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등재
2~4세기 중서부지역 주구토광묘와 마한 중심세력 연구 = A Study on 2nd~4th centuries’ Jugu-Togwangmyo at the Midwest Regions & Central Power at Mahan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18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32-69(38쪽)
KCI 피인용횟수
2
DOI식별코드
제공처
Studies on tombs at the Middle-Western region in the 2nd~4th centuries have been too general or paid attention only to a formal change of burial accessories or the advent of new kinds of goods, excluding a regional characteristic or transition of a tomb.
Hence, this paper conducted chronology of a tomb system at the midwest regions, comparing and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al aspects by step. and set a detailed regional zone and investigated the central power at midwest regions.
Regional zone was set based on a tomb type, natural topography and burial accessories. As a result, midwest regions are divided into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basin zone of Sanbang River, upstream zone of Miho River,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downstream zone of Miho River, basin zone of South Han River, basin zone of Jeongan River and basin zone of Gap River. Considering a scale of ruins, amount of burial accessories, central region and hierarchy of buried goods, it is possible to regard a basin zone of Gokkyo River and a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as the central power of the midwest regions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On the other hand, at the midwest regions, construction of Jugu-Togwangmyo was ceased or decreased. On the contrary, Jugu-Togwangmyo was constructed continually to the phase ? at the basin zone of Gokkyo River so this region is regarded to maintain its power longer than other regions though there were external pressures. However, at the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unlike the basin zone of Gokkyo, a simple Togwangmyo was constructed intensively and new potteries were buried from the phase Ⅲ. It resulted from active acceptance of an external culture by those days' midstream zone of Miho River.
지금까지 2~4세기 중서부지역의 분묘에 관한 연구는 개괄적이거나, 부장품의 형식변화 또는 신기종의 등장에만 주목하였으며, 지역적 분묘의 특징 및 변화과정은 배제되었다. 또한, 동시기 지역 간의분묘 형태나 부장양상의 비교를 통한 지역권 설정과 중심 세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묘제를 편년하여 그 특징과 분포양상을 단계별로 비교·검토하고 세부지역권을 설정하여 중서부지역 중심세력권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서부지역의 분묘는 주구 유무와 목관, 목곽의 형태에 따라 6가지로 구분된다. 여기에 부장품의 동반관계, 주구토광묘의 출현과 소멸, 목곽의 사용, 합장묘의 등장 등을 종합해보면 시기는 세단계로나뉜다. Ⅰ단계는 단순토광묘만 사용되었다. Ⅱ단계에 이르면 주구토광묘가 주로 사용되고, Ⅲ단계가 되면 주구토광묘의 사용이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을 보인다.
지역권 설정은 분묘형태, 자연지형, 부장품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결과 중서부지역은 곡교천유역권, 산방천유역권, 미호천상류권, 미호천중류권, 미호천하류권, 남한강유역권, 정안천유역권, 갑천유역권으로 구분된다. 유적의 규모, 부장품의 양, 지역적인 부장품의 중심지역, 위계 등을 살펴보았을 때 곡교천유역권과 미호천중류권을 원삼국시대 중서부지역의 중심세력으로 볼 수 있었다.
한편 Ⅱ-3단계 이후가 되면 중서부지역에서는 주구토광묘의 축조가 중단 혹은 감소되는데, 그 원인에는 백제의 성장과 더불어, 3세기후반을 기점으로 사료에 마한이 등장하지 않는 것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곡교천유역권에서는 Ⅲ단계까지 지속적으로 주구토광묘가 축조되는데 이를 보아 이 지역은 외부의 압박에도 자신들의 세력을 다른 지역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미호천중류권은 곡교천유역권과 달리 Ⅲ단계부터 단순토광묘가집중적으로 축조되고, 새로운 토기가 부장된다. 이는 당시 미호천중류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외부의 문물을 받아들인 결과이다.
분석정보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KCI등재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KCI등재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KCI등재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KCI등재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KCI후보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KCI후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59 | 0.812 | 0.22 |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