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상세검색

    인기검색어

      벽돌공학 = Brick engineering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 [Volume. 상권]----------
      • 목차
      • 추천의 말 = 1
      • 머리말 = 3
      • 일러 두기 = 5
      • Ⅰ. 벽돌의 종류와 그 성질 = 21
      • 1. 벽돌의 정의와 분류 = 23
      • 1.1 벽돌의 정의 = 23
      • 1.2 벽돌의 분류 = 24
      • 2. 벽돌의 종류 = 33
      • 2.1 보통벽돌(普通벽乭) = 33
      • 2.1.1 보통적벽돌 = 33
      • 2.1.2 변색벽돌 = 34
      • 2.1.3 전돌 = 35
      • 2.2 화장벽돌(化粧벽乭) = 36
      • 2.2.1 고급적벽돌 = 36
      • 2.2.2 칼러벽돌 = 37
      • 2.2.3 유약벽돌 = 37
      • 2.2.4 무늬벽돌 = 38
      • 2.3 이형벽돌(異形벽乭) = 38
      • 2.3.1 아치용벽돌 = 40
      • 2.3.2 부채꼴벽돌 = 42
      • 2.3.3 반토막벽돌 = 42
      • 2.3.4 반절벽돌 = 42
      • 2.3.5 판자꼴벽돌 = 43
      • 2.3.6 모서리용벽돌 = 43
      • 2.4 경량벽돌(輕量벽乭) = 43
      • 2.4.1 구멍벽돌(空胴벽乭) = 44
      • 2.4.2 기공벽돌(氣孔벽乭) = 44
      • 2.4.3 기포벽돌(氣泡벽乭) = 45
      • 2.5 특수벽돌(特殊벽乭) = 45
      • 2.5.1 포도벽돌(鋪道벽乭) = 46
      • 2.5.2 내산벽돌(耐酸벽乭) = 47
      • 2.5.3 염전벽돌(鹽田벽乭) = 47
      • 3. 벽돌의 성질 = 48
      • 3.1 벽돌의 품질(品質) = 48
      • 3.2 벽돌의 규격(規格) = 49
      • 3.3 벽돌의 형상(形狀) = 52
      • 3.4 벽돌의 색(色) = 53
      • 3.5 벽돌의 음향(音響) = 55
      • 3.6 벽돌의 기공률(氣孔率) = 55
      • 3.7 벽돌의 통기율(通氣率) = 58
      • 3.8 벽돌의 흡수율(吸水率) = 59
      • 3.9 벽돌의 투수율(透水率) = 61
      • 3.10 벽돌의 내압강도(耐壓强度) = 62
      • 3.11 벽돌의 내화도(耐火度) = 64
      • 3.12 벽돌의 내한성(耐寒性) = 65
      • 3.13 벽돌의 접착성(接着性) = 66
      • 3.14 벽돌의 깨진면 = 67
      • 3.15 벽돌의 뒤틀림 = 68
      • 3.16 벽돌의 선별(選別) = 70
      • Ⅱ. 벽돌원료 = 73
      • 1. 점토의 정의와 분류 및 생성 = 75
      • 1.1 점토의 정의 = 75
      • 1.2 점토의 분류 = 77
      • 1.3 점토의 생성 = 79
      • 2. 점토광물(粘土鑛物) = 82
      • 2.1 점토광물의 성인 = 82
      • 2.2 카올린족 점토광물 = 84
      • 2.2.1 카올리나이트 = 89
      • 2.2.2 가수할로이사이트 = 91
      • 2.2.3 할로이사이트 = 92
      • 2.2.4 딕카이드 = 94
      • 2.2.5 나크라이트 = 95
      • 2.3 운모족 점토광물(雲母族 粘土鑛物) = 96
      • 2.3.1 견운모(絹雲母) = 97
      • 2.3.2 일라이트 = 99
      • 2.4 몬모릴로나이트족 점토광물 = 100
      • 2.4.1 몬모릴나이트 = 101
      • 2.4.2 논트로나이트 = 104
      • 2.5 파이로필라이트족 점토광물 = 104
      • 3. 주요점토(主要粘土) = 108
      • 3.1 일차점토(一次粘土) = 108
      • 3.2 이차점토(二次粘土) = 109
      • 3.3 카올린 = 112
      • 3.4 목절점토(木節粘土) = 119
      • 3.5 와목점토(蛙目粘土) = 120
      • 3.6 벽돌점토 = 121
      • 3.7 이암(泥岩)과 혈암(頁岩) = 126
      • 4. 규사(硅砂) = 131
      • 4.1 규사의 분류 = 131
      • 4.2 규사의 화학조성(化學組成) = 132
      • 4.3 규사의 입도(粒度) = 135
      • 4.4 잔류규사(殘留硅砂)와 표류과정의 변화 = 136
      • 4.5 탈점제용 규사(脫粘劑用 硅砂) = 136
      • 5. 원토의 선정과 보링 = 139
      • 5.1 원토의 선정 = 139
      • 5.2 원토의 보링 = 140
      • 5.3 천연원료의 가공 = 145
      • 6. 점토의 성분 = 148
      • 6.1 화학조성 = 148
      • 6.1.1 규산(SiO₂) = 149
      • 6.1.2 알루미나(Al₂O₃) = 149
