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우수등재
한국 정신장애 당사자 운동의 난점과 전략적 딜레마 = Difficulties and Strategic Dilemmas of the South Korean Mental Disability Movement
저자
강의영 (서강대학교)
발행기관
학술지명
권호사항
발행연도
2024
작성언어
Korean
주제어
등재정보
KCI우수등재
자료형태
학술저널
발행기관 URL
수록면
1-41(41쪽)
제공처
본 논문은 한국 정신장애 당사자 운동이 초기 전개 과정에서 경험한 교차적 난점과 그것의 해소를 위해 펼친 이중전략을 조명한다. 이 운동이 한국의 정신장애인 보편이 경험하는 극심한 사회경제적 어려움 위에서 발생 및 전개되었다는 점을 바탕으로, 활동가 9명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한국 정신장애 당사자 운동이 경험한 구체적 어려움과 해소 전략, 전략의 선택과 정당화 과정을 파악했다. 한국 정신장애 당사자 운동은 활동가들이 안고 있는 정신적 손상 자체만이 아니라 이에 대한 문화적, 경제적 억압구조로 인해 심각한 인적, 물적 자원동원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당사자주의 기반의 급진적인 문화 창출 전략과 함께, 제도권과의 연계를 통해 부족한 자원을 동원하는 전략을 병행하였으며 이는 운동의 발생과 성장을 가능케 했다. 하지만 동시에 연간사업 형식으로 이뤄지는 제도적지원은 지속적인 경쟁과 성과증명, 평가를 수반하였으며 활동 과정에서 급진적 프레임이 사회 보편의프레임으로 수렴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활동가들은 상황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면서도 여전히 이중전략에 정당성을 부여하였는데, 이는 보편적 프레임을 바꾸기 위해 저항하는 것만 아니라 ‘제도권의 요청을 스스로 수행하는 것’ 역시 ‘당사자주의’에 부합하는 것으로 이해됐기 때문이었다. 한국 정신장애 당사자 운동의 이와 같은 전개와 전략인식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억압이 저항의 동기이자 다층적제약으로 작동하는 과정을 실증하며, 정체성과 계층의 교차에 기반한 운동을 지원하거나 경로를 해석할 때 소외집단에 대한 억압과 이들의 생애경험을 깊이 있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This paper illuminates the dual strategy adopted by the South Korean mental disability movement to address the complex challenges it encountered during its early stage. Based on the movement’s progression amidst the severe socio-economic difficult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activists providing insights into the specific challenges, resolution strategies,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justifying these strategies.
The movement faced significant difficulties in mobilizing resources due to cultural and economic oppression surrounding mental disabilities. To counter this, the movement deftly employed radical framing strategies while collaborating with institutions to leverage resources. However, institutional support brought about competition, performance pressure, and evaluation, converging the movement’s radical framing with societal norms.
Activists perceived this convergence negatively but persisted in legimitizing the dual strategy. This legitimacy stemmed from an understanding that autonomously performing institutional requests aligned with the movement's intrinsic “first-personness.” This movement exemplifies social oppression as a motive for resistance and a multilayered constraint.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