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百濟 喪葬儀禮 硏究 : 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Abstract】

    A study on mortuary practice of Baekje: an analysis focused on burial process


    Kang, Wonpyo

    Department of Archaeology,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Jongtaik)

    This research aims at understand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burial processes and procession by analyzing related factors found in tombs belonging to the Baekje period. It is attempted to reconstruct mortuary practice of the Baekje based on literature surveys regarding Baekje and contemporaneous other kingdoms’ funerary custom. Furthermore implications of such mortuary practice to the Beakje society are discussed.
    Ancient rulers had often built the gigantic tombs to show off their power and authority, which had stimulated to develop mortuary practices including burying grave goods such as daily items for afterlife and cult. Thus many aspects of ancient society are directly reflected on the grave goods. Apart from the primary aim to bury the deceased, grave goods are semantic cultural complex where political, economic and religious aspects of the society are tangled and and indeed are the remains of funeral ceremony.

    Scarcity of research regarding mortuary practices is attributed to the limits and nature of archaeological data which are mostly tangible material remains. Rather than archaeology, other academic fields such as anthropology, ethnography, and religion studies mainly address such research themes. Often unplausible hypotheses were claimed due to scarcity of material evidence left in tombs and fundamental constrains of archaeological data.

    Baekje’s tombs are the resources to provide materials illustrating cultures of Baekje, and royal tombs such as King Muryeong’s tombs are the most primary and essential dataset to understand history, culture, ideology, arts and international cultual exchange.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ata amongst burial goods of the King Muyreong’s tombs are two pieces of stone epitath stone plaque identifying the buried deceased in the tomb. From the record of these epitath, it is known that the king and queen’s bodies had been kept for 27 months before they were eventually laid in the tomb. Such practice is thought to have been originated from Chinese Confucious funeral custom of there years’ mourning, which led to the abundant comparative studies with Chinese mortuary practice.

    The other event marked in the study of mortuary practice was the discovery of Jeongjisan archeological site in 1996. It brought a massive interest on King Muryeong’s mortuary practice by publication of study inferring the Jeongjisan site as a funerary chapel which preserved the body for three years. In addition, stone-piled archaeological features, which are assumed to be the venue for the ceremony inside the tombs cluster at the Suchonri site, Gongju. The archaeological data related to mortuary practice has been increasingly discovered.

    The integrated research on various data found in Baekje’s tombs reached a conclusion that the mortuary practice had developed under the interaction between traditional indigenous practice with foreign custom associated with adoption of new type of burials. The summary of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ocession of cult in pit burial, a main tomb style of Mahan Confederation to Baekje, in particular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was reviewed. In contrast to the perceived assumption of using portable wooden coffin, it is revealed that the coffin was assembled inside the pit. Thus the procession of the pit burial tomb was carried out in this order as follows.

    ① to dig a pit ‣ ② to assembly a coffin, grave goods container ‣ ③ to place artifacts and infill the pit ‣ ④ to lay the body and offerings ‣ ⑤ to place the covering stone and offerings ,and to perform cults ‣ ⑥ to infill the pit and to perform cults and to bury ‣ ⑦ to construct the mound

    It was suggested that the offerings were tributed at each stage. Jar tombs and pit burials were constructed at the outskirt of the pit and negative ditches, burial of potteries and iron tools, continuously perform cults in the ditches, cults on the mound.

    Secondly, stone built burials which became the main burial style for the local rulers from the early 4th century AD maintained the interior structure similar to the previous pit burials despite the change of chamber construction material from wood to stone. It is inferred that the previous mortuary practice had persisted.

    Thirdly, it was suggested that adoption of stone chamber burial marked the biggest change in mortuary practice of Baekje. A stone chamber burial with a side entrance indicates that the mainstream central Beakje elites accepted a large number of Chinese refugees and their tomb style due to its active expansion to the northwestern region. In addition, adoption of mass burial for a stone built burial with a side entrance force the indigenous local elites, who consistently kept the custom of individual stone-built tomb, to break old custom.

    Such a conflict is well reflected in stone chambers with a side entrance constructed in the rural area far away from the Hanseong, the first capital in the mid fifth century AD. Compromised elements are represented as maintaining pit-style burials in a form of a stone chamber with a side entrance, individual tombs (one coffin for each tomb), construction of a coffin assembled with wooden plates and a wooden vault inside the chamber. It shows that conserved elements of indigenous mortuary practice were seen in the newly accepted burial style. In addition, the ritual place in rectangular stone-piled tombs had gradually lost its function as stone chamber tombs had been widely adopted with a change of cult performed inside the individual tomb.

    Fourthly, the expansion of the stone burials with side entrance during the Ungjin-Sabi period, was noted. In the early 6th century, brick built chamber tomb of the Chinese Southern Dynasty’s style had strongly influenced, and its influence was reflected on a rectangular plan burial chambers, co-burial of a married couple and family, and a block wooden coffin with rings for carrying attached. Cults inside the ditches and burials around the pi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dditional burial became relatively easier inside the stone chamber, and cults could be performed inside the chamber as well.

    Considering the King Muryeong’s tomb and the Jeongjisna site in this period, mortuary custom was highly affected by that of Chinese. Epitaph stone plaques, mystic animal sculpture, Chinese imported goods, and three years mourning custom reflect the tradition of Chinese mortuary practice. In addition, certain actions such as breaking off the pottery and using covers as plates were considered to be the semantic symbolic gestures to transform them to be the dead’s belongings. So was the influence of Chinese custom.

    Fifthly, the revival of mortuary practice from stone burials with side entrance to individual tomb, is noted. Local stone chamber burials located in the western coastal area far away from the capital shows the revival of an individual tomb with a rectangular chamber plan and more potteries placed than the capital region. Even in the Neongsan-ri tombs cluster in Sabi period, individual tombs were constructed at 7th Century AD. Such changes caused the reduced role of the entrance, and it is assumed to have influenced the stone chamber burial with a entrance wall. Some of these burials were constructed without consideration for additional burial.

    It is summarized that the mortuary practice of Baekje with the base of stone built burial and pit burial originated from the Bronze and Iron Age was initially established with coffin, wooden container box and deep pit burial by the refugee from Buyeo-Goguryeo, then had a large change by introduction of the stone chamber tomb. Local people with a previous tradition accepted the stone chamber burial, but it took time to accept the family tomb mortuary practice. Despite the widespread of this new custom, the old tradition of individual tomb revived again with a change from mass burials to individual burial in a form of stone chamber burial with a side entrance.

    Although it is generally perceived that changes of burial and mortuary practice were accompanied, but they did not alway coincidently occur, but it had depended on temporal and political context.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burial styles could be changed by tradition of mortuary practice and beliefs regarding afterlife, contrasting to the norm that mortuary practice was always influenced by the burial style. Thus certain ideological aspects such as the tradition of mortuary practice played a role in the material cultural change, it can be identified by archaeological dataset.


    【Keywords】 Mortuary Practice, Cults, Pit Burial, Wooden Box Container, Stone Chamber Burial with a Side Entrance, Brick Built Chamber Burial

