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제재곡의 기보법 연구 = 10학년을 중심으로
저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자료형태
학술저널
수록면
167-188(22쪽)
제공처
2007 개정 교육과정은 특히 국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내용, 방법, 평가 등 교육과정 전반에서 국악교육에 대해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는 방향에 따랐다. 그런데 교과서마다 정간보의 기보 방법에 차이가 있어 교사들뿐만 아니라 학생들 또한 초ㆍ중ㆍ고 교과서마다 다르게 제시되어 있는 악보로 인해 혼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10학년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악 제재곡의 기보법 사용현황을 조사하고, 학습효율성을 위한 다양한 기보법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지도의 문제점과 방안을 제시하여 2011년 3월부터 적용되는 2007 개정 교육 교과서의 편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현행 교과서의 정간보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두산’ 교과서에는 장단보가 한글 구음으로 기보되었고, 정간보 읽는 방법이 설명되었다. 단소 연주에는 시김새를 넣어 연주하는 악곡보가 실려 있다. 정간보의 각 정간에는 구분 표기가 없는 실선이 사용되었고, 악곡보는 세로 정간보이다.
‘현대음악출판사’ 교과서에는 장단보가 많이 실려 있고 음표보와 정간보로 표기한다. 정간보 보는 방법의 설명과 가극장단이 무릎장단보로 기보되어 있고 소리북 연주 방법도 실려 있다. 단소연주하기에서는 꾸밈음과 부호설명이 있다. 장단보는 3정간마다 굵은 실선으로 구분하여 표기하였고, 악곡보는 세로 정간보를 사용하였다.
‘대한교과서’는 단소실기와 소금실기의 연습곡을 실었고, 악곡보는 세로 정간보를 사용했다.
‘도서출판 태성’교과서는 시물놀이의 오선보, 장단보, 구음에 대한 설명이 있고, 가곡 ‘우락’의 악보에 시김새가 표현되어 있으며 악곡보는 세로 정간보를 사용하고 있다.
국악 제재곡 기보법의 실제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1. 오선기보법의 음고, 조표, 박자표, 시김새
2. 정간기보법의 율명, 구음, 음역, 시김새, 가로정간보, 시가
3. 기타 기보법으로 그림악보, 가락선보, 손장단보, 손시김보, 그래프보를 고등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교과서마다 분석 비교하였다.
요즘 현대 음악가들은 우리의 전통음악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한다. 서양 오선보의 평균율화된 선율에 즉흥적인 시김새를 넣어 자연스럽게 솟구치는 한 민족의 혼을 표현하고자 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우리 조상이 물려준 문화유산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은 현실이다. 국악의 전통적인 학습지도방법은 구음을 통한 구전심수와 즉흥연주가 강조되어 왔으나 오선보에 기보함으로써 많은 음악의 차이가 있다. 이에 국악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다양한 기보법의 활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대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국악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오선보로 기보하려면 반드시 음고를 제시하고, 장단의 음표보는 한 배에 따른 장단을 제시한다. 또한 박자표도 서양음악과 달리 한 배에 따른 장단의 박자를 제시하고 시김새에 관한 포괄적 정의 등 기보의 체계가 모색되어야 한다. 정간보를 기보할 때에도 율명, 구음, 음역, 시김새 등 정간보 기보의 체계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민요 가창은 중심음을 노래한 후 시김새를 붙여가고 가락선보를 활용하면, 국악은 지루하고 어렵다는 학생들의 생각을 없애고 재미있는 수업을 할 수 있다.
단소나 소금곡 등 기악곡은 먼저 율명으로 가창한 다음 연주함으로써 국악의 정서를 느낄 수 있다.
사물놀이 오선악보는 혼란스럽지만 시각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악보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시조는 전통적인 손장단을 활용하여 우리식의 신체 표현을 활용 한다. 떠는 소리, 평으로 내는 소리, 꺾는 소리 등은 손시김보를 활용하여 국악답게 교육한다.
마지막으로 7차 개정 교과서는 국악기의 연주방법을 학생 스스로 연습하기 쉽게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여야 하고, 기존의 틀을 벗어난 체계적이고 연계적인 구성이 필요하다.
1. Preface
2007 revised curriculum met the demand that it suggest detailed programs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Gugak education including contents, methods, assessments etc. But the different musical notations which are used in each textbook and the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chools, the middle schools and the high schools give confusion to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By examining the current use of musical notations in Gugak theme music centering around present 10th grade's musical textbooks and the diverse notations for the learning efficiency and suggesting the problems and solutions together in teaching Gugak, I try to help more or less for the publication of 2007 revised musical textbooks applied from march 2011.
2. Application of Jungganbo in current Gugak textbook
In "Doosan" textbook, Jangdanbo is notated in Hangeul oral sound and how to read Junggagbo is explained. The score for Danso contains Sigimsae. In each Junggan of Jungganbo is used the line without devision and the score is vertical Jungganbo.
In "Hyundae Eumak Chulpansa" textbook, we can see many Jangdanbo which are notated in Eumpyobo and Jungganbo. It has how to read Jungganbo and knee Jangdanbo for Gagok Jangdan and how to play Soribuk. The score for Danso has ornament and code explanation. Jangdanbo is devided every 3 Junggan with thick line and the score uses vertical Jungganbo.
"Daehan gyogoasu" music textbook has Danso's and Sokeum's music for practice which use vertical Jungganbo.
"Doseo chulpan Taesung" textbook has the explanations for Osunbo, Jangdanbo and Gueum(oral sound) of Samulnori. In gagok "Urak", Sigimsae is presented and its score uses vertical Jungganbo.
3. Practice of musical notation in Gugak theme music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every music textbook of high schools about
1, pitch, key signature, time, Sigimsae of staff notation
2, Yulmyung, oral sound(gueum), compass, Sigimsae, Garo-jungganbo, Siga of Junggan notation
3, the other notations like picture score, tune sunbo, hand-jangdanbo, hand-sigimbo, and graph note.
4. Conclusion
The traditional teaching of Gugak has emphasized oral tradition and improvisation. But after using the staff notation for it, we had many differences. So the employment of diverse notation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and continuous succession of Gugak. Here I suggest the details for modernized and future oriented education of Gugak.
Staff notating is to necessarily accompanied with pitch and the rhythmic note is to present the rhythm with Hanbae. The structure of notation should be established such as time signature to show the time of rhythm with Hanbae and comprehensive definition of Sigimsae.
And also the Jungganbo notations like Yulmyung, oral sound(gueum), compass and Sigimsae are to be organized.
Students can enjoy the Gugak class without the idea that Gugak is boring and difficult when they sing the key notes of folk song first and use tune sunbo with Sigimsae.
In the instrumental music like Danso's and Sokeum's, to taste the feeling of our traditional music, we'd better play them after singing them in Yulmyung.
Shijo applies our body's expression like traditional hand beat. Trill sound, even sound and break sound are to be taught in Gugak style with hand Sigimbo.
In conclusion, the 7<SUP>th</SUP> revised textbook should provide the concrete methods of playing Gugak instruments, so the students can easily practice for themselves and build systematic and interactive structure breaking the same old way.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