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찾고 계세요?

인기검색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결혼만족도와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URL 복사
    • 오류접수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 결혼만족도, 행복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결혼만족도와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결혼만족도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만족도와 행복감 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21년 7월 5일부터 8월 6일까지 서울, 수원, 평택, 당진, 서산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세, 만 4세, 만 5세 유아의 아버지 518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측정도구는 Block과 Kremen(1996)의 도구를 유성경과 심혜원(200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측정도구는 Barnes와 Olson(1982)이 개발한 도구를 고희선(201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양육참여 측정도구는 최경순(1992)의 도구를 서수진(2017)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넷째, 결혼만족도 측정도구는 Olson 등(1982)이 개발한 도구를 한국 상황에 맞게 개발한 고정자·김갑숙(2000)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다섯째, 행복감 측정도구는 Ryff(1989)가 개발한 도구를 한국판으로 번안한 김명소·김혜원·차경호(200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여섯째, 양육효능감 측정도구는 Gibaud-Wallston과 Wandersman(1978)이 개발하고 신숙재(1997)가 번안한 후 오미연(2005)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신뢰도(Cronbach’s α) 검사를 실시하여 측정문항의 예측 가능성과 정확성 등을 확인하였다.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 결혼만족도, 행복감,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측정문항과 잠재변인 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모형적합도, 개념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결혼만족도와 행복감의 매개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양육참여는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이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는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는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결혼만족도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아탄력성, 양육참여가 양육효능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행복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양육효능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행복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 양육효능감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아버지의 행복감이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를 기초로 아버지의 건강한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효율적 의사소통, 적극적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므로 아버지 자신의 지속적 성찰은 물론, 배우자의 배려와 유아교육기관의 교육적인 지원이 주어진다면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아버지의 행복감이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매개변인임을 밝혀냄으로써 개인적으로 행복하고 만족한 인생을 영위한다고 느끼는 아버지의 심리상태가 자녀양육에 있어서도 유능한 아버지라는 자신감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한 데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ing participa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parenting effectiveness among father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threefold.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n parenting effectiveness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n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ir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relation to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n parenting effectiveness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tudy surveyed 518 fathers of infants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Suwon, Pyeongtaek) and Chungcheongnam-do (Dangjin, Seosan) from July 5 to August 6, 2021. The measurement tool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on parenting effectiveness are as follows. First, a measurement tool used for measuring self-elasticity was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 (1996),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Yoo and Shim (2002). Second, in order to measur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 researcher used a tool developed by Barnes and Olson (1982),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o (2010). Third, to measure parenting participation, the researcher employed a tool created by Choi Kyung-soon (1992),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eo 2017). Fourth, to measure marital satisfaction, the researcher employed a tool developed by Olson et al. (1982), which was later modified to fit Korean situations by Go et al. (2000). Fifth, to measure happiness, the researcher employed a tool developed by Ryff (1989), which was later converted into a Korean version by Kim Myung-so et al. (2001) to fit the Korean context. Lastly, a measurement tool used for measuring parenting effectiveness was developed by Gibaund-Wallston and Wandersman (1978), which was modified and adapted by Shin (1997) and furt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Oh (200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 24.0 and AMOS 24.0.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 reliability (Cronbach's α)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predictability and accuracy of the measurement items. In order to analyze the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Model suitability, conceptual validity,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onfirm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etween measurement questions and latent variables. In addition, AMO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s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n parenting effectiveness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bootstrapping was us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resilience and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ing effectiveness, but parent-child communic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arenting effectiveness.
    Second, self-elasticity among fathers with young childre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marital satisfaction, but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happiness.
    Third, marriage satisfaction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self-elasticity,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arenting participation to parenting effectiveness, but happiness was partially mediated along the path of self-elasticity and parenting participation to parenting effectiveness, and happiness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is study,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of father's ego resilience,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were confirmed. It was found that father's happiness acts as an importan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parent-child communication,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Based on this, father's healthy ego resilience, effective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ctive parenting participation ar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 fathers' parenting efficacy. Therefore, if the father's self-reflection as well as the consideration of the spouse and the educational suppor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re given, it will help to enhance the father's sense of parenting efficacy. Also, father's happines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affecting parenting efficac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fathers who feel that they are personally leading a happy and satisfactory life affects their confidence as a competent father in raising young children.

