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韓國漢字音의 一音節化 경향에 대하여- 3等 開口韻을 중심으로 - = On the Changing to One Syllable in Sino-Korean : Mainly on the Third Opened Rhymes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5-184(20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소장기관
In this paper, I researched how third opened rhymes reflected to SinoKorean mainly focused on the changing to one syllable.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ï+ɑ・ʌ・ə・a・ɐ・∅+∅・u・i・ï]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in Sino-Korean by eliminating or combine of Medial ï and main Vowel, Final Medials.
2)The [i+ɑ・ʌ・ə・a・ɐ・∅+∅・u・i・ï]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in Sino-Korean by combine of Medial i with main Vowel or Final Medials.
3)The [ï+a+∅]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아]/a/ or [어]/ə/ in Sino-Korean.
4)The [i+a+∅]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야]/ja/ or [여]/jə/ in Sino-Korean.
5)The [ï+ʌ+u]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어]/ə/ or [우]/u/ in Sino-Korean, and [ï+a+u] changed to [요]/jo/, [ï+ə+u] and [ï+∅+u] changed to [우]/u/.
6)The [i+ʌ+u]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여]/jə/ or [유]/ju/ in Sino-Korean, and [i+a+u] changed to [요]/jo/, [i+ə+u] and [i+∅+u] changed to [유]/ju/.
7)The [ï+a+i]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에]/əi/ in Sino-Korean, but, /ïɐiŋ・ïɐik/ reflected as a [영・역]/jəŋ・jək/. And the [ï+ʌ・ɐ・ə+i]・[ï+e]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의]/ïi/ or [ᄋᆞ]/ɐ/ in Sino-Korean.
8)The [i+a+i]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예]jəi in Sino-Korean, but, /iaiŋ・iaik/ reflected as a [영・역]/jəŋ・jək/. And the [i+ʌ・ɐ・ə+i]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이]/i/ or [ᄋᆞ]/ɐ/ in Sino-Korean.
9)The [ï+ʌ・ə・∅+ï]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으]/ï/ in Sino-Korean.
10)The [i+ʌ・ə・∅+ï] structure in Ancient Chinese changed to one syllable [이]/i/ in Sino-Korean.
본 논문에서는 AC의 3等 開口韻이 SK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1音節受容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AC의 [ï+ɑ・ʌ・ə・a・ɐ・∅+∅・u・i・ï]는 SK에서 介音 ï, 核母音, 韻尾介音 중의 어느 하나를 脫落시키거나 결합시켜 1音節化한다.
2)AC의 [i+ɑ・ʌ・ə・a・ɐ・∅+∅・u・i・ï]는 SK에서 核母音과 韻尾介音 중의 어느 하나를 脫落시키거나 結合시켜 i와 結合할 수 있는 音節로 변환시킨 후에 다시 介音 i와 結合하는 형태로 1音節化한다.
3)AC의 [ï+a+∅]는 SK에서 ï를 脫落시켜 [아]a로, 또는 ïa를 반영하여 [어]ə로 1音節化한다.
4)AC의 [i+a・ɐ+∅]는 SK에서 i를 結合시켜 [야]ja 또는 [여]jə로 1音節化한다. 5) AC의 [ï+ʌ+u]는 SK에서 u를 脫落시키고 ïʌ를 [어]ə로 1音節化하거나 ïʌ를 脫落시켜 [우]u로 1音節化하며, [ï+ə+u]와 [ï+∅+u]는 ïə와 ï를 脫落시켜 [우]u로 1音節化한다. [ï+a+u]는 主母音 a의 前舌性을 반영하여 [요]jo로 1音節化한다.
6)AC의 [i+ʌ+u]는 SK에서 u를 脫落시키고 iʌ를 [여]jə로 1音節化하거나 ʌ를 脫落시켜 [유]ju로 1音節化하며, [i+ə+u]는 ə를 脫落시키고 [i+∅+u]와 함께 [유]ju로 1音節化한다. [i+a+u]는 主母音 a의 低位性을 반영하여 [요]jo로 1音節化한다.
7)AC의 [ï+a+i]는 SK에서 [에]əi로 1音節化하지만, ïɐiŋ/k은 [영/역]으로 출현한다. ïɐiŋ/k이 [영/역]으로 출현한 것은 AC 核母音의 前舌性을 반영한 결과이며, [옝/옉]jəiŋ/jəik으로 반영할 경우 1音節로 성립하기에 부담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ï+ʌ・ɐ・ə+i]・[ï+e]는 核母音을 脫落시켜 [의]ïi로 1音節化하거나 介音 ï와 韻尾介音 i를 모두 脫落시켜 [ᄋᆞ]ɐ로 1音節化한다.
8)AC의 iai는 SK에서 [예]jəi로 1音節化하지만, iaiŋ/k은 [영/역]으로 출현한다. 이는 SK에서 [예]jəi가 3重母音에 해당하여 語末子音을 동반할 경우 1音節로 성립하기에 부담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i+ʌ・ɐ・ə+i]는 核母音을 脫落시키고 介音 i와 韻尾介音 i를 결합하여 [이]i로 1音節化하거나 介音 i와 韻尾介音 I를 모두 脫落시켜 [ᄋᆞ]ɐ로 1音節化한다.
9)AC의 [ï+ʌ・ə・∅+ï]는 SK에서 核母音을 脫落시키고 介音 ï와 韻尾介音 ï를 하나의 [으]ï로 1音節化한다.
10)AC의 [i+ʌ・ə・∅+ï]는 SK에서 核母音과 韻尾介音 ï를 脫落시켜 [이]i로 1音節化한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2-10-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日本學 -> 日本學(일본학) | KCI후보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1 | 0.71 | 0.5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1 | 0.957 | 0.08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