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RETROSPECTIVE CLINICAL STUDY OF TRACHEOSTOMY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 31 CASES = 구강외과 영역에 있어서의 기관절제술 31 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저자
Kim, Chang-Soo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Um, In-Woong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Min, Seong-Kee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Min, Byung-Kook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Yang, Yun-Seok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발행기관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1991
작성언어
English
KDC
515.14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53-62(10쪽)
제공처
소장기관
기관절제술은 기도확보를 위해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서 행해지는 술식으로 1546년에 Brasabola에 의해 처음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기관절제술의 적응증으로는 상기도 폐쇄의완화, pulmonary toilet의 촉진, ded space의 감소 및 mechanical ventilation의 장기 사용시 등을 들 수 있겠다. 그동안 term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1718년까지는 "bronchotomy"란 term이 사용되었고 그후 "tracheotomy"란 term이 사용되었으나 1820년 이후에는 "tracheostomy"란 term이 나오게 되어 현재 이 두가지 term 이 구별없이 사용되고 있다.
기도폐쇄를 야기시킬 수 있는 악안면 부위의 외상 혹은 여러가지 질병의 증가 추세로인해 구강외과의사가 기관절제술을 시행해야할 상황을빈번히 맞게 된다.
이에, 본 교실에서 기관절제술을 시행한 31명의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해 숙련된 기관절제술 및 그 처치능력의 중요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Tracheostomy may be used to assure airway protection in various clinical situation. It, as a known operation, has a history spanning 2000 years.
The first clear account of a successful tracheostomy was recorded in 1546 by Brasavola. Until 1718 the term "bronchotomy" was used to describe the procedure.
Heister then introduce the term "tracheotomy and this was later adopted and popularized by Trousseau about 1830.
The term "tracheostomy" appeared in medical literature after 1820 and the two terms "tracheostomy" and "tracheotomy" are used interchangeably today.
Indications include relief of upper airway obstruction, facilitation of pulamonary toilet, diminution of dead space and need for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The extent of indication of tracheostomy has a tendency to increase, thus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have some opportunities to face a situation that require tracheostmy.
So, we reported retrospective study of 31 cases of tracheostomy patient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with reference review to reveal the significance of surgical skill and management capability of emergercy state maxillofacial surgery patients.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