    더보기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2
    • 1. 자아탄력성 12
    •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17
    • 3. 양육참여 22
    • 4. 결혼만족도 27
    • 5. 행복감 32
    • 6. 양육효능감 36
    • 7. 아버지의 자아탄력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양육참여, 결혼만족도, 행복감, 양육효능감 간의 관계 42
    • Ⅲ. 연구방법 56
    • 1. 연구대상 56
    • 2. 연구도구 58
    • 3. 연구절차 64
    • 4. 자료분석 66
    • 5.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67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70
    • 1. 측정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70
    • 2.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한 적합도 검증 84
    • 3. 구조방정식 분석 90
    • 4. 대안모형 및 수정모형 98
    • Ⅴ. 논의 및 결론 107
    • 1. 논의 107
    • 2. 결론 및 제언 118
    • 참고문헌 121
    • 부 록 148
    • Abstract 160
    더보기
    • 1 김영희, 이현섭, "부모교육", 파주: 양서원, 2017
    • 2 최규련, "가족관계론", 서울: 공동체, 2007
    • 3 박연호, "인간관계론", 서울: 박영사, 1980
    • 4 김주환, "회복탄력성", 서울: 위즈덤하우스, 2011
    • 5 이일현, "EasyFlow 회귀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4
    • 6 Veenhoven , R., "Is happiness relative ?", 24 , 1-34, 1991
    • 7 Myers, D. G., & Diener, E., "The pursuit of happiness", 274 ( 5 ) , 70-72 ., 1996
    • 8 Lamb , M. E. , Pleck , J. H. , Charnov , E. L. , & Levine , J . A ., "Paternal behavior in humans .", 25 ( 3 ) , 883 ? 894 ., 1985
    • 9 이배근, "어린이가 행복한 세상", 한국아동학회 추계학술발표 논문집, 3-19, 2008
    • 10 문미옥, "바른 부모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1995
    • 11 Ryan , R. M. , & Deci , E. L.,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52 ( 1 ) , 5-14 ., 2001
    • 12 Campbell , A.,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31 ( 2 ) , 117-124 ., 1976
    • 13 Dyer , J. G. and Mc Guinness , T. M.,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10 , 276-282 ., 1996
    • 14 Block , J . & Block , J. H., "Venturing a 30-year longitudinal study", 61 ( 4 ) , 315-327 ., 2006
    • 15 김미향, 김성회, "중학생 자아탄력성 척도개발", 상담학연구, 11(1), 189-206, 2010
    • 16 배병렬, "Amos 24 고급 구조방정식모델링", 서울: 청람, 2018
    • 17 Bandura ,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37 , 122-147, 1982
    • 18 Spanier , G. B . & R. A. Lewis, "Marital quality : Review of the seventies", 42 , 825-839 ., 1980
    • 19 Kasymova , S. , & Billings , D. L., "Meaning so fatherhood in urban Tajikistan", 19 ( 4 ) , 635-644 ., 2017
    • 20 Branden, N., "자존감의 여섯 기둥(김세진 역)", 서울:교양인(원서 출판, 1994), 2015
    • 21 Lenthall . G.,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3 ( 3 ) , 25-32 ., 1977
    • 22 허영림,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26(1), 97-116, 2006
    • 23 김현정, "우리나라 유아의 일상생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3
    • 24 안동현, "건강과 심리적 측면의 아동 행복",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 집, 23-35, 2008
    • 25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2009
    • 26 Garmezy , N., "Children in poverty : Resilience despite risk", 56 ( 1 ) , 127-136 ., 1993
    • 27 강현식, "아이를 행복하게 만드는 아빠양육", 서울: 소울메이트, 2011
    • 28 정옥분, 최형성,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논집, 22(3), 1-15, 2001
    • 29 정현숙,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205-224, 2001
    • 30 김원표,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서울: 사회와 통계, 2008
    • 31 Belsky , J,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55 ( 1 ) , 83-96 ., 1984
    • 32 Diener , E. , & Emmons , R. A, "The independence of postiveand negative affect .", 47 , 1105-1117, 1984
    • 33 유영주, 이인수, "“결혼만족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6), 1-14, 1986
    • 34 Greeff , A. P. , & De Bruyne , T., "Conflict management style and marital satisfaction", 26 ( 4 ) , 321-334 ., 2000
    • 35 홍은숙, "탄력성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1(2), 45-67, 2006
    • 36 임선영, "노년기 부부 스트레스와 결혼불안정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1
    • 37 김선영, "한국가족학회지의 가족연구 경향 분석", 한국가족학회지, 20(4), 143-182, 2008
    • 38 Bigner , J. J, "Attitude forward fathering and father-child activity", 6 ( 2 ) , 89-106 ., 1977
    • 39 Masten , A . S, "Ordinary magic :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56 , 227-238 ., 2001
    • 40 고재홍, 전명진, "부부의 유사성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지: 사회 및 성격, 17(3), 1-16, 2003
    • 41 송미숙, "어머니 행복감과 유아 행복감과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42 원지현, 이순복, "유아교사의 행복감 관련 변인 구조분석", 한국생태유아 교육학회, 14(3), 167-194, 2015
    • 43 조한익,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353-371, 2006
    • 44 안수미,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자녀양육시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3
    • 45 Barnett , R. C. , & Baruch , G. K., "Determinants of fathers '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49 , 29-40 ., 1987
    • 46 이성희, 한은주, "기혼남성의 아버지 역할행동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 질연구, 16(2), 23-39, 1998
    • 47 김산하,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행복감의 관계",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4
    • 48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서울: 한 빛 아카데미, 2019
    • 49 성보훈, "윤선아 행복의 정의와 발달단계별 결정요인", 뇌교육연구, 9(6), 103-134, 2010
    • 50 Anderson , E. A. , & Spruill , J. W., "The dual-career commuter family : A Lifestyle on the move .", 19 ( 1-2 ) , 131-147 ., 1993
    • 51 이미현, 최혜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척도 개발", 열린유아 교육연구, 20(5), 297-321, 2015
    • 52 Diener , E.,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 Progress and opportunities", 31 , 103-157, 1994
    • 53 이미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유아 또래 상호작용", 단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7
    • 54 문수경, 이무영, 박상희,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복지학회. 14(4), 137-153, 2009
    • 55 구현숙, 문혜련,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 유아교 육 보육복지연구, 19(4), 199-222, 2015
    • 56 남호진,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행복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57 김민규, 신우열,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2009
    • 58 강해순, "부부간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남과학기술대 학교 벤처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59 Burr , W. S., "An expansion and test of a role theory of marital satisfaction", 33 , 368-372 ., 1971
    • 60 임애련,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 및 양육참여", 경희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5
    • 61 심혜원, 유성경,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 리연구, 16(4), 189-206, 2002
    • 62 박유진,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63 김도란, 김정원, ":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간의 관계 연구", 열린 유아교육연구, 13(6), 311-333, 2008
    • 64 Funder , D. C. , Block , J. H. , & Block , J ., "Delay of gratification : some longitudinal personality correlates", 44 ( 6 ) , 1198 ., 1983
    • 65 류민영, 정현숙, "아동과 청소년의 행복감 모형에 대한 다집단분석", 한국 가족관계학회, 19(4), 21-43, 2015
    • 66 박춘희, 이지연, "장애학생 부모의 자아탄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상담 학연구, 13(2), 479-504, 2012
    • 67 이숙현,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남성의 자녀 양육참여", 서울: 한 국학술진흥재단, 2008
    • 68 박만호, "아버지 양육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69 권정혜, 채규만,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연 구", 한 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998(1), 35-51, 1998
    • 70 Leerkes , E. M. , & Burney , R. V., "The development of parenting efficacy among new mothers and fathers", 12 ( 1 ) , 45-97 ., 2007
    • 71 정의경, 황해익, "부모-유아의 의사소통과 유아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영 유아보육연구, 6, 47-65, 2000
    • 72 배지영, "초산모의 남편지지 및 양육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73 허준,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고급편)", 서울: 한나래출판사, 2020
    • 74 Norton , R., "Measuring marital quality : A critical look at the dependent variable", 45 ( 1 ) , 141-151, 1983
    • 75 김영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76 Klohnen , E. C.,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70 , 1067-1079, 1996
    • 77 Coleman , P. K. , & Karraker , K. H.,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18 ( 1 ) , 47-85 ., 1998
    • 78 노신애, "가족친화적 지역사회와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서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79 정금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유아의 사회도덕성과의 관계", 한국영유 아보육학, 80, 43-64, 2013
    • 80 황선실, 황희숙, "유아기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참여도와의 관계", 인 지발달중재학회지, 5(1), 71-93, 2014
    • 81 김영희, 이예숙,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행복에 관련된 변인 탐색", 한 국가족관계학회지, 20(4), 25-45, 2016
    • 82 Hawkins , J. L., "Association between companion ship , Hosti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30 ( 4 ) , 647-650 ., 1968
    • 83 Luster , T. , & Kain , E. L., "The relation between family context and perception of parental efficacy", 29 , 301-311 ., 1987
    • 84 김연수, 양옥경, "가족탄력성 증진을 위한 부모역할 프로그램 개발연구", 사회과학연구논총, 11, 115-147, 2003
    • 85 김연희,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숙명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86 손민혜, "아버지 양육참여가 어머니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 87 Davies, P. T., & Cummings, E. M.,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116 ( 3 ) , 387-411, 1994
    • 88 김연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의미와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청주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89 채진영,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 정관리학회지, 29(5), 75-83, 2011
    • 90 노진아, "장애유아 부모의 행복감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부산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91 한영석, 임지영, 김혜원,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22(2), 1-33, 2003
    • 92 Snyder , M., "Self-monitoring processes . In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 12 , pp . 85-12831 ( 6 ) , 985, 1979
    • 93 김남희, 김주리,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복감 간 관계", 생애학회지, 4(1), 19-32, 2014
    • 94 Block , J, "Assimilation , accommodation , and the dynamics of personality development", 53 ( 2 ) , 281-295 ., 1982
    • 95 김미화,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과의 관계", 인하대 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96 김지연, "취업모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일 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97 Dorsey , S. , Klein , K. , & Forehand , R. & Family Health Project Research Group, "Parenting self-erricacy of HIV-infected mothers : The fole of social support", 61 ( 2 ) , 295-305 ., 1999
    • 98 차동혁, "아버지 양육역할의 수행 동기-실행 유형과 영향요인 분석", 서울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99 김희진, "한국 부부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 학연구, 5(3), 839-853, 2004
    • 100 Block , J . & Kremen , A. M.,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 2 ) , 349-361 ., 1996
    • 101 Mondell, S., & Tyler, F. B,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s of problem solving/play behavior with children", 17 ( 1 ) , 73 ., 1981
    • 102 Trahan , M. H., "Paternal self-efficacy and father involvement : A bi-directional relationship", 19 ( 4 ) , 624-634 ., 2018
    • 103 박수원, "가족체계유형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연 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104 오혜진,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매개효과", 고 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 105 김은주, 이시자,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 향", 한국보육학회지, 15(4), 281-300, 2015
    • 106 김경화,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이 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 107 김명소, 차경호, 김혜원,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5(2), 19-39, 2001
    • 108 김미경, "아버지-자녀 상호작용 놀이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대 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 109 김근혜, "아버지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 국영유아보육학, 120, 1-17, 2020
    • 110 문혜련, 임지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34(2), 175-199, 2015
    • 111 김정실, 김정원,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역할지능과 행복 감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9(1), 29-47, 2014