    더보기

    百濟 喪葬儀禮 硏究
    -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강원표

    고려대학교 문화재학 협동과정 고고학 전공

    본 연구는 百濟의 墳墓遺蹟에서 발견되고 있는 喪葬儀禮와 관련된 요소를 정리・검토하여, 그 전개양상과 변화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함께 백제 및 삼국의 상례와 관련된 문헌기록, 동시대 주변나라의 연구 성과 등을 참고하여 백제 상장의례의 모습을 복원하고 이러한 상장의례가 백제 사회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대의 권력자들은 자신의 권력과 위엄을 전하기 위해 거대한 분묘를 축조하였고, 분묘 안에는 死者의 사후 생활을 위하여 일상용품을 부장하거나 呪術的인 儀禮를 행하는 풍속이 발전하게 되었다. 무덤에 남아있는 부장품들은 당시 사회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자료 중 하나이다. 死者를 매장하다는 1차적인 목적 외에도 당시 사회와 매장 수행자의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목적이 복합된 의미복합체이며, 그 자체가 의례 행위의 결과물이다.
    지금까지 상장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물질자료인 고고자료를 통해 밝힐 수 있는 한계는 분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질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고고학에서보다는 인류학, 민속학, 종교학 등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분묘에서 발견되는 적은 수의 의례흔적을 바탕으로 한 상장의례의 복원 시도는 고고자료가 가지는 성격과 한계, 적은 사례에 기반을 둔 무리한 추론의 전개로 흐를 우려가 있기 때문에 매우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백제의 분묘에서는 백제문화를 보여주는 자료들을 계속해서 제공해 주고 있으며, 특히 무령왕릉과 같이 백제 최상위 계층의 분묘들은 그 자체가 역사・문화・사상・예술・국제교류를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자료이다. 무령왕릉 출토품 중 가장 중요한 자료의 하나는, 무덤의 주인이 누구인지를 밝혀준 2매의 墓誌石이다. 이 묘지석의 기록을 통해 당시 백제왕과 왕비가 사망 이후 27개월간의 殯葬을 치른 뒤에 비로소 능묘에 안장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3년간의 빈장은 중국의 유교적 전통에 기반을 둔 3년상의 전통으로 추정되며, 이후 중국 상장의례와의 비교를 통한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1996년에는 백제 상장의례 연구의 또 하나의 중요한 계기가 되는 艇止山 遺蹟이 발견되었다. 이곳이 무령왕과 왕비가 빈장을 치렀던 殯殿址로 추정하는 연구가 발표되면서, 무령왕의 상장의례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공주 수촌리유적에서 분묘군 내 제사유적으로 추정되는 적석유구가 조사되는 등 상장의례와 관련된 흔적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백제 분묘유적에서 확인된 여러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백제 상장의례에 대하여 고찰한 결과 백제의 상장의례는 전통적인 상장의례와, 외부에서 들어온 새로운 묘제와 공반된 새로운 상장의례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마한 ~ 백제의 중심 묘제이며, 백제 한성도읍기의 주요 묘제이기도 한 토광묘의 제의절차를 검토하였다. 3~4세기대의 토광묘의 구조가 상자형의 이동식 목관이 아니라, 묘광 내에 판재를 조합하여 틀을 짜 넣은 ‘판재 조합형 목관’임을 밝히고 이에 따라 토광묘의 장례 절차를 ① 굴광 ‣ ② 관, 부장곽, 곽 설치 ‣ ③ 묘광 내 매장부 주변 유물매납 및 충진 ‣ ④ 시신안치 및 공헌품 부장 ‣ ⑤ ‣ 개판설치 후 상면에 제례 및 공헌품 부장 ‣ ⑥ 묘광 내 복토 및 평탄면 부근에 의례와 매납 ‣ ⑦ 봉분조성의 순서로 진행됨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절차의 각 단계에 공헌품이 순차적으로 매납됨을 밝혔다. 그리고 묘광 주변과 주구에 옹관묘와 토광묘의 배장, 토기와 철기의 매납, 주구에서의 지속적인 의례, 봉분에서의 의례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정리하였다.
    두 번째로 토광묘의 뒤를 이어 4세기 초반부터 지방의 유력 재지세력의 주요 묘제로 성장한 석곽묘도, 내부에 판재 조합형의 목관이 설치되는 곽의 재료가 나무에서 돌로 바뀌었지만 기본적인 구조 및 기존의 토광묘에서의 상장의례 전통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음을 추정하였다.
    세 번째로 석실분의 도입이 백제의 상장의례에 큰 변화를 일으킨 요인이 되었음을 밝혔다. 횡혈식 묘제의 도입은 4세기 말 백제의 적극적인 서북한 지역의 진출로 인한 서북한 세력의 유입을 배경으로, 백제 중앙세력이 중국계 유민과, 그들의 선진 묘제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와 함께 추가장이 가능한 가족묘제 개념을 기반으로 한 다장의 횡혈식 묘제의 도입은 1인이 1묘 기반의 수혈식 묘제를 고수하고 있던 재지세력에게 큰 변화를 강요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갈등은 백제 도입인 한성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의 5세기 중반에 축조된 횡혈식 석실분들에서 잘 나타난다. 기존의 상장의례의 요소인 수혈식의 안치(횡혈식 묘를 수혈식으로 사용), 1인 1묘(묘실 내 1개의 관대 설치), 묘실 내 판재 조합식의 목관과 목곽의 설치 등으로 나타난다. 즉 백제 세력권으로의 편입과 함께 횡혈식석실묘를 받아들이기는 하였으나 전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던 상장의례를 고수하려 하였다. 또한 고분군에서 보이는 방단적석의 분묘 제사터는 석실분의 확대와 함께 개별 분묘 내에서의 제사로 변화되면서 점차 기능을 잃어갔을 것으로 생각된다.
    네 번째는 웅진~사비도읍기 횡혈식 석실묘의 확대이다. 6세기 초 남조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전축묘의 도입과 함께 장방형의 묘실양식의 정착, 묘실 내에 부부합장과 가족장의 원칙, 관고리로 대표되는 운구형의 상자형 목관 등이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주구 내에서의 제사 흔적과 묘광 주변의 배장이 줄어든다. 이는 묘실 내의 추가장이 비교적 쉬웠고, 묘실 내에서 제사가 이루어질 수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 시기 무령왕릉과 정지산유적에서 살펴지듯이 상예 제도에 있어서도 중국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묘지석과 매지권, 진묘수, 중국제 기물, 3년상 등은 중국 상례문화의 전통으로 보인다. 또한 이 시기 토기의 일부분을 훼손하고, 뚜껑을 개배로 사용하는 등 기물의 비정상적인 사용은 죽은 사람을 위한 기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한 행위이며, 이 역시 중국의 영향으로 보인다.
    다섯 번째는 횡혈식 석실묘로 대표되었던 상장의례가 다시 1인 1실의 단장의 전통적인 모습으로 회귀하는 것이다. 도읍지에서 거리를 두고 있는 서해안 지역의 지방 석실분들은 장방형의 묘실에 1인 1실의 전통이 부활한 모습을 보여주며, 중앙에 비해서 토기 등의 부장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비도읍기의 왕릉급 고분인 부여 능산리고분군에서도 7세기 대에는 1인을 위한 분묘가 축조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입구의 기능축소를 가져왔고, 이러한 영향이 구조가 간단하고 폐쇄가 용이한 횡구식 석실묘의 유행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횡구식 석실묘 중 일부는 처음부터 추가장을 염두에 두지 않은 형태가 등장하기도 한다.

