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뇌졸중 분류방안연구 =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Stroke Using Machine Learning Technology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Journal of Next-generation Convergence Information Services Technology)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93-101(9쪽)
KCI 피인용횟수
0
DOI식별코드
제공처
Stroke is the most common, dangerous single institutional disease and exacerbates the social burden in an aging society. Stroke can be examined through various imaging methods, and diagnosing stroke using CT images has the advantage of fewer space constraints and faster shooting time. However, the diagnosis through images is very difficult, so it is a big disadvantage of this method.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facial image data, not based on CT imag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imbalance in the face of stroke patients. Based on this concept, we proposed a preprocessing algorithm optimized for stroke using facial image data of patients. We developed machine learning-based algorithms by finding elements that can be quantified from facial images, and used data from stroke patients in actual hospitals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system, two hospital neurosurgeons diagnosed stroke separately for each stroke data and evaluated their performance by comparing their diagnosis with system results. Additionally, cross-checking and feedback allowed us to identify the underlying problem of stroke.
더보기뇌졸중은 가장 흔하고, 위험한 단일 기관 질환이며 고령화 사회에서 사회적 부담을 악화시킨다. 뇌졸중은 다양한 영상 검사법을 통해 검사할 수 있으며, CT 영상을 이용해 뇌졸중을 진단하면 공간 제약이 적고 촬영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영상을 통한 진단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 방법의 큰 단점이다. 본 논문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얼굴에서는 불균형이 나타난다는 특징을 통해 CT 이미지 기반이 아닌,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을 진행했다. 이 개념을 바탕으로 환자의 얼굴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해 뇌졸중에 최적화된 전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했다. 얼굴 이미지에서 수치화 시킬 수 있는 요소를 찾아내어 머신러닝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병원에서 뇌졸중 환자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번 연구는 제안된 알고리즘과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2명이 뇌졸중 데이터마다 별도로 뇌졸중을 진단해 자신의 진단을 시스템 결과와 비교해 성과를 평가했다. 추가로 교차 검진과 피드백을 통해 뇌졸중의 근본적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