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독일 표현주의와 할리우드 사이의 영화미학 - 프리츠 랑의 ‘마부제’ 시리즈를 중심으로 = Filmästhetik zwischen dem deutschen Expressionismus und Hollywood - unter besonderer Betrachtung von Fritz Lang’s Mabuse-Serie
저자
이광복 (국립목포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3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239-257(19쪽)
제공처
2008년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연구를 일별해 보면, <마부제 박사, 도박사>, <니벨룽엔>, <메트로폴리스>, <엠 M> 등 독일 시절 영화들에 대한 분석이 대부분이고, 할리우드 시절 영화들에 대해서는 <사형집행인도 죽는다 Hangmen Also Die>(1943)를 제외하곤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다시 말해 프리츠 랑이 독일 시절에 만든 영화들의 분석에 치중함으로써 할리우드 시절까지 그의 영화미학을 폭넓게 조망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인식에서 출발하는 본 연구는 프리츠 랑이 독일 시절에 어떤 영화미학을 추구하였으며, 할리우드에서 이를 계승하였는지, 아니면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영화 전체를 개관하는 것이 필요하겠지만, 여기서는 1922년에서 1960년 사이에 걸쳐 탄생한 ‘마부제’ 시리즈, 즉 <마부제 박사, 도박사>(1922), <마부제 박사의 유언 Das Testament des Dr. Mabuse>(1933), <마부제 박사의 천 개의 눈 Die tausend Augen des Dr. Mabuse>(1960)을 중심으로 그의 영화미학에 접근하고자 한다.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welche Filmästhetik Fritz Lang in Deutschland verfolgte und welche Veränderungen er in Hollywood erlebte. Zu diesem Zweck wurden <Dr. Mabuse, der Spieler>(1922), <Das Testament des Dr. Mabuse>(1933) und <Die tausend Augen des Dr. Mabuse>(1960) ausgewählt. Als Forschungsergebnis kamen folgende Punkte ans Licht: Erstens setzt die Mabuse-Serie den Titelprotagonisten Mabuse in eine untrennbare Beziehung mit der Weimarer Ära sowie mit der Adenauer-Ära.
Zweitens nehmen expressionistische Farben in der Mabuse-Serie allmählich ab. Stattdessen zeigt sich die Tendenz, realistische Darstellungen zu verwenden. Im ersten Film werden expressionistische Farben durch Doppelgängermotive, schwarz-weißes Licht und Schatten, fantastische Innenräume, verzerrte Gesichtsausdrücke sowie dekorierte Gemälde und Skulpturen zur Geltung gebracht. Auch im zweiten Film werden Doppelgängermotive, schwarz-weißes Licht, Schatten usw. verwendet. Diese Häufigkeit nimmt jedoch deutlich ab. Im dritten Film bleibt nur noch das Doppelgänger-Motiv übrig.
Abschließend lässt sich sagen, dass Fritz Langs Filmästhetik, die in der Tradition des deutschen Expressionismus verwurzelt ist, mit dem Hollywood-System in Kontakt kam und allmählich die expressionistischen Farben reduzierte.
분석정보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