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청구야담』의 스토리텔링 방안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1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29-158(30쪽)
KCI 피인용횟수
6
제공처
본고는 『청구야담』을 현대적으로 전승하는 방안 모색의 하나로 『청구야담』에 실린 이야기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살펴보았다. 야담은 당대의 현실과 문화를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어 당대를 이해하는 자료로써 뿐만 아니라 고전의 현대화라는 측면에서 문화콘텐츠 원천서사로서도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고에서는 『청구야담』의 현대적 전승 필요성을 살핀 후 스토리텔링 방안을 단계적으로 살펴보았다. 팩션(faction)이라 불리는 드라마 사극이나 역사 영화는 당대의 역사적 현실을 충실히 재현하기보다는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스토리로 재창조하여 대중성을 확보해나가고 있다. 이런 경향에서 볼 때 『청구야담』의 현대적 재창조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청구야담』을 대중 매체에 맞게 스토리텔링 하는 것은 문화콘텐츠 산업의 상상력의 한계를 극복할 방안일뿐더러 고전을 현대적으로 계승해나간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
『청구야담』 원본이나 주해본에는 현재 사용하지 않는 낯선 어휘나 한자단어가 많아 가독성이 떨어지고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스토리뱅크이다. 스토리뱅크는 대중과 소통 통로를 제공하고 대중적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다. 다음으로 매체 특성을 고려한 스토리텔링 방안이 필요하다. 만화나 애니메이션 스토리텔링은 재미와 감동 요소를 고려하여 현대적으로 소통이 가능하도록 재창조하여야 한다. 또 어른과 어린이를 함께 만족시킬 수 있는 요소로 스토리텔링의 전략적 요소로 삼아야 한다. 실연(實演) 매체(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 등)스토리텔링은 비주얼적 상상력을 염두에 두면서 야담에서 비롯된 상상력의 세계가 영상 텍스트 속으로 들어와 관객 또는 시청자와 소통할 수 있도록 짜여야 한다. 게임 스토리텔링은 타깃 층 분석과 흥미요소, 사건의 진행방식, 장르 등을 염두에 두면서 메인스토리와 사이드 스토리로 작성한다. 『청구야담』을 게임 스토리텔링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소재의 구성 및 역할이다. 『청구야담』에는 조선 후기 변화의 몸부림들이 문화적 특성이나 풍속, 생활사 등에 용해되어 있다. 게임 소재 구성에 있어 이러한 다채로운 요소들을 아이템으로 활용한 변용과 재창조가 필요하다.
『청구야담』 작품들을 현대적으로 스토리텔링 하는 것은 고전문학 및 문화의 현대적 계승, 문화콘텐츠 산업에 상상력 제공 등의 가치를 지닌다. 이때 중요한 것이 『청구야담』 원천서사의‘정체성’을 지키면서 상상력과 매체 특성에 맞도록 변용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strategy of storytelling as one of solutions how to transmit Cheongguyadam to fit on a modern life. An unofficial tale is located between, novel and a tale and stands on the border line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In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the necessity of Cheongguyadam’s modernistic transmission and then studied the successive storytelling plans. Now days the makers of historical play and drama on TV don’t focus on the historical realities faithfully but center on communication with televiewers for population. It’s fine but importance is that they should keep “the identity of its realities, then recreat it for communicating with people. Cheongguyadam is the origin of narration. It is meaningful to recreat it for modern people to understand the tale and overcome the limitation of storytelling. One of the most difficulty is that the origins of Cheongguyadam and annotation keep a lot of unfamiliar words and chinese letters so it’s hard to understand and read then.
Its solution in a storybank. Storybank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make readers or viewers to approach and understand it. Next we need a plan to use storybank data to apply to the storytelling. We shouldn’t miss the importance of interest in cartoons and animations and we also need to recreat the characters to be able to communicate well with people. We need to find the common concern for children and adults. So the storytelling of real play such as movies and drama should be made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and viewers to touch their immagination. Game storytelling should be made to count the user’s age, gender, interest, genre and process of the story.
The composition and role of its materials are the most importance of Cheongguyadam’s game storytelling. Cheongguyadam has a full of descriptions such as its culture, life style, interest and so on because it is the unofficial tale of the late of Joseon dynasty. It was the time of facing challenge th process modern society from premodern. We need to recreat and reuse its full of materials for making games.
If we use the works in Cheongguyadam for storytelling we can get uncountable value; for example to uphold the great traditions and provide immagination to the industry of cultural contents. We must keep “the identity of the original narrations to use its works. And then we can recreat and reuse its materials to apply to the media and objects.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KCI등재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KCI후보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