    • 112 권준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2
    • 113 이임숙,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변인들 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114 김낙흥, 김용익, "아빠학교의 아버지들이 양육참여를 통해 겪은 삶의 경험 탐색", 육아지원연구, 10(2), 191-215, 2015
    • 115 Rojas , M., "Lif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domains of life : Is it a simple relationship", 7 ( 4 ) , 309-323, 2006
    • 116 Roach , A. J. , Frazier , L. P. , & Bowden , S. R.,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43 ( 3 ) , 537-546 ., 1981
    • 117 한지연, "부모-자녀의 행복 수준과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 분 석", 청소년문화포럼, 76, 85-107, 2021
    • 118 백승숙, "아버지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참여도가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119 최경순,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 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 120 Bradbury , T. N. , Fincham , F. D. , & Beach , S. R.,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 A decade in review", 62 ( 4 ) , 964-980 ., 2000
    • 121 이윤주, 진미정, "영유아기 기혼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사회자본과 양육스트 레스", 대한가정학회지, 51(2), 229-239, 2013
    • 122 김효민, 박정윤, "기혼남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에 관 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3), 43-68, 2012
    • 123 김지예, 진윤아, 이재림, 이윤주, "아버지의 부모역할 수행과 자녀의 발달 특성의 관련성 메타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7(1), 151-173, 2012
    • 124 손영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 간의 관계: 성격의 중재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125 김미정, 하은실, 정계숙, "어머니의 행복감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자 아탄력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73-97, 2012
    • 126 전은옥, 최나야,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 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82, 103-126, 2013
    • 127 이영환, 조복희, 이진숙,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아 버지노릇: 척도 개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7(12), 79-89, 1999
    • 128 이기학, 정현주, 이학주, 이하나,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7(3), 701-713, 2006
    • 129 박성환, "블렌디드러닝 기반 부모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 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30 조현주, "어머니가 지각하는 삶의 질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 수준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131 이미현,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4(4), 265-285, 2015
    • 132 김영순,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 133 김효민,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 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134 이부미, 임선희, "부모 공동양육의 삶의 이야기: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7(3), 353-381, 2020
    • 135 김미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 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136 Ryff , C. D. , & Singer , B. H., "Know thyself and become what you are : A eudaimonic approach to psychological well-being", 9 ( 1 ) , 13-39 ., 2008
    • 137 정문경, "마인드풀니스, 정서조절, 지각된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의 관 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38 김경숙, 이정은, 이정은, 김경숙, "부모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8(2), 149-165, 2019
    • 139 김경미, 김영희, "부부의 성격특성과 갈등의 상호작용이 결혼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3), 327-352, 2009
    • 140 정해진, "어머니의 의사소통능력이 양육태도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 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141 조윤진,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부공동 양육 경험", 사회과학연구논총, 33(2), 57-115, 2017
    • 142 박인숙, "6학년 아동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통제력의 관계", 경인교육대학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43 Wahler , R. G. , & Dumas , J. E., "Attentional problems in dysfunctional mother-child interactions : A interbehavioral model", 105 ( 1 ) , 116 ., 1989
    • 144 우정희, 전춘애, 이미숙,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 회적 능력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1(12), 91-101, 2003
    • 145 Schumm , W. R. , Scanlon , E. D. , Crow , C. L. , Green , D. M. , & Buckler , D. S., "Characteristics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in a sample of 79 married couples", 53 ( 2 ) , 583-588 ., 1983
    • 146 김득성, "결혼만족도 척도에 관한 연구: Kansas Martial Satisfaction Scale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2), 85-94, 1989
    • 147 유준호, 조해연, "아버지의 양육참여,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609-622, 2021
    • 148 최수진, "어머니 변인에 따른 의사소통유형, 자기효능감, 부모효능감의 차 이",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49 Dunn , J. , Brown , J. , & Brerdsall , L., "Family talk about feeling states , and children s later understanding of other s emotions", 27 , 448-455, 1991
    • 150 Jacobs , J. N. , & Kelly , M. L., "Predictors of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care in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4 ( 1 ) , 23 ? 47, 2006
    • 151 고정자, 김갑숙, "가족적응성, 응집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디스트레스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10), 1-14, 2000
    • 152 김은지, 박재호, "부부간 유사성 및 일치도가 커뮤니케이션과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03-423, 2010
    • 153 황순영,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역할만족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154 오현경, "부모의 자아탄력성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유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155 김대윤, "아버지의 공감능력, 아버지의 의사소통유형, 유아의 공감능력의 관계",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6(1), 245-264, 2022
    • 156 김민정, 김정원,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애착안정성 및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연구",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4(2), 5-28, 2010
    • 157 김현주, "놀이치료자의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과 역전이 관리 능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158 김시현, 우선영, "아동 행복감과 모 행복감, 모 일자리 만족도 간 구조방 정식 모형 분석", 여성연구, 108(1), 253-280, 2021
    • 159 이정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부관계, 부모성 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4(3), 99-108, 2003
    • 160 장영숙, 홍희숙, "유아의 기질과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리더십 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1(4), 369-390, 2013
    • 161 한주리, 허경호, "아내와 남편의 의사소통 능력, 논쟁성향 및 성격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학보, 18(4), 148-190, 2004
    • 162 안윤미,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낙관성 및 행복감 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163 Rutter , M.,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 Protective factors and resilience to psychiatric disorder", 147 , 598-611, 1985
    • 164 이현정,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도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 영향",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165 손영빈, 윤기영, "아버지의 역할지각,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결 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105-126, 2011
    • 166 곽선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고교생의 또래애착 및 사회불안에 미 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67 김유정, 임애련, 안선희, "아버지의 기질에 따른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 양육참여 간 관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3(5), 71-85, 2015
    • 168 송해영, 엄정애, "아버지의 정서표현성 및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사회 적 능력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 45(4), 87-96, 2007
    • 169 이영분, "어머니 교육을 통한 부모자녀 간의 갈등적 관계개선에 관한 실 험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 170 신유선, "어머니-자녀 의사소통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친 사회 적행동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171 김용미, 장성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소진이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 미 치는 영향", 발도르프교육연구, 3(1), 91-111, 2011
    • 172 민하영, "청소년비행정도와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 응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 173 곽현석, 김미현,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의사소통, 주관적 행복감, 게임중 독 간의 구조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5), 371-389, 2019
    • 174 양은호, 최혜순,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3(3), 143-162, 2013
    • 175 양은호,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이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 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176 오은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 응과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177 국길숙, 이미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 아존중감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23(1), 89-107, 2003
    • 178 이지영,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자녀 양육참여-어머니 문지기역할을 매 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179 신매희,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 부부 의사소통, 정신건강이 행복감에 미 치는 영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8(2), 378-388, 2021
    • 180 이현미,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181 채규만, 현미나, "성인애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 조절 곤란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4), 69-85, 2012
    • 182 Hoggard, L., "영국 BBC 다큐멘터리 행복: 행복전문가 6인이 밝히는 행복심리학. (이경아 역)", 서울: 예담 (원서 2005 발행), 2006
    • 183 김선애, 한유진, "아버지의 양육수행,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지식이 부모효 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55-64, 2009
    • 184 안미숙, "직장인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관계에 관한 자아탄력성 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185 Rogers , S. J . & White , L. K, "Satisfaction with Parenting : The Role of Marital Happiness , Family Structure , and Parents ’ Gender", 60 , 293-308, 1998
    • 186 양순미, "가족 건강성, 자아존중감, 부부문제가 농촌부부의 결 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8(3), 31-49, 2003
    • 187 고희선, "부모-유아 의사소통 및 형제 변인에 따른 유아의 또래 간 갈등 해결의 질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188 김정미, 이성현, "유아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부모의사소통유형 과 자녀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321-340, 2012
    • 189 김미정, "아버지 심리특성 및 부부특성, 양육특성과 유아 사회성발달 간 의 구조적 관계",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190 송순옥, 최미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조직능력 및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1), 313-332, 2014
    • 191 Coleman , P. K , & Karraker , K. H., "Maternal self-efficacy beliefs , competence in parenting and toddlers ' behavior and developmental status", 24 , 126-148 ., 2003
    • 192 이영자, 장영애, "어머니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0(3), 357-373, 2012
    • 193 고아란, "기혼여성의 자아탄력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공평성인 지의 조절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194 김정효, "부모의사소통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 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195 한영숙,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양육태도 및 유아의 사회ㆍ정서적 발 달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196 어성연, 이해진, "직장어린이집 이용만족도와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4), 329-351, 2018
    • 197 Feist , G. J. , Bodner , T. E. , Jacobs , J. F. , Miles , M. , & Tan , V. (, "Integrating top-down and bottom-up structural model so subjective well-being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68 , 138-150 ., 1995
    • 198 이지현, 장석경,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73-89, 2008
    • 199 고혜진,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관계에 미치는 자아탄력성의 중재효 과 및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200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 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201 박혜영, "유아교사의 자아 탄력성과 소진의 관계: 교사 효능감과 사 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 202 민동일, "청소년의 가정건강성, 학교생활건강성 및 자아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 203 백경인, "맞벌이 가정의 아버지 양육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 육행동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204 양예진, "부부갈등, 부모공동양육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효능 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205 김현옥,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206 김은희, 황희숙, 주희진,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학업 적 자기효능감 및 성공지능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2), 409-430, 2012
