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회민주화 :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과정 분석을 통한 고찰 = The societal democratiza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NHRC
저자
최석현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발행기관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Studies Yonsei University)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KDC
305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15-151(37쪽)
제공처
국가인권위원회 설치과정은 민주화과정에서의 시민사회적인 요구와 체제전환기에서 요구되는 구조적 변화요구의 반영 가운데 하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권위주의 법질서 체계인 국가주의적 정의관에 대한 시민 사회차원의 도전을 의미한다. 이런 인권단체들의 대담한 기획은 인권의 국제적 수준에서 시작되었지만, 그 실천은 결국 국민국가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 국가의 민주화 과정과 필연성을 맺을 수밖에 없다. 결국 국가인권위원회를 설립하기 위한 인권단체들의 이런 요구는 실현되었지만 제정과정에서의 관료적 이기주의와, 배타주의의 잔존은 향후 국가인권위원회의 활동과 모습에 있어서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제한된 성취라 하더라도 김대중정부는 인권위설립을 통하여 그동안 정치적 민주화에만 머물러 왔던 한국의 민주화를 인권적 원리의 확산으로 통하여 민주화를 거쳐 사회화단계로 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The establishment of NHRC means that the human right movement organizations can institutionalize their operations, and that the sphere of institutionalized politics has expanded. In other words, street politics is undergoing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the process of societal democracy. New days of 'conflict cooperation' relationship or governance is being heralded. However, it needs to be indicated that the strategy of the ruling-block make activities of NHRC possible only in the restricted way so that the combination of institutionalized politics and movement politics can be effective only for organizations of category of new social movements with moderate features. Accordingly, NHRC has taken actions more actively with moderate organizations than with organizations in public movement category.
However, it is concluded that the key question in establishing the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in South Korea is to guarantee independence in accordance with the international principles in the status, functions, and powers that are needed to solve structural problems in a democratic manne.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