    이상과 같이 백제의 상장의례는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를 거쳐 이어져 오던 단장의 석곽묘, 토광묘 전통의 상례가 부여-고구려계의 백제 건국세력에 의하여 동북아시아지역과 관계가 깊은 관, 곽 토광묘로 자리 잡았고, 다시 횡혈식묘제의 도입으로 인해 상장의례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기존의 전통을 지키려는 지방 세력은 횡혈식 석실묘라는 묘제는 받아들였지만 가족장이라는 상장의례는 시차를 두고 받아들이게 되었다. 한때는 이러한 변화가 널리 확산되는 듯도 하였기만 결국 다시 전통적인 단장의 요소가 일부 부활하면서 횡혈식 석실묘가 단장묘로 변화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묘제의 변화와 상장의례의 변화를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자료에서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인 상황과 정치적인 양상에 따라 시간적, 수용양상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드시 묘제에 의해 상장의례가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상장의례의 전통과 생사관에 의하여 물질문화인 묘제가 변화하였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즉 상장의례의 전통과 같은 정신적인 부분이 물질문화를 변화시키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고고자료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더보기
    • Ⅰ. 序論 1
    • 1. 硏究의 背景과 目的 1
    • 1) 硏究의 背景 1
    • 2) 喪葬儀禮의 槪念과 用語의 정리 5
    • 2. 硏究史 檢討 8
    • 3. 硏究의 對象과 方法 13
    • Ⅱ. 百濟墳墓 喪葬儀禮 關聯 考古資料 15
    • 1. 墳墓에서 발견되는 喪葬儀禮 資料의 樣相 15
    • 1) 喪葬儀禮 資料의 出土樣相 15
    • 2) 新羅, 伽耶의 喪葬儀禮 硏究現況 19
    • 3) 喪葬儀禮 資料의 類型分類 24
    • 2. 墳墓築造 過程에서의 儀禮資料 28
    • 1) 분묘축조를 위한 정지면 28
    • 2) 묘광의 굴광과 매장주체부 축조 31
    • 3. 屍身安置 過程에서의 儀禮資料 33
    • 1) 시신의 안치와 기물의 부장 33
    • 2) 매장주체부 내부에서의 의례 43
    • 3) 석실묘의 폐쇄 48
    • 4) 묘광 주변의 주혈과 목탄흔 51
    • 5) 묘광 주변의 배장과 유물매납 54
    • 4. 封墳과 周溝에서의 儀禮資料 60
    • 1) 봉분에서의 의례 60
    • 2) 봉분 호석의 의례 63
    • 3) 주구에서의 의례 66
    • 5. 墳墓群에서의 儀禮資料 75
    • 1) 분묘군 주변 제사지 75
    • 2) 빈전지 81
    • 3) 매납유구 83
    • 6. 器物의 毁損과 破壞 89
    • 1) 기물의 훼손과 파괴 89
    • 2) 특수한 부장행위 97
    • 3) 기물 훼손의 의미 99
    • Ⅲ. 百濟 喪葬儀禮 關聯 文獻資料 104
    • 1. 百濟 喪葬儀禮과 관련한 文獻資料의 檢討 104
    • 2. 中國 喪葬禮의 儒敎的 傳統 110
    • Ⅳ. 百濟 喪葬儀禮의 考察 117
    • 1. 土壙墓의 喪葬儀禮 117
    • 1) 百濟 土壙墓의 全開 117
    • 2) 土壙墓 內 木棺과 木槨의 設置 119
    • 3) 土壙墓의 매장과정 145
    • 2. 石槨墓 喪葬儀禮 147
    • 1) 百濟 石槨墓의 全開 147
    • 2) 바닥시설의 分類 148
    • 3) 石槨墓의 매장과정 152
    • 3. 石室墓의 喪葬儀禮 152
    • 1) 百濟 石室墳의 全開 152
    • 2) 石室墳의 埋葬過程 155
    • 4. 百濟 喪葬儀禮의 展開와 變化 165
    • 1) 土壙墓~石槨墓에서 확인되는 儀禮의 痕迹 165
    • 2) 石室墓에서의 喪葬儀禮의 變化 168
    • Ⅴ. 結論 176
    • 【參考文獻】179
    • 【參 考 表】206
    • 【Abstract】222
    더보기
    • 1 尹世英, "冠飾",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2 지재희, "예기", 학민출판사, 상・하 자유문고, 2000
    • 3 崔鍾圭, "埋葬三祭", 晉州 武村Ⅱ-高麗 ․ 朝鮮墓群(2) , 경남고고학연구소, 2004
    • 4 최종규, "鐵箱集Ⅰ", 도서출판 考古, 2014
    • 5 인재해, "전통 상례", 대원사, 대원사, 1990
    • 6 關野 貞, "朝鮮美術史", 朝鮮史學會, 1932
    • 7 關野 貞, "百濟の遺蹟", 考古學雜誌 第6卷 3號, 日本考古學協會, 1915
    • 8 朴相珍, "木棺의 樹種",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 究所., 1991
    • 9 崔秉鉉, "新羅古墳硏究", 一志社, 1992
    • 10 한신, "大學校 博物館", 내風納土城 Ⅳ쇄-慶堂地區 9號 遺構에 대한 發掘報告-, 2004
    • 11 한신, "大學校 博物館", 내風納土城 Ⅲ쇄-삼화연립 재건축 사업부지에 대한 조사보고-, 2003
    • 12 崔鍾圭, "石室墳의 禮制", 考古學探究 13, 考古學探究會, 2013
    • 13 朴永福, "耳飾, 頸飾, 釧",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 硏究所., 1991
    • 14 尹武炳, "古墳考古學硏究", 學硏文化社, 1992
    • 15 盧重國, "百濟政治史硏究", 일조각, 1988
    • 16 兪元載, "雄津百濟史硏究", 도서출판 주류성, 1997
    • 17 崔鍾澤, "高句麗土器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18 朴漢濟, "아틀라스중국사", 사계절, 사계절, 2007
    • 19 박태호, "『장례의 역사』", 서해문집, 2006
    • 20 周裕興, "南朝文化와 百濟", 古代 東亞世亞와 百濟 , 서경문화사, pp. 239~251, 2003
    • 21 尹武炳, "武寧王陵의 木棺",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 22 安承周, "百濟古墳의 硏究", 百濟文化 7・8合輯, 公州師範大學 百濟文化硏 究所., 1975
    • 23 徐聲勳, "百濟器台의 硏究", 百濟硏究 1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93~216., 1980
    • 24 安承周, "百濟土器의 槪觀", 百濟土器圖錄 , 百濟文化開發硏究院, pp. 412~449., 1984
    • 25 李南奭, "百濟墓制의 硏究", 서경문화사, 2002
    • 26 崔夢龍, "百濟의 祭祀遺蹟", 韓國上古史學報 17, 韓國上古史學會, 1994
    • 27 吉井秀夫, "무령왕릉의 목관", 내百濟 斯麻王쇄무령왕릉 발굴 그 후 30년의 발 자취 특별전 도록, 국립공주박물관., 2001
    • 28 신기철, 신용철, "새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1995
    • 29 朴淳發, "한성백제의 탄생", 서경문화사, 서경문화사, 2001
    • 30 張寅成, "南朝의 喪禮 硏究", 『百濟硏究』 3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49~160., 2000
    • 31 辛勇旻, "漢代 木槨墓 硏究", 學硏文化社, 2000
    • 32 姜仁求, 王仲殊, "漢代 考古學 槪說", 學硏文化社, 1993
    • 33 李南奭, "百濟 石室墳 硏究", 學硏文化社, 1995
    • 34 李大行, 李錫九, "百濟三足土器硏究", 公州師大 論文集 25, 公州師範大學, pp. 88~107, 1987
    • 35 安秉燦, "王妃頭枕과 墨書銘",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硏究所., 1991
    • 36 남민이, "내상장례 민속학쇄", 시그마프레스, 2002
    • 37 강인구, "내한반도의 고분쇄", 아르케, 1999
    • 38 李相吉, "지석묘의 장송의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古文化 4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4
    • 39 崔鍾圭, "三韓 早期墓의 禮制", 考古學探究 창간호, 考古學探究會, 2007
    • 40 崔鍾圭, "積石冢의 封, 槨, 殉", 考古學探究 9, 考古學探究會, 2011
    • 41 成周鐸, 鄭求福, "誌石의 形態와 內容",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pp.165~186., 1991
    • 42 강원표, "능산리 고분의 개요", 유리건판으로 본 백제의 고분, 국립중앙박물 관, pp.102~143, 2015
    • 43 백제문화개발연구원, "백제의 신화와 제의", 주류성, 주류성, 2006
    • 44 장인성, "백제의 종교와 사회", 서경문화사, 서경문화사, 2001
    • 45 공병석, "예기 상례의 인문관", 학고방, 學古房, 2013
    • 46 장철수, "『옛무덤의사회사』", 웅진출판, 웅진출판사, 1995
    • 47 金時晃, "韓國 喪禮 葬禮 硏究", 東洋禮學 8, pp.39~80, 2002
    • 48 崔在錫, "韓國古代社會史硏究", 一志社, 1987
    • 49 崔在錫, "高麗時代의 喪 ․ 祭", 韓國古代社會史硏究 , 一志社, pp. 582~610, 1987
    • 50 盧重國, "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지식사업사, 2010
    • 51 이한상, "「백제의 장례풍습」", 『百濟의 文化와 生活』 百濟文化史大系 12, 충청남 도역사문화연구원, pp.448~470, 2007
    • 52 李聖愛, "中國喪禮考-禮記中心", 韓國文化硏究院論叢 50, 梨花女子大學校 韓國文化硏究院, pp.31~124., 1991