    • 207 김민정, 유효인, "아버지의 행복감이 아버지-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 향: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44-65, 2020
    • 208 박영심, 송화진,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및 양육태도가 만 3 세 유아의 교 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8(3), 59-80, 2019
    • 209 서소정, 하지영, "영아의 기질과 발달수준 및 어머니의 양육 특성변인이 양 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1(2), 151-168, 2010
    • 210 김선경,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초등학생의 사 회성 발달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211 문혁준, 한누리, "유아의 문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가정환경이 유아의 학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9(3), 25-49, 2014
    • 212 Azmoude , E. , Jaafarnejad , F. , & Mazloum , S., "Effect of self-efficacy-based training on maternal sense of competency of primiparous women in the infants care", 4 ( 3 ) , 7-14 ., 2014
    • 213 신은정, "경력에 따른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자기결정성이 유아교사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 214 윤해옥, 최효식, "부모의 부부갈등, 결혼만족도, 유아 발달 간 관계에 대 한 종단연구: APIM 모형의 적용", 유아교육연구, 36(3), 358-379, 2016
    • 215 권인옥, 안효진, "영아를 둔 아버지들의 부모효능감, 놀이 신념, 그리고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구", 열린부모교육연구, 7(4), 165-183, 2015
    • 216 기쁘다,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자녀가치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2(4), 31-52, 2018
    • 217 서정화, "기혼여성의 가족건강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 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218 김영민, 임영식, "민주적 양육방식, 자아탄력성 및 휴대전화의존과 자기주 도학습능력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3(2), 273-299, 2012
    • 219 박성연, 임미리, "취업모의 직업관련 특성, 탁아기관의 질 및 심리적 안녕 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연구, 20(2), 57-68, 2002
    • 220 우수경, 황순영, 정영숙,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역할만족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21-529, 2005
    • 221 홍혜정,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의 문제행동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 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222 김영철, 양진희, "유아부모의 가족 상호작용,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7(3), 81-106, 2016
    • 223 신수정,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전 사춘기 자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224 박지혜, "이하나, 박현주, 이기학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행복감이 스트 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2005(1), 474-475, 2005
    • 225 김영희, 이경희, 신성일, "어머니의 성격특성과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 및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1), 125-152, 2012
    • 226 심숙영, 윤연희,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아의 정서지능간의 관계: 어머니의 양육행동 매개효과 분석", 영유아보육교육연구, 1(1), 47-66, 2017
    • 227 김지혜, 진미경,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 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 구), 18(4), 285-305, 2015
    • 228 최형성,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 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229 권영인, 이숙현,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1(1), 1-28, 2009
    • 230 최선화, 김상림,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양육참여가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6(2), 33-40, 2020
    • 231 최영임, "부모의 의사소통이 자녀의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중학생 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232 서수경, 홍순옥, "발달장애유아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모-자녀 간 의 사소통 및 양육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인문사회21, 8(6), 1209-1224, 2017
    • 233 김종한, "사회적지원, 부부갈등,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 영아기 어머 니의 양육행동간 경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3(9), 3924-3933, 2012
    • 234 이영진, 장은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가족 상호작용, 결혼 만족도, 부부 갈등과 아버지 행복감의 관계", 열린부모교육학회, 10(3), 101-122, 2018
    • 235 이근욱,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양상이 고등학생의 자아존 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236 나종혜, "자녀의 발달단계에 맞는 새로운 부모역할 제안: 변화하는 부모 역할개념과 수행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411-421, 2005
    • 237 안연경, 오영순,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들의 자아존중감 및 어머니-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1), 75-98, 2013
    • 238 권희경,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참여도 및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 아의 사회적유능감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21(1), 83-104, 2017
    • 239 신경민, 최정아, "원부 원모애착이 자녀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개방 적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2(1), 827-842, 2021
    • 240 연은모, 최효식, "유아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효능감, 행복감과 자녀의 사 회적 유능감 간 관계: 자기-상대방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4), 197-216, 2017
    • 241 서은주, 안영혜, "영유아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양육스트레스의 관 계에서 결혼만족도의 매개 및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 633-649, 2017
    • 242 김용미, 김정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 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4, 269-287, 2008
    • 243 김용미, 김정주,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사회, 심리적 특성과 아동기 경험이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0(1), 113-129, 2011
    • 244 고민숙, "자아탄력성, 의사결정 유형 및 성패귀인 유형과의 관계 : 애착유형과 생활 스트레스를 포함하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245 양희택, 현인순, "장애자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양육스트 레스가 양육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9(4), 643-652, 2019
    • 246 Olson, D. H., Sprenkle, D. H. & Russell, C. S.,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s", 18 ( 1 ) , 3-28 ., 1979
    • 247 류성진, "부모와 자녀 간의 의사소통 행위가 자녀의 감정조절능력 및 인 지적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3(5), 5-30, 2009
    • 248 서영숙, 서지영, "유아교사의 조직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 인 연구-프로그램의 질과 직무환경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 9(2), 115-136, 2002
    • 249 함혜란, "입양가정의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버지의 역할수행이 어머 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250 박정윤, 장영은, 송경석, "아버지가 지각한 공동양육태도 및 아버지의 양 육참여와 초등학생 자녀의 가사참여의 구조적 관계", 가정과삶의질연 구, 35(2), 31-45, 2017
    • 251 오영주,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우울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 252 Scheel , M. J. , & Rieckman , Y ., "An empirically derived description of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for parents of children identified as psychologically disordered", 26 , 15-27 ., 1998
    • 253 오미연,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연구: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254 배희분, 옥선화, "양경선 가족식사 빈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 는 영향: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0(4), 125-149, 2013
    • 255 김소영,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중다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 256 Baron , R. M. , & Kenny , D . A, "The moderator ?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 strategic ,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 257 도미향, 조경희,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유아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양육효능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1(4), 725-744, 2016
    • 258 송미라, 한기백, "과학고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 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4), 93-111, 2015
    • 259 고선, 조수인, "어머니의 가족 기능성과 온정적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행 복감과 유아의 사회적유능감의 직렬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21(2), 15-27, 2021
    • 260 성지현, 윤서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역할", 아동학회지, 35(4), 199-222, 2014
    • 261 이소현,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 262 김리진, 황현주,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부모애착과 영아에 대한 아버지 애착의 관계: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유아교육학논집, 18(4), 55-73, 2014
    • 263 도경민, 이희영,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20(4), 219-242, 2019
    • 264 유계숙, 최유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존중감, 친구간 갈등해결전략이 교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지, 25(3), 59-75, 2007
    • 265 고남희, "교류분석 활용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의사 소통, 부모효능감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9
    • 266 김근혜, 김혜순, "만 5 세 자녀를 둔 부모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 회, 22(4), 111-129, 2013
    • 267 김미나, 이소은, "보육서비스 만족도, 사회적 지원이 한 자녀 어머니의 후 속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2(3), 25-43, 2017
    • 268 김진경, "부모기 전이에 남편의 양육참여와 부인의 결혼만족도간 관계- 자기효능감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복지연구, 2(1), 1-17, 2014
    • 269 문혁준, 정현정,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 회지, 7, 21-42, 2011
    • 270 하쾌남, "유아기 맞벌이 부부의 일 가족균형, 회복탄력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울산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6
    • 271 문혁준, 안설하, "아버지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 회지, 30(4), 89-103, 2012
    • 272 김숙령, 최항준, 정경화, "이윤이 영아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사회 정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 교육학논집, 16(1), 551-575, 2012
    • 273 Merrifield , K. A. , & Gamble , W. C., "Associations among marital qualities , supportive and undermining coparenting , and parenting self-efficacy : Testing spillover and stress processes", 34 , 510-533 ., 2012
    • 274 서영민, "부 양육참여와 모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 미치는 모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275 이근애, 전효정,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역할 과부하가 양육스 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공허함과 진정성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3-204, 2019
    • 276 김민정, 차기주, "정미라 영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발달 간의 관 계: 어머니의 부모 역할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 육학, 99, 111-138, 2016
    • 277 서수진,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 는 영향: 아버지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278 백지희, 이지영, 성지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유아교사 간 의사소통 태도와 빈도의 매개효과", 아동 학회지, 39(3), 33-44, 2018
    • 279 서석원, 이대균,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심리적 특성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 교원교육학회, 18(2), 135-158, 2014
    • 280 권혜진, "영유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아버지 역할만족도와 역할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자녀와의 친밀감의 매개효과 탐색", 한국보육학회지, 10(4), 87-106, 2010
    • 281 김종훈, "이미나, 정미라 어머니의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부부갈등과 양육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생태유아교 육학회, 16(2), 81-101, 2017
    • 282 한현주,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 조절효과 및 의사소통 매개효과 연구: 초등학생 학부모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 283 오성은, 허수연, "남편의 자녀양육 참여율이 남편과 아내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맞벌이 부부의 고용형태 차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 국가족사회복지학회, 68(1), 35-61, 2021
    • 284 강수경, 김해미, "정미라 아버지가 인식한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양육과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유 아교육연구, 39(4), 175-194, 2019
    • 285 민하영, "저소득층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성인애착의 영향 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중산층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한국보 육지원학회지, 7(3), 1-20, 2011
    • 286 Seligman, M. E., "마틴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Authentic- 98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김인자, 우문식(번역)", 경기도 안산: 물 푸레 (원전은 2002에 출판), 2014
    • 287 최미정, "어머니와 함께하는 감각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어머니-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 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 맵

