문서 = 249
- 2.1.4. 웹 문서 성격 = 250
- 2.1.5. 요소 = 254
- 2.2. 홈페이지 설계 = 258
- 2.2.1. 일반 = 259
- 2.2.2. 그래픽 = 260
- 2.2.3. 텍스트 = 262
- 2.2.4. 링크 = 262
- 2.2.5. 페이지 크기와 길이 = 263
- 2.2.6. 멀티미디어 = 263
- 3. 홈페이지 개발 도구[웹 에디터] = 265
- 3.1. HTML 문서를 만드는 세 가지 방법 = 265
- 3.1.1. 워드프로세서 사용 = 265
- 3.1.2. 텍스트 에디터 사용 = 265
- 3.1.3. 위지윅 프로그램 = 266
- 3.2 위지윅(WYSIWYG) 에디터 평가 = 266
- 3.2.1. 나모 웹 에디터 v2.1 = 266
- 3.2.2. Macromedia Dreamweaver v1.2 = 266
- 3.2.3. Adobe PageMill v 3.0 = 267
- 3.2.4. 마이크로소프트 프론트페이지 98 = 267
- 3.2.5. Symantec Visual Page v1.1 = 268
- 3.2.6. Claris Home Page = 268
- 3.3 Text 에디터 평가 = 268
- 3.3.1. HotDog Professional Webmaster Suite v5.0 = 268
- 3.3.2. Luckman's WebEdit v3.1 = 269
- 3.3.3. Allaire HomeSite v4.0 = 269
- 3.3.4. Under Construction 98 v2.601 = 269
- 3.4. 나모 웹 에디터 = 270
- 3.4.1. 나모 에디터의 특징 = 270
- 3.4.2. 웹 문서, 웹 사이트 = 270
- 3.4.3. 문서의 이름과 글 제목 = 271
- 3.4.4. 글 제목의 입력 방법 = 271
- 3.4.5. 내용 입력과 수평선, 파일 삽입 = 272
- 3.4.6. 목록 만들기 = 272
- 3.4.7. 문서 양식 = 272
- 3.4.8. 표 = 273
- 3.4.9. 하이퍼링크 = 273
- 3.4.10. 문서 속성 = 274
- 3.4.11. 스타일 시트 = 275
- 3.4.12. 멀티미디어 파일 = 276
- 3.4.13. 정렬 = 276
- 3.4.14. 크기 = 277
- 3.4.15. 그림 = 277
- 4. 홈페이지 개발 언어 = 278
- 4.1. HTML = 278
- 4.1.1. 개념 = 278
- 4.1.2. HTML과 웹의 역사 = 278
- 4.1.3. HTML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 = 280
- 4.2.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281
- 4.2.1. 개발 동기 = 281
- 4.2.2. XML 역사 = 282
- 4.2.3. XML의 개념 = 283
- 4.2.4. HTML, 다이나믹 HTML, XML간의 관계 = 283
- 4.2.5. SGML과 XML의 차이점 = 284
- 4.2.6. XML 요소 = 284
- 4.2.7. XML의 특징 = 285
- 4.2.8. XML을 HTML에 부가하여 얻는 이점 = 286
- 4.2.9. XML과 HTML의 상호 연동 = 286
- 4.2.10. SGML의 상호연동 = 287
- 4.2.11. XML의 장점 = 287
- 4.2.12. 파서(PARSER) = 288
- 4.3. VRML = 288
- 4.3.1. 개념 = 288
- 4.3.2. 역사 = 289
- 4.3.3. 특징 = 289
- 4.3.4. VRML 구조 = 290
- 4.3.5. VRML의 문제점 = 291
- 4.4. 액티브X = 292
- 4.4.1. 개념 = 292
- 4.4.2. 배경 = 292
- 4.4.3. 소프트웨어 개발의 문제점 = 293
- 4.4.4. COM = 293
- 4.4.5. 액티브X의 특징 = 294
- 4.4.6. 액티브X 안전성 = 295
- 4.4.7. 최근 경향 = 295
- 4.4.8. 액티브X의 구성 = 296
- 4.4.9. 액티브X의 미래 = 312
- 4.5. 자바 = 313
- 4.5.1. 자바 개념 = 313
- 4.5.2. 자바 역사 = 314
- 4.5.3. 자바 특징 = 315
- 4.5.4. 자바와 자바관련 기술 = 317
- 4.5.5. 최근경향 = 317
- 4.5.6. 자바API = 318
- 4.5.7. 자바의 용도 = 318
- 4.5.8.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에서 자바와 액티브X = 319
- 4.5.9. 자바의 개발 도구 - JDK = 321
- 4.5.10. 자바Applet Tag = 323
- 4.5.11. 자바와 웹 문서의 결합 예제 = 323
- 4.5.12. 자바 애플릿의 실행 예 = 325
- 4.5.13. 웹 기반 코스웨어 예제 = 326
- 4.6. ASP(Active Server Page) = 329
- 4.6.1. ASP 개념 = 329
- 4.6.2. ASP의 역사 = 329
- 4.6.3. ASP의 특징 = 329
- 4.6.4. ASP사용을 위한 적당한 컴퓨터 환경 = 330
- 4.6.5. ASP구조 = 330
- 4.6.6. ASP 스크립트 작성 = 330
- 4.6.7. HTML, CGI, ASP 비교 = 331
- 4.6.8. ASP 기본 객체 = 331
- 4.6.9. ASP 추가 객체 = 333
- 4.6.10. 방명록 만들기 = 334
- 4.7. 플러그 인 = 344
- 4.7.1. 개념 = 344
- 4.7.2. 배경 및 필요성 = 344
- 4.7.3. 유형 = 345
- 4.7.4. 환경 설정 = 345
- 4.7.5. MIME 플러그-인 = 347
- 4.7.6. 플러그-인과 액티브X = 348
- 4.7.7. 최근 경향 = 349
- 4.7.8. 동작 순서 = 349
- 4.7.9. 플러그-인 개발 = 350
- 4.7.10. 유명한 플러그-인 프로그램 소개 = 350
- 4.7.11. 플러그-인과 웹 기반 코스웨어 = 354
- 5. 홈페이지 올리기 = 355
- 5.1. 테스트 하기 = 355
- 5.2. 웹서버 개념 = 355
- 5.3. 웹 서버 선택 = 355
- 5.4. 필용한 하드웨어 = 355
- 5.5. 웹 서버 구조 = 357
- 5.6. 웹 서버 종류 = 357
- 5.7. 주요 서버 소개 = 358
- 5.8. 특징 = 358
- 5.8.1. AOL Server = 358
- 5.8.2. Alibaba Server = 359
- 5.8.3. Apache Server = 360
- 5.8.4. Internet Information Server(IIS) = 361
- 5.8.5. Netscape Enterprise Server = 361
- 5.8.6. Oracle Web Server = 362
- 5.9. 웹 서버 구축 방법(Apache Web Server 기준) = 363
- 5.9.1. 다운로드 & 인스톨 = 363
- 5.9.2. 환경 설정 파일 수정 = 364
- 5.9.3. srm.conf = 365
- 5.9.4. ime.types = 365
- 5.9.5. 홈페이지 구축 = 365
- 5.9.6. 웹 서버 실행 = 366
- 5.9.7. 웹 서버 재실행 = 366
- 5.10. Intemet Information Server의 설치 = 367
- 5.10.1. Intemet Information Server의 개요 = 367
- 5.10.2. 새로운 홈페이지 만들기 = 368
- 5.10.3. 보안 인증 홈페이지 = 369
- 5.10.4. DNS의 설정 = 370
- 참고문헌 =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