      • 6.1.3 산화철(Fe₂O₃) = 150
      • 6.1.4 산화칼슘(CaO) = 153
      • 6.1.5 산화마그네슘(MgO) = 154
      • 6.1.6 알칼리 금속(R₂O) = 154
      • 6.1.7 산화티탄(TiO₂) = 155
      • 6.2 유기물(有機物) = 155
      • 6.3 염분(鹽分) = 156
      • 6.4 작열감량(灼熱減量) = 156
      • 7. 점토의 성질 = 158
      • 7.1 점토의 열적 성질(熱的 性質) = 158
      • 7.2 탈수점토의 재수화(再水和) = 161
      • 7.3 점토의 색 = 162
      • 7.4 점토의 가소성(可塑性) = 163
      • 7.5 점토 콜로이드 = 167
      • 7.6 점토의 팽윤성(膨潤性) = 170
      • 7.7 점토의 건조성(乾燥性) = 172
      • 7.8 점토의 배향성(配向性)과 기억현상(記憶現象) = 173
      • 7.9 점토수축의 이방성(異方性) = 176
      • 7.9.1 배향성으로 인한 수축의 이방성 = 176
      • 7.9.2 수분차이로 인한 수축의 이방성 = 177
      • 7.9.3 부하차이로 인한 수축의 이방성 = 179
      • 8. 점토의 처리(處理) = 180
      • 8.1 점토의 가소성 조정 = 180
      • 8.2 점토의 PH 조정 = 181
      • 8.3 점토의 입도 조정 = 184
      • 8.4 점토의 수축률 조정 = 187
      • 8.5 점토의 풍화(風化) = 191
      • 8.6 점토의 침숙(沈熟) = 193
      • 8.7 점토의 숙성(熟成) = 194
      • 8.8 점토의 샤모트화 = 196
      • 8.9 점토의 진공처리(眞空處理) = 199
      • Ⅲ. 유원료(釉原料)와 유약(釉藥) = 203
      • 1. 유원료(釉原料) = 205
      • 1.1 점토질 원료 = 205
      • 1.2 알루미나질 원료 = 206
      • 1.3 규산질 원료 = 207
      • 1.4 장석질 원료 = 208
      • 1.4.1 정장석(正長石) = 210
      • 1.4.2 미사장석(微斜長石) = 211
      • 1.4.3 사장석(斜長石) = 212
      • 1.4.4 조장석(曹長石) = 213
      • 1.5 석회질 원료(石灰質 原料) = 213
      • 1.5.1 석회석(石灰石) = 214
      • 1.5.2 백운석(白雲石) = 215
      • 1.5.3 형석(螢石) = 215
      • 1.6 마그네시아질 원료 = 215
      • 1.7 연원료(鉛原料) = 217
      • 1.7.1 방연석(方鉛石) = 217
      • 1.7.2 연단(鉛丹) = 217
      • 1.7.3 연백(鉛白) = 218
      • 1.7.4 밀타승(密陀僧) = 218
      • 1.8 아연원료(亞鉛原料) = 218
      • 1.8.1 능아연석(菱亞鉛石) = 219
      • 1.8.2 섬아연석(閃亞鉛石) = 219
      • 1.8.3 규산아연석(珪酸亞鉛石) = 220
      • 1.9 붕산질 원료(硼酸質 原料) = 220
      • 1.9.1 붕사(硼砂) = 220
      • 1.9.2 붕산(硼酸) = 221
      • 1.9.3 회붕석(灰硼石) = 221
      • 1.10 리티움 운모 = 221
      • 1.10.1 리티아 운모 = 222
      • 1.10.2 리티아 휘석(輝石) = 222
      • 1.10.3 둔각석(鈍角石) = 223
      • 1.11 바리움 원료 = 223
      • 1.11.1 중정석(重晶石) = 223
      • 1.11.2 독중석(毒重石) = 224
      • 1.12 인산칼슘 원료 = 224
      • 1.13 지르콘 = 225
      • 1.14 안티몬 화합물 = 225
      • 1.15 착색제(着色劑) = 226
      • 1.16 첨정석 채료(尖晶石 彩料) = 228
      • 1.17 유탁제(乳濁劑) = 228
      • 2. 유약(釉藥) = 231
      • 2.1 유(釉) = 231
      • 2.2 유식(釉式) = 232
      • 2.3 유의 조제(調製) = 233
      • 2.4 프리트 = 236
      • 2.5 프리트의 조제 = 237
      • 2.6 유식조성의 조정 = 239
      • 2.7 색유(色釉) = 240
      • 2.8 석회유(石灰釉) = 241
      • 2.9 아연유(亞鉛釉) = 242
      • 2.10 시유(施釉) = 242
      • Ⅳ. 성형(成形) = 245
      • 1. 성형기계류(成形機械類) = 247
      • 1.1 급토기(給土器) = 247
      • 1.2 롤러 크러셔 = 248
      • 1.3 체 분리기(篩分離機) = 249
      • 1.4 토련기(土練機) = 253
      • 1.5 압출성형기(押出成形機) = 254
      • 1.6 진공압출성형기(眞空押出成形機) = 257
      • 1.6.1 스크루 날개 = 257