    • 53 申光燮, "環頭大刀와 裝飾刀子",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 濟文化硏究所., 1991
    • 54 山本孝文, "葬墓制度의 定着過程", 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 제51회 전국역 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175~186., 2008
    • 55 박의서, "『한국의 전통 장례』", 재원, 재원, 2002
    • 56 兪元載, "中國正史 百濟傳 硏究", 學硏文化社, 1993
    • 57 金吉植, "古代의 氷庫와 喪葬禮", 『韓國考古學報』47, 韓國考古學會., 2002
    • 58 尹武炳, "武寧王陵 石獸의 硏究", 百濟硏究 9,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8
    • 59 山本孝文, "百濟의 環帶에 대하여", 湖西考古學 16, 湖西考古學會, pp.25~56., 2007
    • 60 權五榮, "고대 한국의 喪葬儀禮", 내韓國古代史硏究쇄20, 한국고대사학회・서경 문화사, pp.5~29., 2000
    • 61 尹世英, "古墳 出土 副葬品 硏究",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8
    • 62 朴淳發, "百濟 國家의 形成 硏究", 서울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8
    • 63 申光燮, "百濟泗沘時代陵寺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64 林永珍, "百濟漢城時代古墳硏究", 서울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5
    • 65 李南奭, "泗沘時代의 百濟考古學", 서경문화사, 2014
    • 66 김종만, "내百濟土器의 新硏究쇄", 서경문화사, 2007
    • 67 금장태, "『유교의 사상과 의례』", 예문서원, 2000
    • 68 李南奭, "中西部地方 百濟 甕棺墓", 역사와 역사교육 3,4합집, 웅진사학회., 1999
    • 69 趙由典, "宋山里 方壇階段式 무덤",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70 鄭鍾秀,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71 무라마츠 요스케(村松洋介), "木棺墓 葬送儀禮의 復原", 코기토 65, 부산대 학교 인문학연구소, pp.111~141., 2009
    • 72 金元龍, "武寧王陵 出土 獸形佩飾",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 73 姜仁求, "武寧王陵의 葬法과 墓制", 내百濟武寧王陵쇄,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148~162., 1991
    • 74 姜熙天, 尹煥, "百濟 三足土器의 一硏究", 古代硏究 4, 古代硏究會, pp.47~74., 1995
    • 75 琴章泰, "祭天儀禮의 歷史的 考察", 내儒敎思想文化硏究쇄4․ 5, 韓國儒敎學會, pp.51~67., 1992
    • 76 장경호, "내아름다운 백제 건축쇄", 주류성, 2004
    • 77 全京秀, 韓相福, "二重葬制와人間의精神性", 『韓國文化人類學』2, 한국문化人 類學會, pp. 74~86., 1961
    • 78 金亨坤, "土壙木棺墓 構造硏究(Ⅰ)", 韓國上古史學報 10, 韓國上古史學會., 1992
    • 79 金時德, "韓國 儒敎式 喪禮의 硏究",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7
    • 80 金在鵬, "武寧王과 隅田八幡畫象鏡", 孫寶基 博士停年記念 韓國史學論叢, 지식산업사, 1988
    • 81 李相吉, "無文土器時代의 生活儀禮", 「환호집락과 농경사회의 형성」영남고곡 학회․ 구주고고학회 제3회 합동고고학대회 발표자료집, 영남고고학회․ 구주 고고학회, pp.241~279., 1998
    • 82 서성훈, 신광섭, "「表井里 百濟古墳調査」", 내中島쇄Ⅴ, pp.129~175, 1984
    • 83 나희라,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 지식산업사, 2007
    • 84 李南奭, "中西部地域 墳丘墓의 檢討", 『先史와 古代』35, 한국고대학회., 2011
    • 85 崔在錫, "新羅時代의 葬法과 喪・祭", 韓國古代社會史硏究 , 一志社, pp. 505~528, 1987
    • 86 金貞培, "東北亞속의 韓國의 岩刻畵", 韓國史硏究 제99·100호, 韓國史硏究., 1997
    • 87 李南奭, "漢城時代 百濟의 古墳文化", 서경문화사, 2014
    • 88 尹昊弼, "韓國 先史時代의 水邊儀禮", 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 , 대 한문화유산연구센터・학연문화사, pp.141~171., 2011
    • 89 김낙중, "내영산강유역 고분 연구쇄", 학연문화사, 2009
    • 90 尹武炳, "무령왕릉의 구조와 몇문제",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91 尹武炳, "連山地方 百濟土器의 硏究", 百濟硏究 10, 忠南大學校 百濟硏究 所. pp. 5~44., 1979
    • 92 李相吉, "廢棄에 관한 考古學的 檢討",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年記 念論叢,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00
    • 93 金恩鏡, "新羅古墳 出土 雲母의 性格", 한국고고학보 77, 한국고고학회, 2010
    • 94 秦弘燮, "武寧王陵 撥遣 頭枕과 足座",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 95 殷和秀, "韓國出土 卜骨에 對한 考察", 湖南考古學報 10, 湖南考古學會, pp. 5~30., 1999
    • 96 박승범, "고대 한국의 국가제의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97 권오영, "「무덤연구의 새로운시각」", 한국고고학회,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제51회 전국역 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5~14, 2008
    • 98 李相吉, "祭祀를 통해 본 勸力의 發生", 계층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한국고 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pp. 117~149, 2006
    • 99 徐五善, "목관장식, 금제장식, 은장식",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100 성정용, "「4~5세기 百濟의 地方支配」", 『한국고대사연구』 24, 한국고대사학회, 2001
    • 101 成正鏞, "「백제와 중국의 무역도자」",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백제연구』 38,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3
    • 102 전호태, "『高句麗 古墳壁畵의 世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103 李盛周, "新羅․ 伽耶土器樣式의 生成", 韓國考古學報 72, 韓國考古學會, 2009
    • 104 李殷晟, "武寧王陵의 誌石과 元嘉曆法", 東方學志 43,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1984
    • 105 任孝宰, "石村洞 百濟初期古墳의 性格", 내考古美術쇄129 130 合輯, 1976
    • 106 金秀桓, 李晟準, "韓半島 古代社會의 殉葬文化", 韓國考古學報 81, 韓國考古 學會, 2011
    • 107 최광식, "내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쇄", 한길사, 1994
    • 108 이진우, "마한・백제권 석곽묘의 변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109 尹世英, "古墳에 副葬된 土器의 一考察",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 -考古學編-, 一志社., 1987
    • 110 李在賢, "嶺南地域 木棺墓에 대한 硏究", 釜山大學校 碩士學位論文, pp. 40~41, 1994
    • 111 愼仁珠, "新羅 注口附容器에 대한 硏究", 文物硏究 3,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 재단., 1998
    • 112 崔鍾圭, "朝陽洞文化 晩期의 무덤 構造", 考古學探究 8, 考古學探究會, 2010
    • 113 鄭求福, "武寧王 誌石解釋에 대한 一考", 宋俊浩敎授停年記念論叢, pp.39~52, 1987
    • 114 李南奭, "漢城期 百濟 石室墳의 再認識", 眞檀學報 103, 震檀學會., 2007
    • 115 土田純子, "百濟 有蓋三足器의 編年 硏究", 韓國考古學報 52, 韓國考古學會, 2004
    • 116 나혜림, "내百濟 器臺의 變遷과 機能쇄",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117 홍보식, "내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쇄", 춘추각, 2003
    • 118 崔虎林, "우리나라 明器에 관한 一考察", 韓國學論集 14, 한양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1988
    • 119 安承周, "論山 表井里 百濟古墳과 土器", 百濟文化 9, 公州師範大學附設 百 濟文化硏究所, 1976
    • 120 兪炳夏, "考古學 資料로 본 백제의 祭祀", 바다와 祭祀-扶安 竹幕洞 祭祀遺 蹟- 특별전 도록, 國立全州博物館., 1995
    • 121 김용성, 黃曉芬, "한대의 무덤과 그 제사의 기원", 학연문화사, 학연문화사, 2006
