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의 전공만족도와 첫 직장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직무일치도와 내재적 직업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Model of College Major Satisfaction and First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Match and Intrinsic Job Value
저자
발행사항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및 고등교육학 전공 2017. 2
발행연도
2017
작성언어
한국어
주제어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ⅳ, 60 p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현석
DOI식별코드
소장기관
본 연구는 대학생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전공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첫 직장으로의 이행을 성공적으로 이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 직장만족도, 전공만족도, 직무일치도, 내재적 직업가치가 어떠한 영향관계를 이루는지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취업 시 직무일치도와 내재적 직업가치의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직무일치도, 내재적 직업가치, 첫 직장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직무일치도, 내재적 직업가치는 전공만족도와 첫 직장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가?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자료를 활용하였다.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자료 중 현재 시점에서 가장 최신의 자료인 2013GOMS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그 중 4년제 대학 졸업자이며 첫 직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 7,25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응답 중 첫 직장만족도를 평가한 12문항을 외적 만족 6문항과 내적 만족 6문항으로 구분하였으며, 다른 변인은 전공만족도 4문항, 직무일치도 3문항, 내재적 직업가치 4문항을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우선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결측치 처리는 완전정보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였다. AMOS 프로그램을 분석에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네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²=1789.9, df=58, TLI=.944, CFI=.958, RMSEA=.064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만족도가 직무일치도와 내재적 직업가치를 매개로 첫 직장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전공만족도, 직무일치도, 내재적 직업가치, 첫 직장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도, 직무일치도, 내재적 직업가치 모두 첫 직장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모든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도와 첫 직장만족도 사이에서 직무일치도와 내재적 직업가치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전체 매개효과 검증 결과 전공만족도가 직무일치도와 내재적 직업가치를 거쳐 첫 직장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로 직접적인 효과와 간접적인 효과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일치도와 내재적 직업가치가 개별적으로도 매개의 효과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별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일치도와 내재적 직업가치는 전공만족도와 첫 직장만족도 사이에서 개별적으로도 매개효과를 수행하고 있었다. 팬텀 변수를 이용한 개별 매개효과 검증 결과, 두 변인이 유사한 효과 크기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Due to the recent continuous unemployment problem among higher education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ole of universities in the situation where employment rate is not improved even after graduation from university.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nd career, by looking at the stages of transition from school to labor markets. The study sets a hypothe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major satisfaction and first job satisfaction. Also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job match and intrinsic job valu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major satisfaction and first job satisfaction.
For the main study, 7,251 4-year university graduates’ data from 2013 Graduates Occupation Mobility Survey(GOMS)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analysis of mediation effects, phantom variables were used for the two mediating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o find out the influence factors of first job satisfac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made for four variables. As a result, every path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college major satisfaction, job match, and intrinsic job value all effect first job satisfaction positively.
Seco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match and intrinsic job value. Total indirect effect analysis shows that both variabl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college major satisfaction and first job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 was partially mediated.
Third, to compare the individual indirect effects of job match and intrinsic job value in the model, phantom variables were used. As a result, job match and intrinsic job value respectively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college major satisfaction and first job satisfaction. In comparison, the parameters showed similar effect size.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서지정보 내보내기(Export)
닫기소장기관 정보
닫기권호소장정보
닫기오류접수
닫기오류 접수 확인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닫기음성서비스 신청 확인
닫기이용약관
닫기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약관 (2017년 1월 1일 ~ 현재 적용)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이하 RISS)는 정보주체의 자유와 권리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계 법령이 정한 바를 준수하여, 적법하게 개인정보를 처리하고 안전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에게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절차 및 기준을 안내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공개합니다.
주요 개인정보 처리 표시(라벨링)
목 차
3년
또는 회원탈퇴시까지5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3년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2년
이상(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개인정보파일의 명칭 | 운영근거 / 처리목적 | 개인정보파일에 기록되는 개인정보의 항목 | 보유기간 | |
---|---|---|---|---|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이용자 가입정보 파일 | 한국교육학술정보원법 | 필수 | ID, 비밀번호, 성명, 생년월일, 신분(직업구분), 이메일, 소속분야, 웹진메일 수신동의 여부 | 3년 또는 탈퇴시 |
선택 | 소속기관명, 소속도서관명, 학과/부서명, 학번/직원번호, 휴대전화, 주소 |
구분 | 담당자 | 연락처 |
---|---|---|
KERI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정보보호본부 김태우 | - 이메일 : lsy@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439 - 팩스번호 : 053-714-0195 |
KERI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개인정보보호부 이상엽 | |
RISS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대학학술본부 장금연 | - 이메일 : giltizen@keris.or.kr - 전화번호 : 053-714-0149 - 팩스번호 : 053-714-0194 |
RISS 개인정보 보호담당자 | 학술진흥부 길원진 |
자동로그아웃 안내
닫기인증오류 안내
닫기귀하께서는 휴면계정 전환 후 1년동안 회원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으신 관계로 개인정보가 삭제되었습니다.
(참조 : RISS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신규회원으로 가입하여 이용 부탁 드리며, 추가 문의는 고객센터로 연락 바랍니다.
- 기존 아이디 재사용 불가
휴면계정 안내
RISS는 [표준개인정보 보호지침]에 따라 2년을 주기로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관하여 (재)동의를 받고 있으며,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휴면계정으로 전환됩니다.
(※ 휴면계정은 원문이용 및 복사/대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휴면계정으로 전환된 후 1년간 회원정보 수집·이용에 대한 재동의를 하지 않을 경우, RISS에서 자동탈퇴 및 개인정보가 삭제처리 됩니다.
고객센터 1599-3122
ARS번호+1번(회원가입 및 정보수정)