      • 1.6.2 구형(口型) = 259
      • 1.6.3 절단기(切斷機) = 261
      • 2. 각종 성형법(各種 成形法) = 263
      • 2.1 성형의 분류 = 263
      • 2.2 가소성 성형(可塑性 成形) = 263
      • 2.2.1 수타성형(手打成形) = 264
      • 2.2.2 압출성형(押出成形) = 265
      • 2.2.3 증기성형(蒸氣成形) = 268
      • 2.3 가압성형(加壓成形) = 269
      • 2.3.1 습식 가압성형(濕式 加壓成形) = 271
      • 2.3.2 반습식 가압성형(半濕式 加壓成形) = 271
      • 2.3.3 반건식 가압성형(半乾式 加壓成形) = 272
      • 2.3.4 건식 가압성형(乾式 加壓成形) = 273
      • 2.4 액압성형(液壓成形) = 274
      • 2.5 램머성형 = 275
      • 2.6 재압성형(再壓成形) = 275
      • 3. 성형조업(成形操業) = 277
      • 3.1 벽돌의 제조공정 = 277
      • 3.2 원토의 조제 = 278
      • 3.3 혼합(混合) = 279
      • 3.4 혼련(混練) = 280
      • 3.5 성형용수(成形用水) = 284
      • 3.6 성형윤활제(成形潤滑劑) = 286
      • 3.7 성형의 밀충진(密充塡) = 286
      • 3.8 성형기의 운전 = 288
      • 4. 성형공정에서 발생되는 불량품 = 291
      • 4.1 압출성형에서의 용이빨형 균열 = 291
      • 4.2 압출성형에서의 S형 균열 = 292
      • 4.3 압출성형에서의 층리균열(層理龜裂) = 293
      • 4.4 압출성형에서의 직각균열(直角龜裂) = 294
      • 4.5 성형체의 밀착으로 인한 균열 = 295
      • 4.6 가압성형에서의 층리균열 = 296
      • 4.7 가업성형에서 발생되는 거미줄꼴 균열 = 297
      • 4.8 성형체에서 발생되는 박층현상(薄層現象) = 297
      • 4.9 성형체에서 발생되는 기포현상(氣泡現象) = 298
      • 4.10 원토배합 잘못으로 인한 불량품 = 298
      • 4.11 배토처리 잘못으로 인한 불량품 = 299
      • 4.12 조형 잘못으로 인한 불량품 = 300
      • 4.13 탈형 잘못으로 인한 불량품 = 302
      • 4.14 석고형에서 발생되는 불량품 = 303
      • 4.15 성형불량품의 방지 = 303
      • Ⅴ. 건조이론(乾燥理論) = 307
      • 1. 기초이론(基礎理論) = 309
      • 1.1 건조에 대한 정의 = 309
      • 1.2 건조기술(乾燥技術) = 311
      • 1.3 건조조건(乾燥條件) = 312
      • 1.4 건조기구(乾燥機構) = 313
      • 1.5 건조과정(乾燥課程) = 315
      • 1.5.1 항률건조단계(恒率乾燥段階) = 317
      • 1.5.2 감률건조단계(減率乾燥段階) = 320
      • 1.6 건조에 영향을 주는 인자(因子) = 324
      • 1.6.1 건조에서 입형(粒形)이 주는 영향 = 324
      • 1.6.2 건조에서 온도(溫度)가 주는 영향 = 325
      • 1.6.3 건조에서 습도(濕度)가 주는 영향 = 330
      • 1.6.4 건조에서 풍속(風速)이 주는 영향 = 336
      • 1.6.5 건조에서 풍향(風向)이 주는 영향 = 337
      • 1.7 건조에 대기압(大氣壓)이 미치는 영향 = 338
      • 1.8 건조체와 건조속도와의 관계 = 344
      • 1.8.1 건조체의 표면적과 건조속도와의 관계 = 344
      • 1.8.2 건조체의 크기와 건조속도와의 관계 = 345
      • 1.8.3 건조체의 두께와 건조속도와의 관계 = 346
      • 1.8.4 건조체의 생김새와 건조속도와의 관계 = 348
      • 2. 건조체의 수분 = 349
      • 2.1 건조체의 함수상태(含水狀態) = 349
      • 2.2 건초체에 함유된 각종 수분 = 353
      • 2.2.1 피막수(皮膜水) = 354
      • 2.2.2 모세관수(毛細管水) = 355
      • 2.2.3 흡습수(吸濕水) = 356
      • 2.2.4 층간결합수(層間結合水) = 357
      • 2.2.5 화합수(化合水) = 358
      • 2.3 건조체에서 수분의 이동상태(移動狀態) = 358
      • 2.4 건조체에서 증발현상(蒸發現象) = 360
      • 2.5 포화수증기(飽和水蒸氣) = 361
      • 2.6 함수율(含水率) = 363
      • 2.7 한계함수율(限界含水率) = 364
      • 2.8 평형수분(平衡水分) = 365
      • 3. 건조에서 열가스와 급배기량(給排氣量) = 366
      • 3.1 건조에서 열가스의 역할(役割) = 366
      • 3.2 건조에서의 급기량(給氣量) = 368
      • 3.3 건조에서의 배기량(排氣量) = 372
      • Ⅵ. 벽돌용 건조장치(乾燥裝置) = 377
      • 1. 벽돌용 건조장치와 그 선정 = 379