    • 122 김홍남, "「陶磁器」, 내百濟武寧王陵쇄",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123 山本孝文,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서경문화사, 2006
    • 124 姜仁求, "周溝土壙墓에 관한 몇가지 問題", 내精神文化硏究쇄17-3, 韓國精神文 化硏究院., 1994
    • 125 權龍大, "경주지역의 출현기 목곽묘 연구", 한국고대사탐구학회, 내韓國古代史探究쇄9, 韓國古代史 探究學會., 2011
    • 126 정호섭, "내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쇄",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127 김용성, "내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쇄", 학연문화사, 2008
    • 128 김용성, "내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쇄", 학연문화사, 2009
    • 129 金殷暎, 李俊貞, "무령왕릉 출토 생선뼈에 대하여", 『무령왕릉을 격물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 130 尹根一, "公州 宋山里 古墳 發掘調査 槪報", 文化財 21, 국립문화재연구소, 1988
    • 131 崔旭鎭, "百濟 武寧王陵의 築造 背景 硏究",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32 山本孝文, "韓國 古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133 安順天, "小形鐵製模型農工具 副葬의 意義", 嶺南考古學報 18, 嶺南考古學會., 1996
    • 134 李盛周, "技術, 埋葬儀禮, 그리고 土器樣式", 韓國考古學報 52, 韓國考古學 會, pp. 95~136, 2004
    • 135 成周鐸, "武寧王陵 出土 <童子像>에 對하여", 百濟硏究 10,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1979
    • 136 朴普鉉, "積石木槨墳期 非墳墓遺構의 性格", 韓國上古史學報 10, 韓國上古 史學會., 1992
    • 137 姜玧錫, "일본 고대의 殯(모가리)에 대하여", 내古文化쇄65, pp.57~80, 2005
    • 138 安承周, "保寧 九龍里 百濟古墳과 出土遺物", 百濟文化 10, 公州師範大學附 設 百濟文化硏究所, 1977
    • 139 朴普鉉, "威勢品으로 본 古新羅社會의 構造", 慶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5
    • 140 土田純子, "百濟土器 東아시아 交叉編年 硏究", 서경문화사, 2014
    • 141 신윤정, "내漢城百濟伎 盒․ 洗流의 硏究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142 高久建二, "樂浪墳墓 埋葬主體部에 대한 硏究", 내考古歷史學誌쇄10, 동아대학 교 박물관., 1994
    • 143 愼仁珠, "新羅 象形 注口附容器에 대한 硏究", 東亞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2
    • 144 윤호필, "축조와 의례로 본 지석묘사회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145 有光敎一, "扶餘陵山里傳百濟王陵 ․ 益山雙陵", 橿原考古學硏究所論集 第 四, 橿原考古學硏究所, 1979
    • 146 구성희, "漢代厚葬風俗과 薄葬論, 내史林쇄15", 수선사학회, 2001
    • 147 이한상, "「公州 艇止山遺蹟의 編年과 性格」", 『백제의 왕실제사유적 정지산 학술 발표대회 요지문』, 국립공주박물관, 1998
    • 148 李盛周, "儀禮, 記念物, 그리고 個人墓의 발전", 湖西考古學 26, 湖西考古學 會, pp.74~109, 2012
    • 149 張守男, "武寧王陵 買地券의 起源과 受容背景", 『百濟硏究』54,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pp.83~112., 2011
    • 150 김유정, "내熊津ㆍ泗沘期 百濟 建物址 硏究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51 岡內三眞, "백제 무령왕릉과 남조묘의 차이연구", 내百濟硏究』1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80
    • 152 이남석, "「정지산 유적의 성격에 대한 검토」", 『정지산』, 국립공주박물관, 1999
    • 153 金榮國, "中西部地域 百濟 竪穴式 石槨墓 硏究",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54 姜元杓, "百濟 三足土器 擴散과 消滅過程 硏究", 高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1
    • 155 尹武炳, "連山 新興里 百濟古墳과 그 出土遺物", 百濟文化 7·8合集, 公州師 範大學附設 百濟文化硏究所, 1975
    • 156 장철수, "내사당의 역사와 위치에 관한 연구쇄", 국립문화재연구소, 1990
    • 157 이성준, "백제 수혈식 석곽묘의 형식학적 연구", 한국고고학회,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158 이남석, "「백제횡혈식 묘제의 구조형식연구」", 내百濟文化』 22,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연구소, 1992
    • 159 이남석, "「백제묘제의 전개에서 본 무령왕릉」", 『백제문화』31, 공주대학교 백제 문화연구소, 2002
    • 160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관념과 祭儀」", 『역사와현실』 32, 한국역사연구회, 1999
    • 161 林永珍, "百濟初期 埋葬土器와 生活土器의 關係", 한국상고사(Ⅱ) , 학연문화사, 1993
    • 162 조보람, "내3~4세기 중서부지역의 토광묘 고찰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163 김영배, "「百濟武寧王陵塼考」, 내百濟硏究쇄5",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4
    • 164 권오영, "「백제의 對中交涉의 전개와 그 성격」", 『古代 東亞細亞와 三韓 三國 의 交涉』, 복천박물관, pp.1~18, 2002
    • 165 李相吉, "靑銅器時代 儀禮에 대한 考古學的 硏究",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0
    • 166 全惠淑, "우리나라 古代喪制 속에 반영된 宗敎觀", 한국복식 9, 단국대학교 박물관, 1991
    • 167 金基雄, "古墳에서 엿볼 수 있는 新羅의 葬送儀禮", 내新羅文化祭學術發表論文 集-新羅宗敎의 新硏究쇄5, 新羅文化宣揚會 · 慶州市., 1984
    • 168 安順川, "大伽倻圈域의 縮小模型鐵製農工具 硏究", 釜山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97
    • 169 金吉植, "氷庫를 통해 본 公州 艇止山遺蹟의 性格", 『考古學誌』 12, 韓國考古 美術硏究所, pp.49~76., 2001
    • 170 崔泰淨, "考古資料를 통해 본 高句麗 喪葬禮 硏究",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171 유동현, "백제 한성기 횡혈식 석실분의 변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72 閔德植, "發掘調査資料로 본 百濟時代의 祭祀遺蹟", 史學硏究 71, 한국사학 회, pp.1~76., 2003
    • 173 崔完圭, "百濟成立과 發展期의 錦江流域 墓制樣相", 韓國上古史學報 37, 韓 國上古史學會, 2002
    • 174 金權九, "선사시대 儀禮와 사회적 성(gender)의 고착", 내考古歷史學志쇄16, 동 아대학교박물관., 2000
    • 175 徐程錫, "宋山里 方壇階段形 積石遺蹟에 대한 檢討", 百濟文化 24, 公州大 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39~54., 1995
    • 176 李炳鎬, "扶餘 陵山里寺址 伽藍中心部의 變遷 過程", 韓國史硏究 143, 韓國 史硏究會, pp.35~76, 2008
    • 177 變太燮,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上)", 歷史敎育 3, 歷史敎育 硏究會., 1958
    • 178 變太燮,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下)", 歷史敎育 4, 歷史敎育 硏究會., 1959
    • 179 이 훈, "공주 수촌리 백제금동관의 고고학적 성격", 충청학과 충청문화 5-2,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6
    • 180 林英宰,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성립과 전개",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181 성병희, "「조령숭배의 한일비교」, 내민속연구쇄5", 안동대학교민속학연구소, 1995
    • 182 권오영, "「고구려 횡혈식석실분의 매장프로세스」",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 려 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pp.12~65, 2009
    • 183 張寅成, "武寧王陵 墓誌를 통해 본 百濟人의 生死觀", 『百濟硏究』 32, 忠南大 學校 百濟硏究所, pp.161~171., 2002
    • 184 姜元杓, "百濟 金銅冠의 製作과 賜與에 대한 一考察", 百濟의 冠, 국립공주 박물관, 2011
    • 185 李樹鳳,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과 風水說話硏究", (財)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86
    • 186 尹世英, "可樂洞 百濟 古墳 第 1, 2號墳 發掘調査 略報", 내考古學쇄, 1974
