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1945~1961 북한의 인구변동과 여성정책의 보수화 = Population Change and the Conservatisation of Women's Policy in North Korea 1945-1961
저자
이준희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글로벌한국학연구소)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77-111(35쪽)
제공처
해방 후 북한 정부는 민주개혁을 실시하여 여성 ‘해방’을 법적으로 보장했고, 여성들을 새로운 국가건설에 헌신하도록 유도했다. 한국전쟁 기간 남성들이 전쟁에 동원되면서 여성들은 가정, 사회, 직장에서 그 공백을 메우게 되면서 성별노동의 해체를 가속화했다. 전후복구사업을 추진하면서 더 많은 노동력을 요구되었고, 정부는 사회주의 산업화에서 여성 노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여성을 경공업과 비생산 부문에, 남성을 중공업에 배치하여 노동효율성을 높이고자 했다. 이에 따라 점차 여성 정책의 보수화가 시작되었고, 도농여성의 역할도 세분화 되었다. 1950년대 베이비붐으로 인해 비생산 인구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비용이 증가했다. 북한 정부는 ‘전국 어머니 대회’를 통해 남성의 노동 유동성을 감소시키고 육아을 가정에 부담시키면서 여성들은 현명한 아내와 훌륭한 어머니가 되도록 요구받았다. 1961년 이후 여성 정책의 보수화가 가속화되었고 이는 오늘날 보수화된 여성정책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After liberation, the North Korean government implemented democratic reforms, legally guaranteeing women's emancipation, and women dedicated themselves to building the new nation. During the Korean War, with many men sent off to fight, women filled the gaps in homes, society, and workplaces, accelerating the dismantling of gendered labour roles. Post-war, the push for industrialisation required more labour, and the government promoted traditional gender roles by assigning women to light industry and non- production sectors and men to heavy industry, thus enhancing the efficiency of female labour in socialist industrialisation.
The 1950s baby boom led to increased social costs in the 1960s as the number of non-productive individuals ros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responded with the National Mothers' Conference, aiming to reduce male labour movement and shift childcare responsibilities to the family, leading to a conservatisation of women's roles from liberation-focused mobilisation to domestic duties. Despite initial efforts to utilise married female labour, the patriarchal climate limited their full participation, prompting a shift in the 1960s to roles that combined family and work for housewives and irregular workers in local and light industries, and commerce. North Korea's demographic changes significantly influenced its women's policies, with roles assigned according to population growth and sex ratio needs. Women played vital roles in shaping society, both as leaders and supporters.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conservative shift in North Korean family and society dynamics and reconsiders women's historical roles in North Korea.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