      • 1.1 벽돌용 건조장치의 기원 = 379
      • 1.2 우리나라 벽돌용 건조장치의 연혁 = 380
      • 1.3 인공건조의 유리성(有利性) = 382
      • 1.4 벽돌용 건조장치의 분류 = 386
      • 1.5 벽돌용 건조장치의 선정 = 390
      • 2. 벽돌용 건조장치의 종류 = 396
      • 2.1 코르식 건조장치 = 396
      • 2.2 케렐식 건조장치 = 397
      • 2.3 모르레르식 터널건조장치 = 398
      • 2.4 아메리칸·브로아식 터널건조장치 = 399
      • 2.5 컨머어식 터널건조장치 = 399
      • 2.6 온돌식(溫突式) 건조장치 = 400
      • 2.7 도염식(倒焰式) 건조장치 = 402
      • 2.8 회분식(回分式) 건조장치 = 404
      • 2.9 폐열용(廢熱用) 건조장치 = 405
      • 2.10 노상(爐上) 건조장치 = 408
      • 2.11 향류식(向流式) 터널건조장치 = 411
      • 2.12 병류식(竝流式) 터널건조장치 = 412
      • 2.13 직교류식(直交流式) 터널건조장치 = 413
      • 2.14 환류식(還流式) 터널건조장치 = 414
      • Ⅶ. 습식 건조장치와 그 조작 = 417
      • 1. 습식 건조장치(濕式 乾燥裝置) = 419
      • 1.1 습식 건조장치의 구조 = 419
      • 1.1.1 터널건조실 = 419
      • 1.1.2 열풍로(熱風爐) = 422
      • 1.1.3 혼열실(混熱室) = 425
      • 1.1.4 연도(煙道) = 426
      • 1.1.5 온습도조절장치(溫濕度調節裝置) = 430
      • 1.1.6 풋셔 = 431
      • 1.1.7 신호장치(信號裝置) = 432
      • 1.1.8 측온습구(測溫濕口) = 433
      • 1.2 건조대차(乾燥台車) = 434
      • 1.3 대차판(台車板) = 436
      • 1.4 이동대차(移動台車) = 439
      • 2. 습식 터널건조장치의 조작 = 441
      • 2.1 습식 건조법(濕式 乾燥法) = 441
      • 2.2 습식 건조의 비결 = 442
      • 2.3 습식 건조의 조작 = 444
      • 2.3.1 예열건조기(豫熱乾燥期)의 조작 = 446
      • 2.3.2 항률건조기(恒率乾燥期)의 조작 = 447
      • 2.3.3 감률건조기(減率乾燥期)의 조작 = 449
      • 2.4 생소지의 적재작업(積載作業) = 450
      • 2.5 장입(藏入) 및 장출작업(藏出作業) = 452
      • 2.6 송배풍기(送排風機)의 운전조작 = 454
      • 2.7 열풍(熱風)의 순환조절(循環調節) = 454
      • 2.8 건조실 분위기(乾燥室 雰圍氣)의 조절 = 455
      • 2.9 온습도(溫濕度)의 조절 = 457
      • 2.10 건조수축으로 인한 불량품 = 459
      • 2.11 건조조작 잘못으로 인한 불량품 = 461
      • 2.12 불균등한 건조로 인한 불량품 = 462
      • Ⅷ. 연료(燃料) = 465
      • 1. 연료의 정의와 그 분류 = 467
      • 1.1 연료의 정의 = 467
      • 1.2 연료의 분류 = 467
      • 2. 고체연료(固體燃料) = 469
      • 2.1 고체연료의 성분 = 469
      • 2.2 석탄의 연혁 = 470
      • 2.3 석탄과 그 분류 = 472
      • 2.4 석탄의 생성 = 473
      • 2.5 국내산 석탄 = 474
      • 2.6 석탄의 성분 = 478
      • 2.6.1 고정탄소(固定炭素) = 480
      • 2.6.2 휘발분(揮發分) = 480
      • 2.6.3 회분(灰分) = 481
      • 2.6.4 유황분(硫黃分) = 481
      • 2.6.5 수분(水分) = 482
      • 2.7 석탄의 성질 = 483
      • 2.7.1 연료비(燃料比) = 483
      • 2.7.2 연소성(燃燒性) = 485
      • 2.7.3 착화점(着火點) = 486
      • 2.7.4 자연발화(自然發火) = 487
      • 2.7.5 발열량(發熱量) = 488
      • 2.7.6 점결성(粘結性) = 490
      • 2.7.7 비중(比重) = 490
      • 2.7.8 기공률(氣孔率) = 490
      • 2.8 석탄의 열분해(熱分解) = 491
      • 2.9 석탄의 풍화(風化) = 492
      • 2.10 석탄의 미분화(微粉化) = 494
      • 3. 액체연료(液體燃料) = 496
      • 3.1 액체연료와 그 분류 = 496
      • 3.2 석유의 연혁 = 497
      • 3.3 석유와 그 성분 = 498
      • 3.4 석유의 성인 = 499
      • 3.5 원유(原油)의 종류 = 501
      • 3.6 중유(重油) = 502
      • 3.6.1 비중(比重) = 504
      • 3.6.2 인화점(引火點) = 505
      • 3.6.3 점도(粘度) = 507