    • 187 洪思俊, "扶餘 陵山里 一古墳의 調査 : 史蹟 第十五號", 내美術史學硏究쇄7-3卷, 1966
    • 188 權五榮, "百濟文化의 이해를 위한 中國六朝文化 탐색", 내韓國古代史硏究쇄37, 한국고대사학회‧ 서경, pp.81~112., 2005
    • 189 이한상, "내裝身具 賜與體制로 본 百濟의 地方支配쇄", 서경문화사, 2009
    • 190 尹溫植, "嶺南地域 原三國時代 後期 祭儀土器의 設定", 韓國考古學報 76, 韓國考古學會., 2010
    • 191 이기동, "「지석의 역사적 의의」, 내百濟武寧王陵쇄",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硏究所, 1991
    • 192 權龍大, "慶州 ․ 蔚山地域의 三國時代 毁損土器 硏究", 내湖西考古學쇄16, 湖 西考古學會., 2007
    • 193 마이클, "로이(이성규 譯), , 내古代中國人의 生死觀쇄", 지식산업사, 1987
    • 194 황보경, "한강유역 신라 고분의 제의유구에 대한 성격", 한국고대학회, 先史와 古代 29, 한국고대학회, pp.247~277, 2008
    • 195 金相烈, "내武寧王陵에 보이는 喪葬 -殯을 중심으로-쇄", 仁荷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2
    • 196 임영진, "「공주 송산리 D지구 적석유구의 성격 검토」", 내공주지역의 고분과 출토 유물』 백제 역사유적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국제학술회의, 2013
    • 197 趙宇然,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한국고대사연구 70, pp.139~179, 2013
    • 198 金聖洙, "내中西部地方 3~4世紀 周溝土壙墓 特性 硏究쇄",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9
    • 199 권오영, "「喪葬制와 墓制」,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쇄", 중앙문화재연구원・서경문화 사, pp.41~62, 2011
    • 200 권오영, "《고대 동아시아 문명 교류사의 빛 무령왕릉》", 돌베개, 돌베개, 2005
    • 201 장인성, "「무령왕릉 지석을 통해 본 백제인의 생사관」", 『百濟硏究』 27, 忠南大 學校 百濟硏究所, 1997
    • 202 平郡達裁, "무덤資料로 본 南韓地域 靑銅器時代 社會 硏究", 釜山大學校 博士 學位論文, 2012
    • 203 金武重, "백제 한성기 橫穴式石室墳의 構造와 埋葬 方法", 내제18회 고분문화 연구회 발표요지쇄, 古墳文化硏究會., 2012
    • 204 이남석, "「竪穴式 石槨墓의 收容樣相, 내湖西考古學쇄5", 湖西考古學會, 2001
    • 205 나희라, "「고대 한국의 타계관」, 내한국고대사연구쇄20", 한국고대사학회, 2003
    • 206 나희라, "「고대의 상장례와 생사관」, 내역사와 현실쇄 54", 한국역사연구회, pp.171~195, 2004
    • 207 채미하, "「백제의 산천제사와 그 정비」, 내東國史學쇄 48", 동국사학회, pp. 31~62, 2010
    • 208 金東淑, "新羅․ 伽倻 墳墓의 祭儀遺構와 遺物에 관한 硏究", 내嶺南考古學쇄 30, 嶺南考古學會, pp.59~98., 2002
    • 209 河在一, "百濟 雄津期 喪葬禮 硏究 –武寧王陵을 中心으로-", 공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4
    • 210 金一權, "고구려 고분변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 분석", 동북아역사논총 25. 동북아역사재단., 1996
    • 211 이 훈, "공주 수촌리고분군 제2차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금강유역권 신 출자료와 그 해석 , 제11회 백제학회 정기발표회, 2012
    • 212 구중회, "내풍속문화로 만난 무령임금 무검의 12가지 비밀쇄", 서경문화사, 2011
    • 213 兪炳夏, "부안 죽막동유적에서 진행된 삼국시대의 해양제사", 扶安竹幕洞 祭 祀遺蹟 硏究 , 國立全州博物館., 1998
    • 214 이남석, "「馬韓墳墓와 그 墓制의 認識, 내馬韓百濟文化쇄22", 圓光大學校 馬韓百 濟文化硏究所, 2013
    • 215 김옥순, "「분묘 출토유물의 성격」, 내韓國上古史學報쇄 59", 韓國上古史學會, pp.51~73, 2008
    • 216 정종수, "「유교식 상례」, 내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쇄", 두산동아, pp.73~150, 2005
    • 217 서영대, "「한국 고대의 제천의례」, 내한국사 시민강좌쇄45", 一朝閣, pp. 1~24, 2009
    • 218 尹武炳, "武寧王陵 및 松山里六號墳의 塼築構造에 대한 考察", 百濟硏究 5,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4
    • 219 朴相珍, "무령왕릉 관재의 재질과 年輪構造에 관한 조사연구", 『百濟論叢』 6, (財)百濟文化開發硏究院., 2001
    • 220 이남석, "「橫穴式 墓制의 淵源과 展開」, 『先史와 古代』30", 한국고대학회, 2009
    • 221 공병석, "「<禮記> 喪葬觀의 人文衣食」, 내儒敎思想硏究쇄 20", 韓國儒敎學會, pp.277~308, 2004
    • 222 김영심,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내韓國古代史硏究쇄64", 한국고대사학회, 2011
    • 223 車順喆, "皇南大塚의 遺物 副葬 위치를 통해 본 祭儀行爲 檢討", 新羅史學報 3, 新羅史學, pp.1~20, 2005
    • 224 미르치아, "엘리아데(이윤기 譯), , 내샤마니즘-고대적 접신술-쇄", 까지, 1992
    • 225 신광섭, 이강승, "「부여 태양리 백제고분의 一例」, 내百濟文化쇄15집", 공주사범대 학 백제문화연구소, 1983
    • 226 배영동, "「전통적 기제사를 통해 본 조상관」, 내민속연구쇄9", 안동대학교 민속학 연구소, 1999
    • 227 권오영, "「喪葬制를 중심으로 본 武寧王陵과 南朝墓의 비교」", 『百濟文化』 31,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51~64, 2002
    • 228 平郡達哉, 張龍俊, "유절병식 석검으로 본 무문토기시대 매장의례의 공유", 한국고고학회, 한 국고고학보 72, 한국고고학회, pp.37~71, 2009
    • 229 土田純子, "百濟 土器의 編年 硏究 -三足器 高杯 뚜껑을 중심으로-", 忠南 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4
    • 230 박순발, "「묘제의 변천으로 본 한성기 백제의 지방 재편 과정」", 『한국고대사연 구』48, 한국고대사학회, 2007
    • 231 김시덕, "『한국의 상례문화: 한국 유교식 상례의 변화와 지속』", 민속원, 민속원, 2012
    • 232 禹在柄, "영산강 유역 前方後圓墳 출토 圓筒形 토기에 관한 試論", 百濟硏究 3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0
    • 233 이진우, "「마한 백제권 석곽묘의 변천」, 내韓國上古史學報쇄88", 韓國上古史學會, 2015
    • 234 권용대, "「울산지역의 4~5세기 목곽묘 연구」, 내야외고고학쇄12", 한국문화재조 사연구기관협회, 2011
    • 235 김성남, "「중부지방 3~4세기 고분군 세부편년」, 내百濟硏究쇄33",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2001
    • 236 이홍종,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경관」, 내고고학쇄 14-1호", 중부고고학회, pp.45~67, 2015
    • 237 李在賢, "弁辰韓 社會의 발전과정-木槨墓의 출현배경과 관련하여", 嶺南考古 學 17, 嶺南考古學會, 1995
    • 238 김은경, "「三國時代 古墳出土 朱와 그 意味」, 내嶺南考古學쇄61", 嶺南考古學會, 2012
    • 239 김창억, "「우물에 대한 祭儀와 그 意味」, 내嶺南文化財硏究쇄17", 嶺南文化財硏 究院, 2004
    • 240 李柱憲, "三韓의 木棺墓에 대하여- 嶺南地方出土 資料를 中心으로", 古文化 44,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4
    • 241 이남석, "백제 적석총의 재인식 -석촌동 백제 고분군의 묘제 검토-", 한국고대학회, 선사와 고 대 39, 2013
    • 242 정호섭, "「高句麗 積石冢 단계의 祭儀 양상」, 내先史와 古代쇄29", 韓國古代學會, pp. 191~222, 2008
    • 243 채미하, "「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祭禮」 내한국고대사연구쇄65", 한국고대사학회. pp.35~75, 2012
    • 244 양승이, "≪한국의 상례 -한국인의 생사관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한길사, 한길사, 2010
    • 245 박승범, "「집안일대 고구려 왕릉의 ‘祭壇’」, 내高句麗硏究쇄19", 高句麗硏究會, 2005
    • 246 趙慶和, "경주지역 古墳을 통해 본 祭儀의 형태와 신라인의 죽음인식", 안동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247 조윤재, "「百濟와 梁의 교섭과 大通寺」, 내공주 대통사지와 백제쇄",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pp.121~160, 2012
    • 248 박중환, "「금석문을 통해서 본 백제인의 내세관」 내역사학연구쇄29", 호남사학회, 2007
    • 249 김영심, "「무령왕릉에 구현된 도교적 세계관」, 내韓國思想史學쇄40", 韓國思想史 學會, 2012
    • 250 임영진, "「백제 한성기 묘제의 다양성과 그 의미」, 내고고학쇄4-1호", 중부고고학회, 2005
    • 251 김수민, "「신라고분에 보이는 음식공헌과 生死觀」, 내慶州史學쇄38", 慶州史學會, 2013