          • 공동연구자 (0)

            • 유사연구자 (0) 활용도상위20명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

              내보내기 형태를 선택하세요

              서지정보의 형식을 선택하세요

              참고문헌양식 참고문헌양식안내

              내책장담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동일자료를 같은 책장에 담을 경우 담은 시점만 최신으로 수정됩니다.

              새책장 만들기

              닫기

              필수표가 있는 항목은 반드시 기재해 주셔야 합니다.

              • 책장설명은 [내 책장/책장목록]에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책장카테고리 설정은 최소1개 ~ 최대3개까지 가능합니다.

              관심분야 검색

              닫기

              트리 또는 검색을 통해 관심분야를 선택 하신 후 등록 버튼을 클릭 하십시오.

                관심분야 검색 결과
                대분류 중분류 관심분야명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선택된 분야 (선택분야는 최소 하나 이상 선택 하셔야 합니다.)

                소장기관 정보

                닫기

                문헌복사 및 대출서비스 정책은 제공도서관 규정에 따라 상이할수 있음

                권호소장정보

                닫기

                  오류접수

                  닫기
                  오류접수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 개인정보 노출 방지를 위해 민감한 개인정보 내용은 가급적 기재를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담을 위해 불가피하게 개인정보를 기재하셔야 한다면, 가능한 최소한의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보내기]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오류 접수 확인

                    닫기
                    오류 접수 확인
                    • 고객님, 오류접수가 정상적으로 신청 되었습니다.

                      문의하신 내용은 3시간 이내에 메일로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고객센터 운영시간(평일 09:00 ~ 18:00) 이외에는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로그인 후, 문의하신 내용은 나의상담내역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접수 정보]

                    음성서비스 신청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 논문 정보 ]

                      [ 신청자 정보 ]

                      •   -     -  
                      • 작성하신 내용을 완료하시려면 [신청] 버튼을, 수정하시려면 [수정]버튼을 눌러주세요.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
                      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 서비스 신청이 완료되었습니다.

                        신청하신 내역에 대한 처리 완료 시 메일로 별도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성서비스 신청 증가 등의 이유로 처리가 다소 지연될 수 있으니, 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합니다.

                      [신청 정보]

                      41061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1119) KERIS빌딩

                      고객센터 (평일: 09:00 ~ 18:00)1599-3122

                      Copyright© KERIS.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 바로가기

                      이용약관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1. 제 1 장 총칙

                        1. 제 1 조 (목적)

                          • 이 약관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하 "교육정보원"라 함)이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의 웹사이트(이하 "서비스" 라함)의 이용에 관한 조건 및 절차와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2. 제 2 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① 이 약관은 서비스 메뉴에 게시하여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합리적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약관을 변경한 경우에는 지체없이 "공지사항"을 통해 공시합니다.
                          3. ③ 이용자는 변경된 약관사항에 동의하지 않으면, 언제나 서비스 이용을 중단하고 이용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3. 제 3 조 (약관외 준칙)

                          •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계 법령에 규정 되어있을 경우 그 규정에 따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인 관례에 따릅니다.
                        4. 제 4 조 (용어의 정의)