      • 3.6.4 유황분(硫黃分) = 508
      • 3.7 중유의 용량변화(容量變化) = 510
      • 3.8 중유의 선택 = 511
      • 3.9 타르유 = 512
      • 3.10 경유(輕油) = 513
      • 4. 기체연료(氣體燃料) = 515
      • 4.1 기체연료와 그 특징 = 515
      • 4.2 기체연료의 성분 = 516
      • 4.3 천연가스 = 518
      • 4.4 석유가스 = 519
      • 4.5 석탄가스 = 519
      • 4.6 발생로가스 = 520
      • 4.7 수성가스 = 522
      • [Volume. 하권 ]----------
      • 목차
      • Ⅸ. 각종 소성로(各種 燒成爐) = 13
      • 1. 소성로와 그 구조 = 15
      • 1.1 소성로의 명칭 = 15
      • 1.2 소성로의 정의 = 16
      • 1.3 소성로의 분류 = 17
      • 1.4 소성로의 구조 = 18
      • 1.4.1 연소실(燃燒室) = 18
      • 1.4.2 요실(窯室) = 22
      • 1.4.3 연도(煙道) = 23
      • 1.4.4 굴뚝 = 24
      • 2. 불연속로(不連續爐) = 28
      • 2.1 불연속로의 특성 = 28
      • 2.2 승염로(昇焰爐) = 29
      • 2.3 승염원로(昇焰圓爐) = 29
      • 2.4 두꺼비로 = 31
      • 2.5 캣설로 = 33
      • 2.6 도염로(倒焰爐) = 34
      • 2.6.1 도염원로(倒焰圓爐) = 36
      • 2.6.2 도염각로(倒焰角爐) = 38
      • 3. 반연속로(半連續爐) = 40
      • 3.1 반연속로의 특성 = 40
      • 3.2 연결도염로(連結倒焰爐) = 40
      • 3.3 한국식 등로(韓國式 登爐) = 42
      • 3.4 근대식 등로(近代式 登爐) = 43
      • 3.5 일자로(一字爐) = 46
      • 3.6 신형실로(新形室爐) = 47
      • 3.7 스코틀란드로 = 49
      • 3.8 셔틀로 = 50
      • 4. 연속로(連續爐) = 54
      • 4.1 연속로의 특성 = 54
      • 4.2 랭커시어로 = 55
      • 4.3 지그재그로 = 56
      • 4.4 만체스터로 = 57
      • 4.5 윤형 연속실로(輪形 連續室爐) = 58
      • 4.6 장방형 연속실로(長方形 連續室爐) = 60
      • Ⅹ. 호프만로 = 63
      • 1. 호프만로와 그 구조 = 65
      • 1.1 호프만로의 연혁 = 65
      • 1.2 호프만로의 우월성(優越性) = 67
      • 1.3 호프만로의 규모 = 69
      • 1.4 호프만로의 위치 = 70
      • 1.5 호프만로의 방향 = 72
      • 1.6 호프만로의 레벨 = 73
      • 1.7 호프만로의 구조 = 74
      • 1.7.1 요실(窯室) = 74
      • 1.7.2 천정 아치 = 80
      • 1.7.3 중앙연도(中央煙道) = 82
      • 1.7.4 소연도(小煙道) = 83
      • 1.7.5 투탄구(投炭口) = 85
      • 1.7.6 투탄삽 = 87
      • 2. 호프만로의 부대시설(附帶施設) = 89
      • 2.1 호프만로의 담퍼어장치 = 89
      • 2.1.1 담퍼어 = 89
      • 2.1.2 담퍼어틀 = 92
      • 2.1.3 담퍼어 핸들 = 94
      • 2.2 호프만로의 굴뚝 = 94
      • 2.3 호프만로의 요출적재장(窯出積載場) = 95
      • 2.4 신형 호프만로 = 95
      • ⅩⅠ. 터널로 = 99
      • 1. 터널로와 그 구조 = 101
      • 1.1 터널로의 연혁 = 101
      • 1.2 터널로의 분류 = 103
      • 1.3 터널로의 장점 = 105
      • 1.4 터널로의 단점 = 107
      • 1.5 터널로의 구조 = 108
      • 1.5.1 터널로의 단면적 = 110
      • 1.5.2 터널로의 길이 = 111
      • 1.5.3 예열대(豫熱帶) = 113
      • 1.5.4 소성대(燒成帶) = 116
      • 1.5.5 냉각대(冷却帶) = 119
      • 1.5.6 연소실(燃燒室) = 121
      • 1.5.7 에이어 커튼 = 122
      • 1.5.8 벽연도(壁煙道) = 124
      • 1.5.9 측온구(測溫口) = 125
      • 2. 터널로의 부대시설(附帶施設) = 126
      • 2.1 노체보강장치(爐體補强裝置) = 126
      • 2.2 공기예열장치(空氣豫熱裝置) = 126
      • 2.3 폐열회수장치(廢熱回收裝置) = 129
      • 2.4 송유설비계통(送油設備系統) = 131
      • 2.5 대차유압풋셔(台車油壓push) = 133
      • 2.6 소성대차(燒成台車) = 134
      • 3. 송배풍기(送排風機)와 그 용도 = 137
      • 3.1 송배풍기 = 137