    • 252 姜仁求, "中國墓制가 武寧王陵에 미친 影響의 木棺 -風水地理的 要素-", 내百 濟硏究쇄10,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9
    • 253 車胤煥, "原三國後期~百濟初期漢江中 下流域의 墓制와 地域集團 硏究", 용 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254 金鍾滿, "忠淸西海岸地方 百濟土器硏究 -保寧・舒川地方을 중심으로-", 百濟 硏究 25, 忠南大百濟硏究所, pp.49~88., 1995
    • 255 길기태, "「百濟 威德王의 陵山里寺院 創建과 祭儀」, 내百濟文化쇄41", 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pp.5~34, 2009
    • 256 朴淳發, "漢江流域 百濟土器의 變遷과 夢村土城의 性格에 대한 一考察", 서울 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89
    • 257 趙胤宰, "長江中下流地域 漢 ․ 六朝前室墓의 墓門設置에 대한 일고찰", 中國 史硏究 56, 中國史學會, pp.37~66, 2008
    • 258 정운용, "「韓國 上古時代의 祭祀 意識과 그 繼承」, 내한국사학보쇄37", 고려사학 회, pp. 421~456, 2009
    • 259 권오영, "「고분과 고대사회」,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국립문화재 연구소, 2009
    • 260 김문옥, "내한성기 백제 횡혈식 석실분 연구 –한강유역을 중심으로-쇄", 공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0
    • 261 심현철, "「新羅 積石木槨墓의 구조와 축조공정」, 내韓國考古學報쇄88", 韓國考古 學會, 2013
    • 262 정호섭, "「高句麗壁畵古墳에 나타난 信仰과 祭儀樣相」, 내古文化쇄74", 한국대학 박물관협회, pp. 83~114, 2009
    • 263 박중환, "「백제권역 동물희생 관련 考古자료의 성격」 내百濟文化쇄47", 공주대학 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 264 권오영, "「삼국지 동이전 한조의 고고학」, 내삼국지 동이전의 세계쇄", 성균관대학 교 출판부, 2013
    • 265 조윤재, "「 漢晉 喪葬儀禮의 形成과 棺槨制度의 變容」, 내考古學쇄12-3", 중부고 고학회, 2013
    • 266 김광명, 정은정, "「古代韓國의 陪墓 - 嶺南地域을 中心으로」, 내野外考古學쇄6",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의회, 2009
    • 267 윤태영, "「무령왕릉 출토 목관 부속구 -새로 확인된 시상을 중심으로-」", 『무령 왕릉을 격물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 268 김용성, "「고분으로 본 신라의 장송의례와 그 변혁, 내중앙고고연구쇄15", 중앙문 화재연구원, 2014
    • 269 김동숙, "「신라 ․ 가야의 象形容器와 분묘 제사」, 내丹豪文化硏究쇄12", 용인대 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09
    • 270 土生田純之(하부다 요시유키), "韓日 前方後圓墳 比較檢討 –石室構造와 葬送 儀禮를 中心으로-", 韓國의 前方後圓墳 , 충남대학교출판부, pp.1~23, 2000
    • 271 서현주, "「고분 부장품의 해석」,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국립문화 재연구소, 2009
    • 272 이성준, "「장제와 묘제의 의미」,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국립문화 재연구소, 2009
    • 273 安秉燦, 李相洙, "百濟 武寧王陵 나무배개에 쓰여진 銘文 ‘甲’, ‘乙’에 대하여", 考古學誌 2, 韓國考古美術硏究所, pp.98~104, 1990
    • 274 동진숙, "「제사유적을 통해 본 고대의 제사의례」, 내博物館硏究論集쇄14", 부산박 물관, 2008
    • 275 이동희, "「보성 조성리유적의 성격」 내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쇄", 대한문 화유산연구센터․ 학연문화사, pp.81~114, 2010
    • 276 박초롱, "「백제 사비시기 오제 제사 시행과 그 의미」, 내韓國思想史學쇄47", 韓國 思想史學會, pp.5~39, 2014
    • 277 권용대, "「소가야지역 분구묘의 특징과 형성과정 연구」, 내야외고고학쇄2", 한국문 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7
    • 278 윤서석, "「신라의 음식」, 내신라문화제발표논문집-신라사회의 신연구쇄 8", 경주 시・신라문화선양회, 1987
    • 279 조윤재, "「남경 및 주변지역 六朝 대형 전실묘의 築造工程에 대한 일고찰」", 내考 古學探究쇄3, 고고학탐구회, 2008
    • 280 이남석, "「百濟 竪穴式 石室墳 -變遷과 橫口式의 발생-」, 내先史와 古代쇄6", 韓 國古代學會, 1995
    • 281 박아림, "「고구려 벽화고분의 帷帳의 설치와 기능」, 내고구려발해연구쇄44", 고구 려발해학회, pp.137~167, 2012
    • 282 박서영, "「백제 무령왕릉 두침, 족좌의 용도와 성격」, 내美術史學硏究쇄289", 한 국미술사학회, 2016
    • 283 홍순창, "「신라 유교사상의 재조명」, 내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논문집쇄12", 동국 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1
    • 284 金貞培, "魏志東夷傳에 나타난 古代人의 生活習俗 –禮葬・婚禮를 중심으로-", 大東文化硏究 13,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1979
    • 285 조윤재, "「中國 魏晉南北朝의 墓葬과 喪葬儀禮」,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쇄", 중앙 문화재연구원․ 서경문화사, pp.239~302, 2011
    • 286 김종일, "「죽어야 사는 고고학」, 내움직이는 세상, 움직여야 하는 고고학쇄", 서경 문화사, pp.183~218, 2012
    • 287 배기동, "「한국민족지 고고학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하여」, 내민족학연구쇄1", 한국 민족학회, pp.347~355, 1995
    • 288 이필영, "「한국 고대의 장례의식 연구」, 내한남대학교논문집(인문과학편)쇄17", 한 남대학교, pp.257~276, 1987
    • 289 조윤재, "「長江流域 漢․ 六朝時期 塼室墓의 四隅券進式 天頂部에 대한 고찰」", 『百濟硏究』 5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28, 2010
    • 290 방민규, "「고고학 자료로 본 신라 고분제사의 성격」, 내한국전통문화연구쇄 13", 한국전통문화학교, 2014
    • 291 朴淳發, "熊津 泗沘期 百濟土器 編年에 대하여-三足器와 直口短頸壺를 中心으 로-", 百濟硏究 37,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57~80., 2003
    • 292 김세기, "「대가야의 고분과 사후세계」, 내축제와 함께하는 대가야사 학술대회쇄",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6
    • 293 김종만,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발견된 신요소」, 내백세사비도성의 불교사찰쇄",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한국고대학회, 2015
    • 294 박종천, "「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내국학연구쇄 17", 한국국학진흥원, pp.363~397, 2010
    • 295 김성남, "내중부지방 3~4세기 고분군 일연구 -세부편년과 고분군 조영 양상 분 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296 권오영, "성스러운 우물의 제사 - 풍납토성 경당지구 206호 유구의 성격을 중 심으로", 내지방사와 지방문화쇄11권 2호, pp. 211~241, 2008
    • 297 이미선, "3~4세기 중서부지역의 목관(곽)묘 연구 -경기 남부와 충청지역을 중 심으로-",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298 高久建二(타카쿠켄지), "樂浪郡과 弁・辰韓의 墓制-부장품의 조성과 배치에 대 한 분석을 중심으로", 내고고학으로 본 변・진한과 왜쇄영남고고학회・구주고 고학회 제4회 합동고고학대회, 영남고고학회・구주고고학회., 2000
    • 299 김수봉, "百濟文化圈域 의 喪禮風俗과 風水說話硏究쇄-호서 · 호남지방을 중심 으로", 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86
    • 300 육정임, "「宋代 祖上祭祀와 祭禮의 再構想:계급의 표상에서 종족결집의 수단으 로」", 내한국사연구쇄27, pp.313~349, 2007
    • 301 김무중, "「百濟 漢城期 橫穴式石室의 構造와 調査方法」,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쇄", 서경문화사, 2011
    • 302 이남석, 이현숙, "「百濟 喪葬儀禮의 硏究 -錦江流域 喪葬儀禮 遺蹟의 意味-」 , 내百濟文化쇄54",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016
    • 303 차윤환, "「原三國後期~百濟初期漢江中 下流域墓制의 地域性」, 내韓國上古史學 報쇄78", 韓國上古史學會, 2012
    • 304 朴有貞, "中西部地域 橫口式 石槨墓 變遷 硏究 -百濟 泗沘期 ~ 統一新羅時代 를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305 황보경,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 을 중심으로-", 史林 37, 수선사학회, 2010