                          이 약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① 이용자 : 교육정보원과 이용계약을 체결한 자
                          2. ② 이용자번호(ID) : 이용자 식별과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이용계약 체결시 이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교육정보원이 부여하는 문자와 숫자의 조합
                          3. ③ 비밀번호 : 이용자 자신의 비밀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용자 자신이 설정한 문자와 숫자의 조합
                          4. ④ 단말기 : 서비스 제공을 받기 위해 이용자가 설치한 개인용 컴퓨터 및 모뎀 등의 기기
                          5. ⑤ 서비스 이용 : 이용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원의 주전산기에 접속하여 교육정보원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하는 것
                          6. ⑥ 이용계약 :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이 약관으로 교육정보원과 이용자간의 체결하는 계약을 말함
                          7. ⑦ 마일리지 : RISS 서비스 중 마일리지 적립 가능한 서비스를 이용한 이용자에게 지급되며, RISS가 제공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를 구입하는 데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포인트
                      2. 제 2 장 서비스 이용 계약

                        1.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1. ① 이용계약은 이용자의 이용신청에 대한 교육정보원의 이용 승낙에 의하여 성립됩니다.
                          2. ② 제 1항의 규정에 의해 이용자가 이용 신청을 할 때에는 교육정보원이 이용자 관리시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전자적방식(교육정보원의 컴퓨터 등 정보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나 서면으로 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계약은 이용자번호 단위로 체결하며, 체결단위는 1 이용자번호 이상이어야 합니다.
                          4. ④ 서비스의 대량이용 등 특별한 서비스 이용에 관한 계약은 별도의 계약으로 합니다.
                        2. 제 6 조 (이용신청)

                          1. 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자는 교육정보원이 지정한 양식에 따라 온라인신청을 이용하여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2. ② 이용신청자가 14세 미만인자일 경우에는 친권자(부모, 법정대리인 등)의 동의를 얻어 이용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3. 제 7 조 (이용계약 승낙의 유보)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계약의 승낙을 유보할 수 있습니다.
                            1. 1. 설비에 여유가 없는 경우
                            2. 2. 기술상에 지장이 있는 경우
                            3. 3. 이용계약을 신청한 사람이 14세 미만인 자로 친권자의 동의를 득하지 않았을 경우
                            4. 4. 기타 교육정보원이 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 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②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 신청에 대하여는 이를 거절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이용신청을 하였을 때
                            2. 2.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였을 때
                        4. 제 8 조 (계약사항의 변경)

                          이용자는 다음 사항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서비스에 접속하여 서비스 내의 기능을 이용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① 성명 및 생년월일, 신분, 이메일
                          2. ② 비밀번호
                          3. ③ 자료신청 / 기관회원서비스 권한설정을 위한 이용자정보
                          4. ④ 전화번호 등 개인 연락처
                          5. ⑤ 기타 교육정보원이 인정하는 경미한 사항
                      3. 제 3 장 서비스의 이용

                        1. 제 9 조 (서비스 이용시간)

                          • 서비스의 이용 시간은 교육정보원의 업무 및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00:00-24:00)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정기점검등의 필요로 교육정보원이 정한 날이나 시간은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 10 조 (이용자번호 등)

                          1. ① 이용자번호 및 비밀번호에 대한 모든 관리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② 명백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용자가 이용자번호를 공유, 양도 또는 변경할 수 없습니다.
                          3. ③ 이용자에게 부여된 이용자번호에 의하여 발생되는 서비스 이용상의 과실 또는 제3자에 의한 부정사용 등에 대한 모든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3. 제 11 조 (서비스 이용의 제한 및 이용계약의 해지)

                          1. ① 이용자가 서비스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온라인으로 교육정보원에 해지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사전통지 없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의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타인의 이용자번호를 사용한 경우
                            2. 2. 다량의 정보를 전송하여 서비스의 안정적 운영을 방해하는 경우
                            3. 3. 수신자의 의사에 반하는 광고성 정보,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경우
                            4. 4. 정보통신설비의 오작동이나 정보 등의 파괴를 유발하는 컴퓨터 바이러스 프로그램등을 유포하는 경우
                            5. 5. 정보통신윤리위원회로부터의 이용제한 요구 대상인 경우
                            6. 6.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상의 불법선거운동을 하는 경우
                            7. 7.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동의 없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8. 8. 비실명 이용자번호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9. 9. 일정기간 이상 서비스에 로그인하지 않거나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은 경우
                          3. ③ 전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자의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와 제한의 종류 및 기간 등 구체적인 기준은 교육정보원의 공지, 서비스 이용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에서 별도로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4. ④ 해지 처리된 이용자의 정보는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체 없이 파기합니다.
                          5. ⑤ 해지 처리된 이용자번호의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합니다.
                        4. 제 12 조 (이용자 게시물의 삭제 및 서비스 이용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한 내용물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용 설비의 용량에 여유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부분적으로 제한할 수 있습니다.
                          3. ③ 제 1 항 및 제 2 항의 경우에는 당해 사항을 사전에 온라인을 통해서 공지합니다.
                          4. ④ 교육정보원은 이용자가 게재 또는 등록하는 서비스내의 내용물이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용자에게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1.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2.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유포하는 경우
                            3. 3.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4. 4.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5. 5. 게시 기간이 규정된 기간을 초과한 경우
                            6. 6. 이용자의 조작 미숙이나 광고목적으로 동일한 내용의 게시물을 10회 이상 반복하여 등록하였을 경우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5. 제 13 조 (서비스 제공의 중지 및 제한)

                          1. ① 교육정보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1.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또는 공사로 인한 부득이한 경우
                            2. 2. 전기통신사업법에 규정된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 서비스를 중지했을 때
                          2. ② 교육정보원은 국가비상사태, 서비스 설비의 장애 또는 서비스 이용의 폭주 등으로 서비스 이용에 지장이 있는 때에는 서비스 제공을 중지하거나 제한할 수 있습니다.
                        6. 제 14 조 (교육정보원의 의무)

                          1. ① 교육정보원은 교육정보원에 설치된 서비스용 설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서비스용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또는 그 설비가 못쓰게 된 경우 그 설비를 수리하거나 복구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서비스 내용의 변경 또는 추가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항을 온라인을 통해 서비스 화면에 공지합니다.
                        7. 제 15 조 (개인정보보호)

                          1. ① 교육정보원은 공공기관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이용촉진등에 관한 법률 등 관계법령에 따라 이용신청시 제공받는 이용자의 개인정보 및 서비스 이용중 생성되는 개인정보를 보호하여야 합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관리책임자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관리담당 부서장(학술정보본부)이며, 주소 및 연락처는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로 64(동내동 1119) KERIS빌딩, 전화번호 054-714-0114번, 전자메일 privacy@keris.or.kr 입니다. 개인정보 관리책임자의 성명은 별도로 공지하거나 서비스 안내에 게시합니다.
                          3. ③ 교육정보원은 개인정보를 이용고객의 별도의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경우는 이용고객의 별도 동의 없이 제3자에게 이용 고객의 개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1. 1. 수사상의 목적에 따른 수사기관의 서면 요구가 있는 경우에 수사협조의 목적으로 국가 수사 기관에 성명, 주소 등 신상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2. 2.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전기통신관련법률 등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
                            3. 3. 통계작성, 학술연구 또는 시장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로서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4. ④ 이용자는 언제나 자신의 개인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스스로 오류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열람 및 수정은 원칙적으로 이용신청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며, 자세한 방법은 공지, 이용안내에 정한 바에 따릅니다.
                          5. ⑤ 이용자는 언제나 이용계약을 해지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목적 외 사용에 대한 별도 동의, 제3자 제공에 대한 별도 동의를 철회할 수 있습니다. 해지의 방법은 이 약관에서 별도로 규정한 바에 따릅니다.
                        8. 제 16 조 (이용자의 의무)