      • 3.2 다익식 송풍기(多翼式 送風機) = 139
      • 3.3 터보휀·터보블로워 = 140
      • 3.4 연소공기용(燃燒空氣用) 송풍기 = 140
      • 3.5 급랭용(急冷用) 다익식 송풍기 = 141
      • 3.6 서랭용(徐冷用) 다익식 송풍기 = 142
      • 3.7 대차 및 냉각용 터보휀 = 142
      • 3.8 정화환원용(淨化還元用) 다익식 송풍기 = 143
      • 3.9 예열환류용(豫熱還流用) 다익식 송풍기 = 143
      • 3.10 건조용(乾燥用) 다익식 송풍기 = 144
      • 3.11 연돌배기용(煙突排氣用) 다익식 송풍기 = 145
      • 3.12 건조실용(乾燥室用) 폐열배풍기 = 145
      • 4. 모델 터널로 = 147
      • 4.1 하로프식 터널로 = 147
      • 4.2 드레스러식 터널로 = 147
      • ⅩⅡ. 연소장치(燃燒裝置) 및 각종 계기(各種 計器) = 151
      • 1. 고체연료용(固體燃料用) 연소장치 = 153
      • 1.1 고체연료용 연소장치의 분류 = 153
      • 1.2 도형 화격자(刀形 火格子) = 154
      • 1.3 봉형 화격자(棒形 火格子) = 155
      • 1.4 중공형 화격자(中空形 火格子) = 156
      • 1.5 공판형 화격자(孔板形 火格子) = 158
      • 1.6 수평식 화격자(水平式 火格子) = 159
      • 1.7 경사식 화격자(傾斜式 火格子) = 160
      • 1.8 계단식 화격자(階段式 火格子) = 161
      • 2. 미분탄용 연소장치(微粉炭用 燃燒裝置) = 163
      • 2.1 비분탄화 연소의 장단점 = 163
      • 2.2 미분탄용 버어너 = 164
      • 2.3 사이클론 버어너 = 165
      • 2.4 크레이머식 버어너 = 165
      • 3. 액체연료용 연소장치(液體燃料用 燃燒裝置) = 167
      • 3.1 액체용 버어너의 선택요령 = 167
      • 3.2 액체용 버어너의 종류 = 168
      • 3.3 액체용 버어너 = 169
      • 3.4 저압공기식(低壓空氣式) 버어너 = 170
      • 3.4.1 저압공기식 보통형 버어너 = 171
      • 3.4.2 저압공기식 비례조절형 버어너 = 171
      • 3.5 고압기류식(高壓氣流式) 버어너 = 173
      • 3.5.1 고압기류식 내부혼합형 버어너 = 175
      • 3.5.2 고압기류식 외부혼합형 버어너 = 176
      • 3.6 유압식(油壓式) 버어너 = 177
      • 3.6.1 유압식 비순환형(油壓式 非循環形) 버어너 = 179
      • 3.6.2 유압식 순환형(油壓式 循環形) 버어너 = 180
      • 3.7 회전식(回轉式) 버어너 = 181
      • 4. 기체연료용 연소장치(氣體燃料用 燃燒裝置) = 184
      • 4.1 가스용 버어너의 특징 = 184
      • 4.2 내부혼합형(內部混合形) 가스버어너 = 184
      • 4.3 외부혼합형(外部混合形) 가스버어너 = 186
      • 4.4. 반혼합형(半混合形) 가스버어너 = 188
      • 5. 온도계(溫度計) = 190
      • 5.1 온도(溫度) = 190
      • 5.2 육안에 의한 온도측정 = 191
      • 5.3 온도계의 분류 = 192
      • 5.4 유리온도계(glass溫度計) = 194
      • 5.5 압력식 온도계(壓力式 溫度計) = 194
      • 5.6 저항온도계(抵抗溫度計) = 195
      • 5.7 열전온도계(熱電溫度計) = 196
      • 5.8 방사온도계(放射溫度計) = 198
      • 5.9 광고온계(光高溫計) = 199
      • 5.10 광전관식 온도계(光電管式 溫度計) = 200
      • 5.11 색온도계(色溫度計) = 201
      • 5.12 제겔콘 = 202
      • 6. 습도계(濕度計) = 204
      • 6.1 건습구습도계(乾濕球濕度計) = 204
      • 6.2 흡기습도계(吸氣濕度計) = 207
      • 6.3 모발습도계(毛髮濕度計) = 207
      • 6.4 노점습도계(露點濕度計) = 208
      • 6.5 회전습도계(廻轉濕度計) = 208
      • 6.6 전기습도계(電氣濕度計) = 208
      • 7. 압력계(壓力計) = 210
      • 7.1 압력(壓力) = 210
      • 7.2 액주식압력계(液柱式壓力計) = 211
      • 7.3 링밸런스 압력계 = 212
      • 7.4 벨로우즈식 압력계 = 213
      • 7.5 부르돈관 압력계 = 214
      • 7.6 풍속계(風速計) = 215
      • ⅩⅢ. 연소(燃燒) = 217
      • 1. 연소형태(燃燒形態)와 전열형태(傳熱形態) = 219
      • 1.1 연소형태(燃燒形態) = 219
      • 1.2 연료의 연소 = 224
      • 1.2.1 고체연료의 연소 = 224
      • 1.2.2 미분탄의 연소 = 226
      • 1.2.3 액체연료의 연소 = 230
      • 1.2.4 기체연료의 연소 = 231