    • 306 김규운, "「가락동・방이동고분군으로 본 백제 횡혈식석실의 성립」, 내先史와 古 代쇄40", 韓國古代學會, 2014
    • 307 김동숙, "「고대 분묘 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 법론쇄5", 국립문화재연구소, pp.359~380, 2009
    • 308 성정용, "「중원지역의 원삼국시대 분묘양상」, 내중원문화권 고분이 전개 양상과 성격쇄",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09
    • 309 김성범, "「나주 복암리 유적 출토 백제목간과 기타 문화자 관련 유물」, 내목간과 문자쇄3", 한국목간학회, 2009
    • 310 김용성, "「대가야 고총의 상장례」, 내대가야의 정신세계쇄제7회 대가야사 국제학 술대회", 한국학연구원, 2009
    • 311 박양진, "「墓葬 資料의 사회적 분석과 楡樹老河深墓地의 一考察」, 내韓國上古史 學報쇄29", 韓國上古史學會, pp. 7~44, 1998
    • 312 權五榮, "考古資料를 中心으로 본 百濟와 中國의 文物交涉 - 강남지방과의 관 계를 중심으로", 『眞檀學報』 66, 震檀學會., 1988
    • 313 吉井秀夫, "대가야계 수혈식석관분의 “목관” 구조와 그 성격-못 ․ 꺽쇠의 분석 을 중심으로-", 내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年 紀念論叢쇄,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00
    • 314 이홍종, 허의행, "「漢城百濟期 據點都市의 構造와 機能 -羅城里遺蹟을 中心으 로-」, 내百濟硏究쇄60",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14
    • 315 노중국, "「百濟의 祭儀체계 정비와 그 변화」, 내계명사학쇄15-동곡 김종철교수 정년기념호-", 내계명사학회쇄, 2004
    • 316 한준영, "「경기지역 한성백제기 산성(山城) 출토 제의용(祭儀用) 토기의 검토, 내 사학지쇄49", 단국사학회, pp.171~210, 2014
    • 317 박종오, "「송이도(松耳島)의 초분(草墳) 고찰-“앉은 초분”의 형태와 그 기능을 중심으로」", 내韓國民俗學쇄41, pp.303~331, 2005
    • 318 권오영, "「물의 제사」, 내고고자료로 본 고대 제사쇄, 제10회 복천박물관 학술세 미나 자료집", 복천박물관, pp.51~83, 2006
    • 319 이남석, "「百濟 石室墳群內 埋納遺構의 檢討 : 公州 汾江 古墳群 資料의 檢 討」, 내古文化쇄50",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7
    • 320 임영재,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매장과정과 그 의의」, 내제29회 고분문화연구회 발표자료집쇄", 고분문화연구회, 2016
    • 321 이성주, "「木棺墓에서 木槨墓로- 蔚山 中山里遺蹟과 茶雲洞遺蹟에 대한 檢討」, 내新羅文化쇄14",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7
    • 322 동진숙, "「고대 제사유적과 유물」, 내선사․ 고대의 제사, 풍요와 안녕의 기원쇄 특별전시도록", 복천박물관, pp.145~163, 2006
    • 323 김길식, "「百濟地域 橫穴墓의 鐵器副葬 習俗, 葬法의 系統과 造墓集團의 性格 」, 내百濟文化쇄48",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171~212, 2013
    • 324 姜玧錫, "新羅․ 伽倻古墳에 나타난 祭祀儀式에 關한 硏究 : 5․ 6世紀代 古墳 建築過程을 中心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325 권오영, "「정지산유적과 백제의 喪葬儀禮, 내백제의 왕실제사유적 “공주 정지산” 학술발표회쇄", 국립공주박물관, pp.84~100, 1998
    • 326 松永悅枝(마츠나가 요시에), "고분출토 취사용토기로 본 고대 한․일 장송의례의 비교-일본열도 瀨戶內地域을 중심으로-", 嶺南考古學 50. 嶺南考古學會., 2009
    • 327 이한솔, "내한성백제기 우물제사에 대한 고찰 - 풍납토성 206호 유구의 고고학 적 분석을 중심으로-쇄",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328 김무중, "「고대의 생활제사」, 내고고자료로 본 고대 제사쇄, 제10회 복천박물관 학술세미나 자료집", 복천박물관, 2006
    • 329 배기동, "「민족지고고학의 전망-한국고고학 방법론 확장 가능성에 대하여」, 내韓 國上古史學報쇄9", 韓國上古史學會, 1992
    • 330 이창엽, "「中西部地域 百濟漢城期 木棺墓 變化 - 烏山 水淸洞遺蹟을 中心으로 」, 내선사와 고대쇄27", 한국고대학회, 2007
    • 331 김희중, "「馬韓 周溝墓의 類型과 時,空間的 展開過程 -京畿,忠淸地域을 中心으 로-」, 내百濟硏究쇄6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15
    • 332 홍보식, "「횡구식석실 ․ 횡혈식석실의 조사 방법과 기록」,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 사연구방법론쇄, 5", 국립문화재연구소, pp. 151~197, 2009
    • 333 유병하, "「해양교류와 고대 제사유적」, 내해양교류의 고고학쇄제26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발표논문집", 한국고고학회, pp.59~78, 2002
    • 334 홍보식, "「통일신라의 장 ․ 묘제」, 내통일신라시대 고고학쇄, 제28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 71~115, 2004
    • 335 신광철, "「유교의 수용과 세계관의 변용 –윤리・사회 덕목의 구현을 중심으로- 」, 내韓國古代史硏究쇄20",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pp.45~75, 2000
    • 336 김동숙, "「원시와 고대의 장송의례 연구」,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제51회 전 국역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2008
    • 337 조윤재, "「漢晉 喪葬儀禮의 形成과 變容」,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第51回 全國歷史學大會 發表資料集-", 韓國考古學會, pp.159~174, 2008
    • 338 김낙중, "「백제 묘제 연구에서 공주 수촌리 고분군이 갖는 의미」, 내수촌리유적 의 고고학적 성과와 의의쇄", 공주시・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3
    • 339 김대환, "「임당 유적 고총의 祭器 구성과 외래계 토기 – 조영EⅢ3호묘를 대상 으로-」, 내東垣學術論文集쇄16", 國立中央博物館․ 韓國考古美術硏究所, 2015
    • 340 姜玧錫, "日本 횡혈식 석실분의 축조과정과 그 상장례에 대한 시론 - 九州地 域의 6~7세기대의 圓墳을 중심으로-", 내傳統文化論叢쇄3, 한국전통문화학교., 2005
    • 341 최병현, "「중부지방 백제 한성기 축조 신라 재사용 석실분과 고구려 신라 연속조 영 고분군」, 내고고학쇄14-2호", 중부고고학회, 2015
    • 342 이명희, 한지선, "「한성백제기 기대 연구 : 풍납토성 출토 원통형기대와 상협하 광형기대를 중심으로」, 내考古學誌쇄18", 국립중앙박물관, 2013
    • 343 李樹鳳,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 硏究 -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과 風水 說話硏究 –湖西․ 湖南地方을 中心으로-", 百濟文化開發硏究院. pp.9~132, 1986
    • 344 김대환, "「신라 장경호 부장 정형과 신라 토기의 확산-‘토기제사법’과 ‘양식적 선택압’의 실체-」, 내중앙고고연구쇄",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 345 김창석, "「백제 왕실수공업의 성립과 생산체제, 내백제고대 제사유구와 유물」, 내 선사․ 고대의 제사 풍요와 안녕의 기원쇄", 복천박물관, pp.149~163, 2006
    • 346 성주탁, "「무령왕릉 출토 지석에 관한 연구」, 내무령왕릉의 연구현황과 제문제쇄 무령왕릉 발굴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국립공주박물관, 1991
    • 347 신용민, "「다호리유적 목관묘 시기의 묘제」, 내茶戶里 遺蹟 發掘成果와 課題 - 昌原 茶戶里 遺蹟 發掘 20周年國際學術 심포지엄-쇄", 국림중앙박물관, 2008
    • 348 김창석, "「한성시대 백제의 국가제사 체계와 변화 양상-풍납토성 경당지구 44 호, 9호 유구의 성격 검토를 중심으로-」, 내서울학연구쇄22",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pp.1~28, 2004
    • 349 김두철, "「제사고고학의 연구성과와 과제 - 수혈식 의례를 중시므로」, 『고고학 의 새로운 지향쇄, 제4회 부산복천박물관 학술발표회자료집", 복천박물관, 2000
    • 350 박중환, "「복합고분과 제사 –나주 복암리 3호분의 제사자료-」, 내호남지역 선사 와 고대의 제사쇄제22회 호남고고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호남고고학회, 2014
    • 351 송종열, "「분묘 및 주거지 출토 토기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상장의례 –정읍 신 면유적과 장성 환교유적을 중심으로-」, 내湖南文化財硏究院쇄12", 湖南文化財 硏究院, pp.5~20, 2012
    • 352 윤호필, "「청동기시대 장송의례의 재인식 - 인도네시아 숨바섬 지석묘의 장송의 례 비교를 중심으로-」, 내무덤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와 문화쇄", 경남발전 연구원역사문화센터・학연문화사, pp.139~16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