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중국 문자문명의 발원지로서 박물관의 장소적 통합전시연출에 관한 연구 - 하북성박물관, 은허박물관, 문자박물관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integrated exhibition of sense of place directing of museums as an origin of Chinese writing civilization - focus on Hebei province museum, Yinxu museum and writing museum -
저자
오선애 (경성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203-213(11쪽)
KCI 피인용횟수
0
제공처
The National Museum of World Writing that will be built in Songdo, Incheon of 2022, is a cultural space that delivers close relationships between writing(exhibits) and progress of civilization for understanding diverse societies and cultures of the world. However, most of the local museums do not show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by simply depending on the high-tech exhibition media that could give stimulating interest to viewers without understanding the relevant place, environment, and local resident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factors having influences on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bout exhibits based on the past time, physical representation, and contextuality regarding a museum built up based on the place sincerity, historicality, and identity of the historical excavation, in order to be able to set up an exhibition space plan that could create a unique identity of the place. To verif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directing of exhibition space, after directly visiting and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museums in the origins of Chinese writing,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 by dividing the association with the exhibition arrangement that gives a scenario to the exhibition space as a historical place of writing(exhibits) into integrated elements of place and historical represen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raw conclusions of the relationship with exhibition space in order to infer the effects of past time and physical exhibition space of place on the space experience of viewers. As a result, the exhibition space emphasizing the sincerity of place integration has the uncertain narrative structure, and also establishe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xhibition arrangement in each theme. On the other hand, the identity of place shows the sequential arrangement based on the chronological narrative structure while closely showing metaphor(symbolism) for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of the systematic algorithm guid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local museums in the future.
더보기2022년 인천 송도에 건립예정인 국립세계문자박물 관은 문자(전시물)을 통해서 세계의 다양한 사회 및 문화를 이해하고 문명발달에 있어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전달하는 문화공간이다. 다만, 지역의 대부분 박물관은 장소와 환경, 지역민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 지 않은 채 관람자들에게 자극적인 흥미를 주는 첨단 전시매체에 의존하여 체험 위주의 전시 공간 계획하 는데 그치고 있어서 차별화된 특성을 찾기 어렵다. 이 에 대하여 본 연구는 지역만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전시 공간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역사적 발굴 지인 장소진정성, 역사성, 정체성 등이 바탕이 되어 세워진 박물관에 관하여 과거시간과 물리적 재현과 맥락성이 성립된 전시물의 정보 전달에 있어서 영향 력을 미치는 요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전시공 간의 연출과 장소에 대한 밀접한 관계를 검증하기 위 해 중국 문자발원지의 박물관사례를 직접 방문하고 현황 파악을 한 후, 문자(전시물)과 역사적 장소인 전 시공간에 시나리오를 부여하는 전시배치와의 연관성 즉, 장소적 통합요소와 역사적 재현으로 구분하여 관 계성을 증명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소가 가지는 과 거시간과 물리적 전시공간이 관람자의 공간체험에 더욱 효과적인가를 유추하기 위해 전시공간과의 관계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소적 통합의 진 정성이 강조된 전시공간은 불명확한 서사적 구조를 가지며 테마별 전시배치에 밀접한 관계를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반하여 둘째, 장소 정체성은 연대별 서사적 구조를 가지고 순차적 배치를 하게 되 며 역사적 재현에 있어서 은유(상징)이 밀접하게 나타 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논문 주제로서 지 역 박물관의 건립 및 계획부분의 목적에 맞는 체계적 알고리즘 가이드 개발에 기초적 데이터로서 활용하고 자 한다.
더보기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4-1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 KCI등재 |
2019-01-1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KCI후보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49 | 0.707 | 0.1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