      • 1.3 전열형태(傳熱形態) = 234
      • 1.3.1 전도(傳導) = 236
      • 1.3.2 대류(對流) = 237
      • 1.3.3 복사(輻射) = 239
      • 1.3.4 고체복사(固體輻射) = 241
      • 1.3.5 미분탄복사(微粉炭輻射) = 242
      • 1.3.6 휘염복사(輝焰輻射) = 243
      • 1.3.7 기체복사(氣體輻射) = 244
      • 2. 연소실 연소법(燃燒室 燃燒法) = 246
      • 2.1 연소법의 분류 = 246
      • 2.2 연소실의 연소 = 248
      • 2.3 연소실의 급탄작업(給炭作業) = 250
      • 2.3.1 전면급탄법(全面給炭法) = 251
      • 2.3.2 부분급탄법(部分給炭法) = 254
      • 2.4 연소실의 급탄량 = 257
      • 2.5 연소실화층의 구성 = 258
      • 2.6 연소실탄층의 정리 = 260
      • 2.7 연소온도와 이론연소온도 = 263
      • 2.7.1 연소온도 = 264
      • 2.7.2 이론연소온도 = 264
      • 2.8 연소용 공기 = 265
      • 2.9 열량(熱量)과 비열(比熱) = 268
      • 2.10 연소반응(燃燒反應) = 271
      • 2.11 연소율(燃燒率) = 272
      • 2.12 분진폭발(粉塵爆發) = 273
      • 3. 열손실(熱損失) = 275
      • 3.1 매연(煤煙) = 275
      • 3.2 연소과정에서의 열손실 = 277
      • 3.3 전열과정에서의 열손실 = 278
      • 3.4 분진 코크스에 의한 열손실 = 279
      • ⅩⅣ. 기초소성(基礎燒成) = 281
      • 1. 점토제품의 소성 = 283
      • 1.1 요적(窯積) = 283
      • 1.2 소성의 목적 = 284
      • 1.3 소성의 중요성 = 285
      • 1.4 점토제품의 기초소성 = 286
      • 1.4.1 예열기(豫熱期)의 소성 = 288
      • 1.4.2 분해기(分解期)의 소성 = 289
      • 1.4.3 강열기(强熱期)의 소성 = 291
      • 1.4.4 소결기(燒結期)의 소성 = 292
      • 1.4.5 냉각기(冷却期)의 소성 = 295
      • 1.5 소성온도(燒成溫度) = 296
      • 1.6 소성시간(燒成時間) = 297
      • 1.7 소성속도(燒成速度) = 298
      • 1.8 소성온도곡선(燒成溫度曲線) = 299
      • 1.9 소성분위기(燒成雰圍氣) = 301
      • 1.9.1 산화분위기(酸化雰圍氣) = 302
      • 1.9.2 중성분위기(中性雰圍氣) = 303
      • 1.9.3 환원분위기(還元雰圍氣) = 303
      • 2. 소성변화(燒成變化) = 305
      • 2.1 소성에서의 가열조건 = 305
      • 2.2 소성체의 가열반응 = 306
      • 2.3 소성체의 부반응(副反應) = 308
      • 2.4 가열감량곡선(加熱減量曲線) = 311
      • 2.5 시차열분석곡선(示差熱分析曲線) = 311
      • 2.6 결정수의 방출 = 313
      • 2.7 규산의 전이(轉移) = 315
      • 2.8 가열수축(加熱收縮) = 321
      • 2.9 가열팽창(加熱膨脹) = 322
      • 2.10 소성정색(燒成呈色) = 324
      • 2.11 훈화막(燻化膜) = 325
      • 3. 백화(白華)와 흑심(黑芯) = 327
      • 3.1 백화의 정의와 그 분류 = 327
      • 3.2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스컴 = 327
      • 3.3 소성과정에서 발생되는 백화 = 330
      • 3.4 소성후에 발생되는 백화 = 333
      • 3.5 모르타르에서 발생되는 백화 = 334
      • 3.6 백화로 인한 피해 = 334
      • 3.7 백화의 방지법 = 335
      • 3.7.1 원토장에서의 세토처리법(洗土處理法) = 335
      • 3.7.2 성형수분의 감량에 의한 방지법 = 336
      • 3.7.3 이장압착(泥漿壓搾)에 의한 방지법 = 336
      • 3.7.4 탄산바륨에 의한 방지법 = 336
      • 3.7.5 고온소성에 의한 방지법 = 337
      • 3.7.6 약품처리에 의한 방지법 = 338
      • 3.7.7 스컴의 방지법 = 339
      • 3.8 벽돌의 백화시험법 = 339
      • 3.9 흑심(黑芯) = 339
      • 3.9.1 흑심현상(黑芯現象) = 341
      • 3.9.2 흑심의 방지법 = 344
      • ⅩⅤ. 호프만로의 소성 = 347
      • 1. 점화준비(點火準備) = 349
      • 1.1 연소실 만들기 = 349
      • 1.2 연소실용 연료 = 351
      • 1.3 호프만로의 요적 = 352
      • 1.3.1 점화요적(點火窯積) = 353
      • 1.3.2 영식요적(英式窯積) = 354
