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주의 담론과 여성 주체의 구성 : 『여성』지를 중심으로 = The Colonial Discourse and the Construction of Female Subject
저자
김양선 (한림대)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0
작성언어
Korean
KDC
800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61-287(27쪽)
KCI 피인용횟수
3
제공처
본고는 1930년대 중ㆍ후반에 발간된 『여성』지를 대상으로 이 시기를 규정짓는 여성 담론과 그 담론에 의해 구성된 여성 주체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본고에서는 담론 형성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주체, 구성되는 주체 개념에 기반해 논의를 전개했다.
각 담론이 여성을 호명하는 방식과 그 효과는 크게 남성/지식인의 호명과 제국주의 담론의 호명으로 나뉠 수 있다. 먼저 남성/지식인에 의해 여성은 근대적 모성성의 담지자, 근대와 전통의 조화를 지향하는 현대여성으로 호명되었다. 그렇지만 지식인 남성의 신여성 담론은 욕망하는 주체로서의 여성을 타자화시키고, 모성을 여성의 고유하고 본질적인 속성으로 규정지음으로써 애초 의도했던 근대 비판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1939년 이후 여성들은 제국주의 식민 담론에 의해 호명된다. 총후(銃後)의 가정을 지키고 전시예비군인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의 역할이 중시되었다. 하지만 이 같은 ‘사적 영역의 국가화’는 여성을 제국주의 전쟁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의도에 불과하다. 제국주의 담론은 ‘내선일체’라는 이름으로 더욱 강화되는데, 여기서 내지인과 조선인을 하나로 묶는 전략의 일환으로 ‘여성성’이나 ‘자매애’가 활용되기도 했다.
채만식의 『여인전기』는 제국주의 식민 담론을 서술자의 단성적인 목소리 안에 담았다. 내지(內地)와 외지(外地), 일본인과 조선인, 전방과 후방을 하나로 묶으려는 전략은 인물과 상황 설정, 서술자의 요약적, 설명적 진술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드러난다. 주인공 진주의 일대기는 서술자의 수정과 첨삭, 편집을 거치면서 친일적인 가계와 아들을 전장에 보낸 위대한 모성을 중심으로 서술된다.
한편 이 잡지는 여성 작가들의 작품들을 다시 수록하고 있어 당시 여성 문학의 면모를 가늠케 한다. 각 작품들은 공사 영역에서 여성이 처한 어려운 현실을 리얼리즘적으로 그리거나(강경애, 박화성), 여성의 내면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함으로써(백신애) 여성 문학이 현실과 다양한 방식으로 접목하려 했음을 예증한다.
30년대 후반 여성 담론은 한편으로는 전시기와 같은 맥락에서 신여성을 비판하고 타자화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모성의 범주를 국가 차원에까지 확대함으로써 여성을 식민화한다. 식민지 근대의 주변성이 여성의 주변성, 타자성을 통해 드러난다는 점이 남성중심적인 시각인지 아니면 근대성과 여성성의 관계를 해명하는 전략인지는 앞으로 좀더 고찰이 필요하다.
This thesis intented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about women and female subject which was constructed by that discourse in the magazine Woman. The subject in this thesis means the subject who is 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discourse formation.
There were the appellation of male/intellectuals and the appellation of imperial discourse in the way that called for female subject and that effect. The female subject was appellated as the people who possessed of modern motherhood and the 'modern woman' who intended to harmonize between modernity and tradition. However, 'New Woman' discourse by male intellectuals dealt with New Woman, desiring subject as the other. And they prescribed the motherhood as women's essential attribute. So they couldn't achieve the critical and reflexive viewpoint about the modern.
Also the female subject was appellated by the imperialist discourse after 1939. The women's role was emphasized, because they had to keep the domesticity and brought up the children during the war. 'Nationalization of private sphere' was the policy to mobilize that women. And 'Femininity' or 'Sisterhood' was utilized in the strategy which united Japanese and Korean.
Woman's War Story written by Chae, Man-Sik narrated the imperialist ideology through the narrator's monopolistic voice. The intention to unite Japanese and Korean, the battle field and the rear revealed as various narrative technique like Characterization and situation, or narrator's illustration and condensation.
In the other hand, we can know the various aspects of female literature through this magazine, because many literary works by women writers were published. The novels by Kang, Kyung-E, Park, Hwa-Sung described the women's hardships realistically, or The novels by Baek, Shin-E expressed woman's internal psychology in detail.
The discourse about woman in the latter part of 1930 colonized the female subject. In one hand, that discourse criticized the New Woman as the former period. In the other hand, it expanded the category about motherhood or femininity to the nation. The marginality of colonial modernity was revealed through the marginality of woman. There will be another study project whether this is the male-centered viewpoint or not.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6 | 0.76 | 0.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78 | 1.791 | 0.1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