                          1. ①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할 때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1. 1. 다른 이용자의 이용자번호를 부정하게 사용하는 행위
                            2. 2.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교육정보원의 사전승낙없이 이용자의 이용이외의 목적으로 복제하거나 이를 출판, 방송 등에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
                            3. 3.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를 손상하는 행위
                            4. 4.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배되는 내용의 정보, 문장, 도형 등을 타인에게 유포하는 행위
                            5. 5. 반국가적, 반사회적, 범죄적 행위와 결부된다고 판단되는 행위
                            6. 6. 다른 이용자 또는 제3자의 저작권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
                            7. 7. 기타 관계 법령에 위배되는 행위
                          2. ② 이용자는 이 약관에서 규정하는 사항과 서비스 이용안내 또는 주의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3. ③ 이용자가 설치하는 단말기 등은 전기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서비스에 장애를 주지 않아야 합니다.
                        9. 제 17 조 (광고의 게재)

                          교육정보원은 서비스의 운용과 관련하여 서비스화면, 홈페이지, 전자우편 등에 광고 등을 게재할 수 있습니다.
                      4. 제 4 장 서비스 이용 요금

                        1. 제 18 조 (이용요금)

                          1. ① 서비스 이용료는 기본적으로 무료로 합니다. 단, 민간업체와의 협약에 의해 RISS를 통해 서비스 되는 콘텐츠의 경우 각 민간 업체의 요금 정책에 따라 유료로 서비스 합니다.
                          2. ② 그 외 교육정보원의 정책에 따라 이용 요금 정책이 변경될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서비스 화면에 게시합니다.
                      5. 제 5 장 마일리지 정책

                        1. 제 19 조 (마일리지 정책의 변경)

                          1. ① RISS 마일리지는 2017년 1월부로 모두 소멸되었습니다.
                          2. ② 교육정보원은 마일리지 적립ㆍ사용ㆍ소멸 등 정책의 변경에 대해 온라인상에 공지해야하며, 최근에 온라인에 등재된 내용이 이전의 모든 규정과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6. 제 6 장 저작권

                        1. 제 20 조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에 대한 권리는 다음 각 호와 같습니다.
                          1. ① 게시물에 대한 권리와 책임은 게시자에게 있으며, 교육정보원은 게시자의 동의 없이는 이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② 게시자의 사전 동의가 없이는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가공, 판매하는 행위 등 서비스에 게재된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7. 제 7 장 이의 신청 및 손해배상 청구 금지

                        1. 제 21 조 (이의신청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이의 신청 및 민원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2. 제 22 조 (손해배상청구금지)

                          이용자는 교육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발생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기간 동안은 교육정보원 및 관계 기관에 손해배상 청구를 할 수 없으며 교육정보원은 이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아니합니다.
                      8. 부칙

                        이 약관은 2000년 6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9. 부칙(개정 2005. 5. 31)

                        이 약관은 2005년 5월 31일부터 시행합니다.
                      10. 부칙(개정 2010. 1. 1)

                        이 약관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1. 부칙(개정 2010. 4 1)

                        이 약관은 2010년 4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12. 부칙(개정 2017. 1 1)

                        이 약관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합니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개인정보처리방침

                      Ver 8.6 (2023년 1월 31일 ~ )

                      닫기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처리목적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
                      RISS는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처리합니다. 처리하고 있는 개인정보는 다음의 목적 이외의 용도로는 이용되지 않으며, 이용 목적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18조에 따라 별도의 동의를 받는 등 필요한 조치를 이행할 예정입니다.
                      가. 서비스 제공
                           - 콘텐츠 제공, 문헌배송 및 결제, 요금정산 등 서비스 제공
                      나. 회원관리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본인확인,
                           - 만14세 미만 아동 개인 정보 수집 시 법정 대리인 동의여부 확인, 추후 법정 대리인 본인확인
                           - 분쟁 조정을 위한 기록보존, 불만처리 등을 위한 원활한 의사소통 경로의 확보, 공지사항 전달
                      다. 서비스 개선
                           - 신규 서비스 개발 및 특화
                           -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광고 게재, 이벤트 등 정보 전달 및 참여 기회 제공
                           -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보유 기간제2조(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유 기간)
                      가. 처리기간 및 보유 기간: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
                      나. 다만, 다음의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유 종료시 까지 정보를 보유 및 열람합니다.
                           ▶ 신청 중인 서비스가 완료 되지 않은 경우
                                - 보존 이유 : 진행 중인 서비스 완료(예:원문복사 등)
                                - 보존 기간 : 서비스 완료 시까지
                                - 열람 예정 시기 : 수시(RISS에서 신청된 서비스의 처리내역 및 진행상태 확인 요청 시)
                           ▶ 관련법령에 의한 정보보유 사유 및 기간
                                - 대금결제 및 재화 등의 공급에 관한 기록 :

                      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소비자의 불만 또는 분쟁 처리에 관한 기록 :

                      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제 6조 및 시행령 제 6조)
                                - 접속에 관한 기록 :