      • 1.3.3 Ⅹ식요적 = 355
      • 1.3.4 ?식요적 = 356
      • 1.4 벽지(壁紙)대기 = 356
      • 1.5 문막기 = 358
      • 2. 호프만로의 소성작업 = 361
      • 2.1 호프만로의 소성작업 = 361
      • 2.2 호프만로의 조업대 = 362
      • 2.2.1 예열대(豫熱帶) = 363
      • 2.2.2 소성대(燒成帶) = 363
      • 2.2.3 변색대(變色帶) = 364
      • 2.2.4 냉각대(冷却帶) = 365
      • 2.2.5 요적대(窯積帶) = 366
      • 2.2.6 요출대(窯出帶) = 366
      • 2.2.7 공간대(空間帶) = 367
      • 2.3 담퍼어의 사용법 = 367
      • 2.3.1 점화시의 담퍼어 사용법 = 370
      • 2.3.2 평상시의 담퍼어 사용법 = 373
      • 2.3.3 적벽돌소성에서의 담퍼어 사용법 = 374
      • 2.3.4 변색소성에서의 담퍼어 사용법 = 374
      • 2.3.5 정지소성에서의 담퍼어 사용법 = 375
      • 2.3.6 밑불을 잃었을 때의 담퍼어 사용법 = 376
      • 2.3.7 후진소성에서의 담퍼어 사용법 = 377
      • 2.3.8 고속소성에서의 담퍼어 사용법 = 379
      • 2.4 호프만로에서의 고속소성 = 381
      • 2.5 투탄작업(投炭作業) = 383
      • 2.6 소성수축치수(燒成收縮寸數) = 385
      • 2.7 문트기 = 387
      • 2.8 요출작업 = 388
      • 3. 변색벽돌의 등장 = 390
      • 3.1 변색벽돌의 연혁 = 390
      • 3.2 자연변색(自然變色) = 390
      • 3.3 약품변색(藥品變色) = 392
      • 4. 변색소성(變色燒成) = 394
      • 4.1 변색소성의 비결 = 394
      • 4.2 변색용 기름연소장치 = 395
      • 4.3 기름예열 = 396
      • 4.4 기름넣기 = 397
      • 4.5 기름넣는 양 = 397
      • 4.6 기름넣는 시간 = 398
      • 4.7 변색소성분위기 = 398
      • 4.8 변색대의 자질 = 400
      • 4.9 변색대의 뒷바닥불 = 401
      • 4.10 변색소성에서의 문트기 = 402
      • 5. 소성불량품(燒成不良品) = 404
      • 5.1 미소(未燒)로 인한 불량품 = 404
      • 5.2 과소(過燒)로 인한 불량품 = 406
      • 5.3 소성균열로 인한 불량품 = 408
      • 5.4 변색소성에서의 대황불량품(帶黃不良品) = 409
      • 6. 유소성(釉燒成) = 411
      • 6.1 소금유 소성 = 411
      • 6.2 아연유 소성 = 413
      • ⅩⅥ. 터널로의 소성 = 417
      • 1. 터널로의 점화(點火) = 419
      • 1.1 터널로의 대차요적 = 419
      • 1.2 점화하기 전의 가마점검 = 423
      • 1.3 터널로의 점화요령 = 424
      • 1.4 신설터널로의 점화 = 425
      • 2. 터널로의 소성작업 = 429
      • 2.1 터널로에서 연소상태의 식별요령 = 429
      • 2.2 터널로에서 연소이변(燃燒異變)의 방지 = 430
      • 2.3 터널로의 운전관리 = 431
      • 2.4 터널로의 조작 = 433
      • 2.4.1 예열대의 예열조작 = 436
      • 2.4.2 소성대의 소성조작 = 441
      • 2.4.3 냉각대의 냉각조작 = 452
      • 2.5 터널로의 노내분위기조절 = 459
      • 2.6 터널로의 노압조절 = 460
      • 2.7 송차시간의 조절 = 462
      • 2.8 예열연소공기와 공기비의 조절 = 463
      • 2.9 연소용 공기의 송풍조절 = 467
      • 2.10 급랭용 송풍의 조절 = 469
      • 2.11 서랭용 송풍의 조절 = 471
      • 2.12 대차밑 냉각용 송풍의 조절 = 473
      • 2.13 정화환원용 송풍의 조절 = 475
      • 2.14 예열환류용 송풍의 조절 = 477
      • 2.15 건조용 송풍의 조절 = 479
      • 2.16 연돌배기용 배풍의 조절 = 481
      • 2.17 건조실용 폐열배풍의 조절 = 483
      • 2.18 벽연도 담퍼어의 조절 = 484
      • 2.19 터널로의 정화(停火) = 486
      • 2.20 연료유의 취급요령 = 488
      • 2.21 버어너의 고장과 그 원인 = 489
      • 2.22 벽돌의 표면반점현상(表面斑點現象) = 493
      • 3. 유소(釉燒)와 유의 흠 = 496
      • 3.1 유소(釉燒) = 496
      • 3.2 유에서 발생되는 흠 = 498
      • 3.2.1 유와 소지조성의 부조화로 인한 흠 = 499
      • 3.2.2 유소과정에서 발생되는 흠 = 5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