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텬로력뎡' 揷圖와 箕山風俗圖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911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71-212(42쪽)
제공처
기독교 선교사와의 관계, 1890년대 김준근 회화의 변화 양상과의 관련성은 텬로력뎡 삽도와 기산풍속도가 공유하고 있는 흥미로운 쟁점이다. 1880년대부터 시작된 기산풍속도의 화풍이 1890년대에 변모하게 된 계기는 미국 북장로교의 선교활동 중의 The Pilgrim's Progress 한글본 간행과 관련되어 있었다. 텬로력뎡을 간행하면서 게일이 한국, 한국인, 한국문화를 소재로 한 풍속화를 잘 그렸던 箕山 金俊根에게 삽도 제작을 의뢰함에 따라 김준근은 19세기 영국 삽화가가 제시한 서양화법의 시각체계와 기산풍속도의 기존 도상을 활용해서 朝鮮風 크리스천의 천국에의 여정과 구원을 42장면으로 시각화하게 되었다. 이 작업에서 김준근은 서양화법을 접할 수 있었지만, 원문의 맥락에 충실하게 등장인물을 그리고 원본 그림을 복제하기 위해 활용하지는 않았다. 대신 자신의 ‘일반화된 조선 풍속 도상’을 끌어다 썼고, 마침내 17세기 영국 청교도 문학서에 담긴 영혼 구원에 관한 주제의식을 신분상승에 의한 상향평준화로 번안시켰다. 영국 시민혁명과 미국 건립의 기초가 된 청교도 의식이 그와 전혀 다른 시공간인 19세기 말 한국에서 시각화될 때는, 김준근의 상상력과 화풍에 의해, 지극히 현실적이고 세속적이면서 이상적인 욕망과 관념이 투사된 세계로 전환되었던 것이다.한편 김준근이 텬로력뎡 삽도 제작시에 접했던 서양화법은 1894년 이후의 화풍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김준근 회화 발전 단계의 제2기 후반에 일어난 이 변화는 서울역박본, 덴마크본에 반영되었고, 스왈른본을 비롯한 제3기 작업으로 이어졌다. 반면 제1기의 칼스본, 묄렌도르프본, 스미소니언본, 기메본, 라이덴본과, 제2기 전반의 매산본, 캐븐디쉬본, 함부르크-마이어본은 서양화법의 세례를 상대적으로 덜 받았고, 전통적인 시각체계에 가깝다. 이러한 구분은 동일 주제를 그린 다른 시기의 작품 간에 특정 도상의 계승과 변형이 진행된 양상, 텬로력뎡 삽도 이후에 두드러진 서양화법 활용 여부를 동시에 관찰할 때 파악할 수 있다. 확실히 김준근은 서양화법을 의식한 일점투시, 명암[음영], 다양한 색채를 1894년 이후의 기산풍속도에 적용시켜, 이전시기 김준근 회화에 비해 훨씬 풍부한 회화적 효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기산풍속도의 이해에 있어 핵심적인 관건은 20년 이상 이어진 ‘조선 풍속 도상’의 형성, 정립, 변형의 과정과 그 흐름을 독해하는 것이다. 때문에 김준근 회화의 3단계 발전설은 여전히 유효하다.
더보기One of the interesting issues that the illustrations of The Pilgrim's Progress and Gisan genre paintings share is the relations with the Christian missionaries and the relevance to the changing features of Kim Joon-Geun(pen name: Gisan)'s art work in 1890s. Started in 1880s, Gisan genre paintings began to change its style in 1890s, and the turning point is related to the public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Pilgrim's Progress in accordance with the North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y work. Publish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Pilgrim's Progress, James Scarth Gale(1863-1937) is considered to ask Kim Joon-Geun to draw the illustrations of the book, who was proficient in depicting the scenes from Korea, Korean people, and Korean culture. Accepting Gale's offer, Kim Joon-Geun visualized a journey to heaven and salvation into 42 scenes in Joseon dynasty manners, using the icons of previous Gisan genre paintings and the perspective of Western painting presented by the British illustrators in the 19th century. Although Kim Joon-Geun could learn the Western painting techniques during his work, he did not use them to draw the protagonists faithful to the original text and reproduce the original paintings. Instead, Kim Joon-Geun used his own ‘generalized Joseon genre icons’, and finally the subject matter of spiritual salvation contented in the 17th century Puritan literature was adapted for upward equalization by rising social status. When the Puritan spirit, the foundation of English Civil War and the United States establishment, visualized in a totally different time and place-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n Korea-by Kim Joon-Geun's imagination and style, it transformed to the ideal world reflecting an extremely realistic, mundane desire.On the other hand, the Western painting techniques that Kim Joon-Geun experienced during his work on The Pilgrim's Progress influenced on the style change of his paintings drawn after 1894. Appearing at the end of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in Kim Joon-Geun's painting, this change influenced on the collections of Seoul Museum of History and National Museum of Denmark;it was continued to the third stage of his work including W. L. Swallen(1865-1954) collection. On the contrary, the collections in the first stage and the early second stage of his art work were relatively less influenced by Western painting techniques, rather closer to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he collections in the first stage of Kim Joon-Geun's paintings includes W. R. Carles(1849-1929), P. G. von Möllendorf(1848-1901), Smithonian Museum in US, National Museum of Asian Art Guimet in France, and National Museum of Antiquities in Leiden, Netherland;the collections in the early second stage are Kim Yang-Seon(pen name: Maesan, 1907-1970), A. F. J. Cavendish, and Hamburg-Meyer(Museum of Ethology in Hamburg collected by Edward Meyer). This classification can be figured out through observing the distinguished use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after the illustrations of The Pilgrim's Progress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 and succession aspects of the specific icons used in other paintings describing same subject but drawn at different times. It is quite certain that Kim Joon-Geun applied the techniques influenced by Western paintings such as one-point perspective, value(lightness), and various colors to the Gisan genre paintings drawn after 1894, and this enriched his paintings with painterly effect in comparison to his earlier paintings. However, a key to understand Gisan genre paintings is to read a flow and procedure of formation,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Joseon genre icons’ lasted over 20 years. For this reason, the theory of the three stages of development in Kim Joon-Geun's paintings is still valid.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