                      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처리 항목제3조(처리하는 개인정보의 항목)
                      가. 필수 항목 : ID, 이름,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보호자 성명(어린이회원), 보호자 이메일(어린이회원)
                      나: 선택 항목 : 소속기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전화, 주소, 장애인 여부
                      다. 자동수집항목 : IP주소, ID, 서비스 이용기록, 방문기록
                      개인 정보제4조(개인정보파일 등록 현황)
                      개인정보파일의 명칭 운영근거 / 처리목적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보유기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필수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3년
                      또는
                      탈퇴시
                      선택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제3자 제공제5조(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
                      가. RISS는 원칙적으로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제1조(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에서 명시한 범위 내에서
                           처리하며,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 없이는 본래의 범위를 초과하여 처리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단, 정보주체의 동의, 법률의 특별한 규정 등 개인정보 보호법 제17조 및 제1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합니다.
                      나. RISS는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음의 경우 정보주체의 동의를 얻어 필요 최소한의 범위로만
                           제공합니다.
                           - 복사/대출 배송 서비스를 위해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제공합니다.
                                1. 개인정보 제공 대상 : 제공도서관, ㈜이니시스(선불결제 시)
                                2. 개인정보 제공 목적 : 복사/대출 서비스 제공
                                3. 개인정보 제공 항목 :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4.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신청건 발생일 후 5년
                      ▶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하지 않을 권리가 있으며, 거부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이 불가합니다.
                      처리 위탁제6조(개인정보 처리업무의 위탁)
                      RISS는 원활한 개인정보 업무처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업무를 위탁하고 있습니다.
                      가. 위탁하는 업무 내용 : 회원 개인정보 처리
                      나. 수탁업체명 : ㈜퓨쳐누리
                      RISS는 위탁계약 체결 시 「개인정보 보호법」 제26조에 따라 위탁업무 수행 목적 외 개인정보 처리금지, 안전성 확보조치, 재위탁 제한, 수탁자에 대한 관리·감독, 손해배상 등 책임에 관한 사항을 계약서 등 문서에 명시하고, 수탁자가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를 감독하고 있습니다.
                      위탁업무의 내용이나 수탁자가 변경될 경우에는 지체 없이 본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통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파기제7조(개인정보의 파기 절차 및 방법)
                      가. 파기절차
                           - 개인정보의 파기 : 보유기간이 경과한 개인정보는 종료일로부터 지체 없이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파기 : 개인정보파일의 처리 목적 달성, 해당 서비스의 폐지, 사업의 종료 등 그
                            개인정보파일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는 개인정보의 처리가 불필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날로부터
                            지체 없이 그 개인정보파일을 파기.
                      나. 파기방법
                           - 전자적 형태의 정보는 기록을 재생할 수 없는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파기.
                           - 종이에 출력된 개인정보는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소각을 통하여 파기.
                      정보주체의 권리의무제8조(정보주체와 법정대리인의 권리·의무 및 그 행사 방법)
                      정보주체(만 14세 미만인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을 말함)는 개인정보주체로서 다음과 같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가. 권리 행사 항목 및 방법
                           - 권리 행사 항목: 개인정보 열람 요구, 오류 정정 요구, 삭제 요구, 처리정지 요구
                           - 권리 행사 방법: 개인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고시 별지 제8호(대리인의 경우 제11호) 서식에 따라
                            작성 후 서면, 전자우편, 모사전송(FAX), 전화, 인터넷(홈페이지 고객센터) 제출
                      나. 개인정보 열람 및 처리정지 요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5조 제5항,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보주체의 권리가 제한 될 수 있음
                      다. 개인정보의 정정 및 삭제 요구는 다른 법령에서 그 개인정보가 수집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삭제를 요구할 수 없음
                      라. RISS는 정보주체 권리에 따른 열람의 요구, 정정·삭제의 요구, 처리정지의 요구 시
                            열람 등 요구를 한 자가 본인이거나 정당한 대리인인지를 확인함.
                      마. 정보주체의 권리행사 요구 거절 시 불복을 위한 이의제기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해당 부서에서 열람 등 요구에 대한 연기 또는 거절 시 요구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정당한 사유
                              및 이의제기 방법 등을 통지
                           2) 해당 부서에서 정보주체의 이의제기 신청 및 접수(서면, 유선, 이메일 등)하여 개인정보보호 담당자가
                              내용 확인
                           3) 개인정보관리책임자가 처리결과에 대한 최종 검토
                           4) 해당부서에서 정보주체에게 처리결과 통보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1호] 개인정보 (열람, 정정·삭제, 처리정지) 요구서
                      *. [교육부 개인정보 보호지침 별지 제2호] 위임장
                      안전성확보조치제9조(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가. 내부관리계획의 수립 및 시행 : RISS의 내부관리계획 수립 및 시행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시행.
                      나. 개인정보 취급 담당자의 최소화 및 교육
                           - 개인정보를 취급하는 분야별 담당자를 지정․운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내부 관리 지침에 따른 교육 실시
                      다.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 제한
                           -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의 부여, 변경, 말소를 통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통제 실시
                           - 침입차단시스템, ID/패스워드 및 공인인증서 확인을 통한 접근 통제 등 보안시스템 운영
                      라. 접속기록의 보관 및 위변조 방지
                           - 개인정보처리시스템에 접속한 기록(웹 로그, 요약정보 등)을 2년 이상 보관, 관리
                           - 접속 기록이 위변조 및 도난, 분실되지 않도록 보안기능을 사용
                      마. 개인정보의 암호화 :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암호화 되어 저장 및 관리
                      바. 해킹 등에 대비한 기술적 대책
                           -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주기적인 갱신·점검 실시
                           - 외부로부터 접근이 통제된 구역에 시스템을 설치하고 기술적/물리적으로 감시 및 차단
                      사. 비인가자에 대한 출입 통제
                           - 개인정보를 보관하고 있는 개인정보시스템의 물리적 보관 장소를 별도 설치․운영
                           - 물리적 보관장소에 대한 출입통제, CCTV 설치․운영 절차를 수립, 운영
                      자동화 수집제10조(개인정보 자동 수집 장치의 설치·운영 및 거부)
                      가. 정보주체의 이용정보를 저장하고 수시로 불러오는 ‘쿠키(cookie)’를 사용합니다.
                      나. 쿠키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이용되는 서버(http)가 이용자의 컴퓨터브라우저에게 보내는 소량의
                           정보이며 이동자들의 PC 컴퓨터내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되기도 합니다.
                           1) 쿠키의 사용목적 :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쿠키의 설치·운영 및 거부 : 브라우저 옵션 설정을 통해 쿠키 허용, 쿠키 차단 등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 Internet Explorer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도구 메뉴 > 인터넷 옵션 > 개인정보 > 설정 > 고급
                                - Edg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쿠키 및 사이트 데이터
                                   관리 및 삭제
                                - Chrome : 웹브라우저 우측 상단의 설정 메뉴 >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 쿠키 및 기타 사이트
                                   데이터
                           3) 쿠키 저장을 거부 또는 차단할 경우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제11조(개인정보 보호책임자)
                      가. RISS는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업무를 총괄해서 책임지고,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정보주체의
                           불만처리 및 피해구제 등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 보호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습니다.
                      구분 담당자 연락처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학술진흥부 길원진

                      나. 정보주체는 RISS의 서비스(또는 사업)을 이용하시면서 발생한 모든 개인정보 보호 관련 문의, 불만처리,
                           피해구제 등에 관한 사항을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및 담당부서로 문의 할 수 있습니다.
                           RISS는 정보주체의 문의에 대해 답변 및 처리해드릴 것입니다.
                      열람 청구제12조(개인정보의 열람청구를 접수·처리하는 부서)
                      가. 자체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부서명 : 대학학술본부/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전화번호 : 053-714-0149
                           팩스번호 : 053-714-0194
                      나. 개인정보 열람청구 접수ㆍ처리 창구
                           - 개인정보보호 포털 웹사이트(www.privacy.go.kr)
                           - 개인정보보호 포털 → 민원마당 → 개인정보 열람 등 요구(본인확인을 위한
                             휴대전화·아이핀(I-PIN) 등이 있어야 함)
                      권익침해 구제제13조(정보주체의 권익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 정보주체는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구제를 받기 위하여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등에 분쟁해결이나 상담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기타 개인정보
                         침해의 신고, 상담에 대하여는 아래의 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개인정보분쟁조정위원회 : (국번없이) 1833-6972(www.kopico.go.kr)
                         나.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 : (국번없이) 118(privacy.kisa.or.kr)
                         다. 대검찰청 : (국번없이) 1301 (www.spo.go.kr)
                         라. 경찰청 : (국번없이) 182 (ecrm.cyber.go.kr)

                      ‣RISS는 정보주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장하고, 개인정보침해로 인한 상담 및 피해 구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신고나 상담이 필요한 경우 아래의 담당부서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관련 고객 상담 및 신고
                            부서명 : 학술진흥부
                            담당자 : 길원진
                            연락처 : ☎053-714-0149 / (Mail) giltizen@keris.or.kr / (Fax) 053-714-0194
                      ‣「개인정보 보호법」제35조(개인정보의 열람), 제36조(개인정보의 정정·삭제), 제37조(개인정보의
                         처리정지 등)의 규정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공공기관의 장이 행한 처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권리
                         또는 이익의 침해를 받은 자는 행정심판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행정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행정심판에 대해 자세한 사항은 중앙행정심판위원회(www.simpan.go.kr) 홈페이지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처리방침 변경제14조(추가적인 이용ㆍ제공 판단기준)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15조제3항 및 제17조제4항에 따라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
                      제14조의2에 따른 사항을 고려하여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RISS는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하는 경우, 본 개인정보처리방침을
                      통해 아래와 같은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을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판단기준을 안내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 · 제공하려는 목적이 당초 수집 목적과 관련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를 수집한 정황 또는 처리 관행에 비추어 볼 때 추가적인 이용 · 제공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
                           ▶ 개인정보의 추가적인 이용 · 제공이 정보주체의 이익을 부당하게 침해하는지 여부
                           ▶ 가명처리 또는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처리방침 변경제15조(개인정보 처리방침의 변경)
                      RISS는 「개인정보 보호법」제30조에 따라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변경하는 경우 정보주체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변경이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이 개인정보처리방침은 2023. 1. 31. 부터 적용됩니다.
                      ‣ 이전의 개인정보처리방침은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

                      인증오류 안내

                      닫기

                      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